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교우지 유유코

칭동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5월 8일 (금) 11:17 판


이 항목은 동방 프로젝트 신작의 등장인물인 사이교우지 유유코를 다루고 있습니다.

西行寺幽々子

종족 망령
출신 인간
능력 죽음을 다루는 정도의 능력
위험도 매우 높음
인간 우호도 높음
주요 활동장소 명계
테마곡
등장 작품 곡명
동방요요몽 (6면 필드) 얼티밋 트루스 (アルティメットトゥルース)
동방요요몽 (6면 테마) 유아하게 피어라, 묵염의 벚꽃~ Border of Life (幽雅に咲かせ、墨染の桜 ~ Border of Life)
동방요요몽 (반혼접 시전곡) 보더 오브 라이프(ボーダーオブライフ)
동방췌몽상 유아하게 피어라, 묵염의 벚꽃~ Border of Life (幽雅に咲かせ、墨染の桜 ~ Border of Life)
동방비상천 유아하게 피어라, 묵염의 벚꽃~ Border of Life (幽雅に咲かせ、墨染の桜 ~ Border of Life)
동방신령묘 (1면 필드) 사령의 밤 벚꽃놀이 (死霊の夜桜)
동방신령묘 (1면 테마) 고스트 리드 (ゴーストリード)
이명
명칭 등장 작품
저승누각의 망령 소녀 동방요요몽
천의무봉의 망령 동방췌몽상
동방비상천
화서의 망령 동방영야초
동방구문사기
아름다운 심령사진 동방문화첩
눈의 망령 동방비상천
방황하지 않는 망령 동방신령묘


개요

동방요요몽의 최종보스로, 사이교우아야카시(西行妖)의 개화를 보고 싶다는 이유로 봄을 모아 해당 작품의 춘설이변(봄이 오지 않는 이변)을 일으킨 범인이다.

평소에는 명계의 백옥루에서 정원사인 콘파쿠 요우무와 함께 거주하고 있다. 성격은 대체로 낙천적이고 무사태평한 편이나, 작중에서 등장하는 모습을 보면 이래저래 속을 알 수 없는 타입, 혹은 속내를 숨기는 데 능한 모습으로 그려지기도 한다.

그녀의 이름과 요요몽 중간중간에 등장하는 와카 등으로 인해, 일본의 고승인 사이교(西行) 법사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된다.


능력

생전에는 사령을 다루는 능력을 가졌으나, 시간이 지나며 죽음을 다루는 정도의 능력으로 바뀌었다. 히에다노 아큐의 설명에 따르면 '사람을 저항 없이 죽이는 능력'이라고 한다. 그 외에도 유령들을 통솔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염마 시키에이키에게 명계의 유령들의 관리를 부탁받았다.

죽음을 다루는 정도의 능력은 봉래인과 같이 죽지 않는 자들에게는 통하지 않는 모양이다. 영야초 엔딩에서 요우무의 눈을 고쳐 달라고 하기 위해 부른 에이린에게 '겔세미움 엘레강스 차'를 대접해 독살하려 하나 실패한 후 그녀를 천적으로 여기는 듯한 대사를 남긴다.

망령이기 때문에 실체는 있으나 물리적인 육체는 없다. 다만 유령만큼 옅은 것은 아니기에 만질 수는 있되, 물리적인 상처를 내는 것은 불가능하다.


작중 행적

동방요요몽최종보스로 등장한다. 모든 패턴과 스펠카드를 클리어할 시, 별다른 대사 없이 "身のうさを 思ひしらでや やみなましそむくならひの なき世なりせば (혹여 구도의 길이 존재하지 않는 세상이었다면 자신의 업조차 알 길 없이 그대로 세상을 떴으리라)"라는 문장이 화면에 뜨며, 직후 버티기 스펠인 반혼접이 발동된다.

동방영야초에선 플레이어 기체로 등장하며, 요우무와 함께 유명(幽冥)의 주인팀의 일원으로, 혹은 단독 기체로 플레이할 수 있다. 이변을 해결하러 가는 내내, 이변과는 일절 관련이 없는 먹는 것에 대한 얘기만 하는 듯하나, 사실은 이런저런 것들을 속으로 간파해내는 것처럼 보인다. 몇 가지 엔딩을 통해 봉래인과의 관계를 엿볼 수 있다.

동방신령묘의 1면 보스로 출몰한다. 뮤직 룸의 코멘터리에는 주인공들에게 힌트를 주는 마을사람 A 역할을 한다고 설명되어 있다. 따라서 유유코를 이겨도 옷이 헤지거나 상처 입은 그녀의 스탠딩 CG가 아닌, 웃으며 힌트를 주는 그녀의 모습을 볼 수 있다.


기타

동인계에서 주류를 차지하는 모습은 식신 (食神). 동방영야초에서 이변을 해결하러 가며 쉴새없이 남기는 음식 관련 대사들 (대표적으로 미스티아를 보고 "새는 잔뼈가 많아서 싫어.")을 비롯해, 동방비상천에서 다른 인물을 보고 남기는 몇몇 대사를 보면 제법 공식화된 것으로 보인다. 요우무의반령도 먹으려하는 일러도 있으니 말 다했다.동방심기루의 배경에서도 요우무가 주는 주먹밥을 받아먹으며 구경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여담으로 거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