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종도: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분류:집합론 분류:순서론 수학에서, 특히 집합론이나 순서론에서, 반순서집합(poset) <math>\alpha</math>의 '''공종도'''({{llang|e...)
 
잔글 (→‎정의)
8번째 줄: 8번째 줄:
: 모든 <math>a \in A</math>에 대하여 <math>a\le b</math>인 <math>b\in  B</math>가 존재한다.
: 모든 <math>a \in A</math>에 대하여 <math>a\le b</math>인 <math>b\in  B</math>가 존재한다.
이런 <math>B</math>의 기수들을 모아 놓은 집합 <math>\mathcal B =\{ |B| \}</math>의 최소원 <math>\lambda</math>를 <math>A</math>의 '''공종도'''라고 한다.
이런 <math>B</math>의 기수들을 모아 놓은 집합 <math>\mathcal B =\{ |B| \}</math>의 최소원 <math>\lambda</math>를 <math>A</math>의 '''공종도'''라고 한다.
=== 서수의 경우 ===
==== 정칙 서수와 특이 서수 ====
=== 기수의 경우 ===
== 예시 ==
== 성질 ==

2016년 1월 19일 (화) 14:08 판

수학에서, 특히 집합론이나 순서론에서, 반순서집합(poset) [math]\displaystyle{ \alpha }[/math]공종도(영어: cofinality, 한자共終度, 일본어: 共終数, 중국어: 共尾性) [math]\displaystyle{ \operatorname{cf}(\alpha) }[/math][math]\displaystyle{ \alpha }[/math]의 공종 부분집합의 최소(least) 기수를 말한다. 이는 서수기수가 얼마나 복잡한지를 나타내며, 모든 서수나 기수는 그 공종도에 적절한 연산을 하여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공종도를 정의할 때, 기수들의 공 아닌 집합(collection)은 최소원소를 갖는다는 가정을 하는데, 이는 정렬정리선택공리동치인 명제이다. 즉, 공종도가 잘 정의되려면 선택공리가 필요하다.

정의

[math]\displaystyle{ A }[/math]를 이항 연산 [math]\displaystyle{ \le }[/math]를 가지고 있는 반순서집합이라고 하자. 만약 다음을 만족하는 [math]\displaystyle{ A }[/math]의 부분집합 [math]\displaystyle{ B\subseteq A }[/math]가 존재하면 [math]\displaystyle{ B }[/math]공종 집합이라고 한다:

모든 [math]\displaystyle{ a \in A }[/math]에 대하여 [math]\displaystyle{ a\le b }[/math][math]\displaystyle{ b\in B }[/math]가 존재한다.

이런 [math]\displaystyle{ B }[/math]의 기수들을 모아 놓은 집합 [math]\displaystyle{ \mathcal B =\{ |B| \} }[/math]의 최소원 [math]\displaystyle{ \lambda }[/math][math]\displaystyle{ A }[/math]공종도라고 한다.

서수의 경우

정칙 서수와 특이 서수

기수의 경우

예시

성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