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선급행버스체계: 두 판 사이의 차이

18번째 줄: 18번째 줄:


* 운임구역
* 운임구역
*: 차량에 탑승하면서 운임을 수취하는 일반 노선버스와 달리, 승강장에 들어설 때 승차권 구매 등으로 운임을 사전수취하게 하여 승하차 시간을 단축시킨다. 도시철도와 연계할 경우 운임구역을 공유하여 빠른 환승이 가능해진다.
*: 차량에 탑승하면서 운임을 수취하는 일반 노선버스와 달리, 운임구역을 승강장까지 확대하여 승강장에 들어갈 때 승차권 구매 등으로 운임을 사전수취하게 하여 승하차 시간을 단축시킨다. 도시철도와 연계할 경우 운임구역을 공유하여 빠른 환승이 가능해진다.


== 예시 ==
== 예시 ==

2020년 1월 3일 (금) 17:27 판

Sejong BRT Government Complex North Station.jpg

개요

간선급행버스체계버스를 일반 도로 체계와 분리시켜 도시철도처럼 운용하는 것을 말한다. 영어로는 Bus Rapid Transit의 약자인 BRT로 불린다.

버스운행에 철도시스템을 도입한 신대중교통수단으로서, 전용 통행권, 교차로 우선처리, 쾌적한 차량, 편리한 환승시설을 갖추어 운행속도, 정시성을 수송능력을 제고하여 운행시간 감축 등 저렴한 비용으로 서비스를 향상시킨 새로운 교통수단을 말한다.[1]

한국 정책상으로는 중앙버스차로를 싸잡아서 BRT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고, 해외의 주요 사례와 비슷한 것은 S-BRT에 해당한다.

구조

  • 중앙버스차로
    교통체증의 영향에서 어느 정도 버스의 운행속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일반 차량들과 분리된 버스만의 전용 주행공간인 버스전용차로가 필수적이다. 특히 일반차량의 진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중앙버스차로가 간선급행버스체계의 핵심이라고 볼 수 있으며, 교차로 입체화도 병행한다. 고규격으로 가는 경우 전체 노선을 고가화하기도 한다.
  • 승강장
    일반적인 가로변 버스정류장과 달리, 굴절 버스 등의 장대 차량을 고려한 본격적인 승강장이 설치된다. 차량 구조에 따라 고상형 승강장이 설치되기도 하나, 대부분 교통섬 설치 정도로 갈음한다. 필요하다면 스크린도어도 설치한다. 세종시 BRT의 스크린도어는 차량을 감지하여 열고 닫히는 구조.
  • 차량
    일반 도시형 버스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왕 고규격으로 설계한 만큼 굴절 버스나 전용 고상차량 등 특수 차량이 투입된다. 가능한 경우 무인운전도 운용한다.
  • 운임구역
    차량에 탑승하면서 운임을 수취하는 일반 노선버스와 달리, 운임구역을 승강장까지 확대하여 승강장에 들어갈 때 승차권 구매 등으로 운임을 사전수취하게 하여 승하차 시간을 단축시킨다. 도시철도와 연계할 경우 운임구역을 공유하여 빠른 환승이 가능해진다.

예시

대한민국

S-BRT 사업만 기재.

지역 구간 길이 개통 시기 비고
세종특별자치시 BRT 한별리~반곡동 22.9km 2013년 S-BRT 개수
인천·부천 김포공항~부천종합운동장 17.3km 2023년 개통 예정
경남 창원 도계광장~가음정사거리 9.3km 2023년 개통 예정
인천 인하대~서인천 9.4km 2023년 개통 예정
경기 성남 남한산성입구~모란역사거리 5.2km 2023년 개통 예정

각주

  1. 이민주, 2014, "BRT 전용도로의 대중교통우선신호 도입운영방안 : 세종시 BRT 사례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도시교통공학과, 1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