모스 퍼텐셜

칭동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7월 2일 (목) 09:48 판 (영어 위키백과 번역)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모스 퍼텐셜(Morse potential)은 물리학자 필립 M. 모스의 이름을 딴 편리한 이원자 분자분자내 퍼텐셜 모형이다. 양자 조화 진동자와 달리 결합의 해리와 결합 에너지를 고려하기 때문에 더 정확한 모형이다. 실제 결합의 비조화성, 배진동띠(overtone) 및 조합띠(combination band)가 나타날 확률이 0이 아닌 점을 설명할 수 있다. 원자와 표면간의 상호작용에도 적용될 수 있다. 너무 단순하기 때문에 실제 연구에서는 사용되지 않지만, 현대 분광학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Morse/Long-range 퍼텐셜에 영향을 미쳤다.

에너지 함수

모스 퍼텐셜 (파랑)과 조화진동자 퍼텐셜 (초랑). 에너지 간격이 ħω인 조화진동자와 달리, 모스퍼텐셜의 에너지 간격은 에너지가 해리 에너지에 가까워질수록 감소한다. 해리 에너지 De는 실제 해리에 필요한 D0 보다 작은데, 바닥상태 (v = 0) 진동에너지 준위의 영점에너지 때문이다

The Morse potential energy function is of the form

[math]\displaystyle{ V(r) = D_e ( 1-e^{-a(r-r_e)} )^2 }[/math]

[math]\displaystyle{ r }[/math]은 원자 사이의 거리, [math]\displaystyle{ r_e }[/math]은 평형 결합 길이, [math]\displaystyle{ D_e }[/math] 는 해리된 원자에 대비된 우물의 깊이, [math]\displaystyle{ a }[/math] 는 우물의 너비를 조정하는 인자 ([math]\displaystyle{ a }[/math]가 작을수록 우물이 넓다.).결합 해리 에너지는 우물의 깊이에서 영점에너지[math]\displaystyle{ E(0) }[/math]를 배는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결합의 힘상수는 [math]\displaystyle{ V(r) }[/math][math]\displaystyle{ r=r_e }[/math] 주변에서 테일러 전개한 뒤 이차 미분계수를 구해서 얻을 수 있다. 그러면 [math]\displaystyle{ a }[/math]

[math]\displaystyle{ a=\sqrt{k_e/2D_e}, }[/math]

이고 [math]\displaystyle{ k_e }[/math]는 우물 바닥에서의 힘상수이다.

퍼텐셜 에너지의 0점은 임의로 정할 수 있다. 결합이 해리된 상태의 에너지를 0으로 쓰면

[math]\displaystyle{ V(r) = D_e (( 1-e^{-a(r-r_e)} )^2 -1) }[/math]

흔히 쓰이는 형태로 다시쓰면

[math]\displaystyle{ V(r) = D_e ( e^{-2a(r-r_e)}-2e^{-a(r-r_e)} ) }[/math]

[math]\displaystyle{ r }[/math]은 표면에 수직거리를 말한다. [math]\displaystyle{ r }[/math]이 무한대일때 퍼텐셜이 0이고 에너지가 최소인 [math]\displaystyle{ r=r_e }[/math]에서 [math]\displaystyle{ -D_e }[/math]가 된다. 이것을 보면 모스 퍼텐셜은 반발항(앞)과 인력항(뒤)의 합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진동 상태와 에너지

양자 조화 진동자처럼 모스퍼텐셜의 에너지와 고유상태를 오퍼레이터법을 통해 구할 수 있다.[1] One approach involves applying the factorization method to the Hamiltonian.

모스 퍼텐셜의 정상 상태(Stationary state)를 써보자. 해 [math]\displaystyle{ \Psi(v) }[/math][math]\displaystyle{ E(v) }[/math]는 아래의 슈뢰딩거 방정식을 만족한다.

[math]\displaystyle{ \left(-\frac{\hbar ^2 }{2 m }\frac{\partial ^2}{\partial r^2}+V(r)\right)\Psi(v)=E(v)\Psi(v), }[/math]

새 변수를 도입하면 더 쉽게 쓸 수 있다.

[math]\displaystyle{ x=a r \text{; } x_e=a r_e \text{; } \lambda =\frac{\sqrt{2 m D_e}}{a \hbar } \text{; } \varepsilon _v=\frac{2 m }{a^2\hbar ^2}E(v). }[/math]

그러면 슈뢰딩거 방정식은 아래와 같이 바뀐다.

[math]\displaystyle{ \left(-\frac{\partial ^2}{\partial x^2}+V(x)\right)\Psi _n(x)=\varepsilon _n\Psi _n(x), }[/math]
[math]\displaystyle{ V(x)=\lambda ^2\left(e^{-2\left(x-x_e\right)}-2e^{-\left(x-x_e\right)}\right). }[/math]

Its eigenvalues and eigenstates can be written as:

[math]\displaystyle{ \varepsilon _n=-\left(\lambda -n-\frac{1}{2}\right)^2 }[/math]
[math]\displaystyle{ \Psi _n(z)=N_nz^{\lambda -n-\frac{1}{2}}e^{-\frac{1}{2}z}L_n^{2\lambda -2n-1}(z), }[/math]

where [math]\displaystyle{ z=2\lambda e^{-\left(x-x_e\right)} \text{; } N_n=n!\left[\frac{\left(2\lambda-2n-1\right)}{\Gamma (n+1)\Gamma (2\lambda -n)}\right]^{\frac{1}{2}} }[/math][math]\displaystyle{ L_n^{\alpha }(z) }[/math]라게르 다항식이다.

[math]\displaystyle{ L_n^{\alpha }(z) = \frac{z^{-\alpha }e^z}{n!} \frac{d^n}{d z^n}\left(z^{n + \alpha } e^{-z}\right)=\frac{\Gamma (\alpha + n + 1)/\Gamma (\alpha +1)}{\Gamma (n+1)} \, _1F_1(-n,\alpha +1,z), }[/math]

위치 오퍼레이터에 행렬 요소의 해석적인 전개가 존재한다.([math]\displaystyle{ m\gt n }[/math][math]\displaystyle{ N=\lambda -\frac{1}{2} }[/math]을 가정함) [2]

[math]\displaystyle{ \left\langle \Psi _m|x|\Psi _n\right\rangle =\frac{2(-1)^{m-n+1}}{(m-n)(2N-n-m)} \sqrt{\frac{(N-n)(N-m)\Gamma (2N-m+1)m!}{\Gamma (2N-n+1)n!}}. }[/math]

초기 변수에 대한 고유 에너지는 다음과 같다.

[math]\displaystyle{ E(v) = h\nu_0 (v+1/2) - \frac{\left[h\nu_0(v+1/2)\right]^2}{4D_e} }[/math]

[math]\displaystyle{ v }[/math] 는 진동 양자수, [math]\displaystyle{ \nu_0 }[/math]는 진동수 단위를 가지며 입자의 질량[math]\displaystyle{ m }[/math]과 관련이 있다. 모스 퍼텐셜에 따르면 아래와 같다.

[math]\displaystyle{ \nu_0 = \frac{a}{2\pi} \sqrt{2D_e/m}. }[/math]

양자 조화 진동자의 에너지 간극이 상수 [math]\displaystyle{ h\nu_0 }[/math]인 반면, 모스 진동자의 에너지 간극은 [math]\displaystyle{ v }[/math]가 커질 수록 감수한다. 모스 진동자의 에너지 간극은 아래와 같다.

[math]\displaystyle{ E(v+1) - E(v) = h\nu_0 - (v+1) (h\nu_0)^2/2D_e.\, }[/math]

실제 분자의 에너지 간극 추세를 따른다. [math]\displaystyle{ E(v_m+1) - E(v_m) }[/math] 이 음으로 계산될 때는 [math]\displaystyle{ v_m }[/math]이 맞지 않는다. 이때 [math]\displaystyle{ v_m }[/math]은 가장 높은 진동 상태 [math]\displaystyle{ E(v_m) }[/math]과 결합 해리 시점의 에너지의 차이로, 다음과 같다.

[math]\displaystyle{ v_m = \frac{2D_e-h\nu_0}{h\nu_0}. }[/math]

이것은 모스 퍼텐셜의 진동은 유한하고, 분자가 속박된 상태를 유지하는 [math]\displaystyle{ v_m }[/math]은 유한하기 때문이다. [math]\displaystyle{ v_m }[/math]을 넘는 에너지가 주어지면 모든 에너지가 가능해지고 [math]\displaystyle{ E(v) }[/math]은 유효하지 않다.

[math]\displaystyle{ v_m }[/math]이하에서 [math]\displaystyle{ E(v) }[/math] 은 회전하지 않는 이원자 분자의 진동 에너지에 대한 좋은 근사이다. 실제 분자의 진동 에너지를 교정할 때 사용되는 식은 다음과 같다.[3]

[math]\displaystyle{ E_v / hc = \omega_e (v+1/2) - \omega_e\chi_e (v+1/2)^2\, }[/math]

이 식의 [math]\displaystyle{ \omega_e }[/math][math]\displaystyle{ \omega_e\chi_e }[/math] 는 모스 퍼텐셜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차원 분석에서 시작된 역사적인 이유에서 [math]\displaystyle{ \omega_e }[/math][math]\displaystyle{ E=hc\omega }[/math]를 만족하는 파수를 의미하며, [math]\displaystyle{ E=\hbar\omega }[/math]식의 각진동수를 뜻하지 않는다

Morse/Long-range potential

현대 분광학에서 쓰이는 모스 퍼텐셜의 중요한 확장은 MLR (Morse/Long-range) 퍼텐셜이다.[4] MLR potential은 이원자 분자의 퍼텐셜 곡선의 표준으로 사용된다. N2,[5] Ca2,[6] KLi,[7] MgH,[8][9][10] Li2의 일부 진동 상태,[4][11][12][13][12][9] Cs2,[14][15] Sr2,[16] ArXe,[9][17] LiCa,[18] LiNa,[19] Br2,[20] Mg2,[21] HF,[22][23] HCl,[22][23] HBr,[22][23] HI,[22][23] MgD,[8] Be2,[24] BeH,[25],NaH.[26] 에서 쓰였다. 다원자 분자에서는 더 복잡한 버전이 쓰인다.

같이 보기

References

각주

  1. F. Cooper, A. Khare, U. Sukhatme, Supersymmetry in Quantum Mechanics, World Scientific, 2001, Table 4.1
  2. E. F. Lima and J. E. M. Hornos, "Matrix Elements for the Morse Potential Under an External Field", J. Phys. B: At. Mol. Opt. Phys. 38, pp. 815-825 (2005)
  3.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Ed David R. Lide, 87th ed, Section 9, SPECTROSCOPIC CONSTANTS OF DIATOMIC MOLECULES pp. 9–82
  4. 4.0 4.1 틀:Cite journal
  5. 틀:Cite journal
  6. 틀:Cite journal
  7. 틀:Cite journal
  8. 8.0 8.1 틀:Cite journal
  9. 9.0 9.1 9.2 틀:Cite journal
  10. 틀:Cite journal
  11. 틀:Cite journal
  12. 12.0 12.1 W. Gunton, M. Semczuk, N. S. Dattani, K. W. Madison, High resolution photoassociation spectroscopy of the 6Li2 A-state, http://arxiv.org/abs/1309.5870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Gunton(A-X)"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13. 틀:Cite news
  14. 틀:Cite journal
  15. 틀:Cite journal
  16. 틀:Cite journal
  17. 틀:Cite journal
  18. 틀:Cite journal
  19. 틀:Cite journal
  20. 틀:Cite journal
  21. 틀:Cite journal
  22. 22.0 22.1 22.2 22.3 틀:Cite journal
  23. 23.0 23.1 23.2 23.3 http://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022407314003781
  24. http://scitation.aip.org/content/aip/journal/jcp/140/6/10.1063/1.4864355
  25. http://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022285214001945
  26. http://scitation.aip.org/content/aip/journal/jcp/142/4/10.1063/1.49060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