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침표: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번째 줄: 3번째 줄:
|영어이름 = Full Stop
|영어이름 = Full Stop
|기호 = .
|기호 = .
|전문자 = [[하이픈 마이너스]]
|전문자 = 하이픈 마이너스
|후문자 = [[빗금]]
|후문자 = 빗금
|유니코드 = 002E
}}
}}
'''마침표'''는 말그대로 문장을 마칠 때 사용하는 [[문장 부호]]다. 온점과 고리점이 있으며 대한민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온점을 사용한다. 한국에서도 고리점이 있으나 영어권 문장 부호가 가로쓰기용으로 도입되며 [[세로쓰기]]용으로 남았고, 가로쓰기가 보편화되며 맞춤법에서 사라졌다.<ref>{{저널 인용 |저자=이용제 |날짜=2010.6.30. |제목=한글에서 문장부호 ‘.’와 ‘,’의 문제 |저널=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권= |호= |쪽=358-37 |id= |url=http://koreantypography.org/blog/archives/919 |확인날짜=}}</ref>
 
* {{영국 영어|Full stop}}, {{미국 영어|Period, Full point}}
 
'''마침표'''는 말그대로 문장을 마칠 때 사용하는 [[문장 부호]]다. 온점과 고리점이 있으며 대한민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온점을 사용한다. 한국에서도 고리점이 있으나 영어권 문장 부호가 가로쓰기용으로 지정되며 [[세로쓰기]]용으로 남았고, 가로쓰기가 보편화되며 맞춤법에서 사라졌다.<ref>{{저널 인용
|저자=이용제
|날짜=2010.6.30.
|제목=한글에서 문장부호 ‘.’와 ‘,’의 문제
|저널=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쪽=358-37
|id=
|url=http://koreantypography.org/ko/paper/paper_view.asp?paper_seq=35&key=title&keyWord=&sh_paper_gb=&page=8
|확인날짜=2022-03-19}}</ref>


== 사용 ==
== 사용 ==
47번째 줄: 57번째 줄:
4. 장, 절, 항 등을 표시하는 문자나 숫자 다음에 쓴다.
4. 장, 절, 항 등을 표시하는 문자나 숫자 다음에 쓴다.
  가. 인명ㄱ. 머리말Ⅰ. 서론1. 연구 목적
  가. 인명ㄱ. 머리말Ⅰ. 서론1. 연구 목적
=== 중국어 ===
=== 중국어/일본어 ===
==== 중국 ====
{{유니코드문자
중국어는 온점 대신에 고리점을 사용한다
|이름 = 고리점
==== 대만 ====
|영어이름 = Ideographic full stop
대만도 고리점을 사용하지만 찍는 위치가 다르다.
|기호 =
{{폰트|initial|{{lang|zh-tw|。,、}}}} 문장부호는 이렇게 가운데에 찍는다
|전문자 =  
=== 일본어 ===
|후문자 =  
}}
 
온점 대신에 고리점을 사용한다.
 
=== 몽골어 ===
=== 몽골어 ===
외몽골에서는 온점을 내몽골에서는 아래와 같은 마침표를 사용한다.
외몽골에서는 온점을 내몽골에서는 아래와 같은 마침표를 사용한다.


{{세로쓰기|글자방향=mixed|}}
=== 데바나가리 문자 ===


{{각주}}
{{각주}}


[[분류:기호]]
[[분류:기호]]

2022년 4월 9일 (토) 10:29 기준 최신판

마침표
Full Stop
하이픈 마이너스
.
U+2E
빗금

마침표는 말그대로 문장을 마칠 때 사용하는 문장 부호다. 온점과 고리점이 있으며 대한민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온점을 사용한다. 한국에서도 고리점이 있으나 영어권 문장 부호가 가로쓰기용으로 지정되며 세로쓰기용으로 남았고, 가로쓰기가 보편화되며 맞춤법에서 사라졌다.[1]

사용[편집 | 원본 편집]

한국어 가로쓰기 환경과 영어권 문자에서는 온점을 사용하며, 한국어 세로쓰기 환경 및 한자 문화권의 문자에서는 고리점을 사용한다.

한국어[편집 | 원본 편집]

한글 맞춤법에 따르면, 마침표의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2] 참고로 ‘마침표’ 대신 ‘온점’이라는 용어를 쓸 수 있다.

1. 서술, 명령, 청유 등을 나타내는 문장의 끝에 쓴다.

젊은이는 나라의 기둥입니다.
제 손을 꼭 잡으세요.
집으로 돌아갑시다.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붙임 1] 직접 인용한 문장의 끝에는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쓰지 않는 것을 허용한다.(ㄱ을 원칙으로 하고, ㄴ을 허용함.)

ㄱ. 그는 “지금 바로 떠나자.”라고 말하며 서둘러 짐을 챙겼다.
ㄴ. 그는 “지금 바로 떠나자”라고 말하며 서둘러 짐을 챙겼다.

[붙임 2] 용언의 명사형이나 명사로 끝나는 문장에는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쓰지 않는 것을 허용한다.(ㄱ을 원칙으로 하고, ㄴ을 허용함.)

ㄱ.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몸과 마음을 다하여 애를 씀.
ㄴ.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몸과 마음을 다하여 애를 씀
ㄱ. 결과에 연연하지 않고 끝까지 최선을 다하기.
ㄴ. 결과에 연연하지 않고 끝까지 최선을 다하기
ㄱ. 신입 사원 모집을 위한 기업 설명회 개최.
ㄴ. 신입 사원 모집을 위한 기업 설명회 개최
ㄱ. 내일 오전까지 보고서를 제출할 것.
ㄴ. 내일 오전까지 보고서를 제출할 것

다만, 제목이나 표어에는 쓰지 않음을 원칙으로 한다.

압록강은 흐른다
꺼진 불도 다시 보자
건강한 몸 만들기

2. 아라비아 숫자만으로 연월일을 표시할 때 쓴다.

1919. 3. 1.
10. 1.~10. 12.

3. 특정한 의미가 있는 날을 표시할 때 월과 일을 나타내는 아라비아 숫자 사이에 쓴다.

3.1 운동 
8.15 광복

[붙임] 이때는 마침표 대신 가운뎃점을 쓸 수 있다.

3ㆍ1 운동 
8ㆍ15 광복

4. 장, 절, 항 등을 표시하는 문자나 숫자 다음에 쓴다.

가. 인명ㄱ. 머리말Ⅰ. 서론1. 연구 목적

중국어/일본어[편집 | 원본 편집]

고리점
Ideographic full stop

U+3002

온점 대신에 고리점을 사용한다.

몽골어[편집 | 원본 편집]

외몽골에서는 온점을 내몽골에서는 아래와 같은 마침표를 사용한다.

각주

  1. 이용제 (2010.6.30.). 한글에서 문장부호 ‘.’와 ‘,’의 문제.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358-37. 2022년 3월 19일에 확인.
  2. 출처: 국립국어원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