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호등

개요

등화를 사용하여 교통의 흐름을 제어하는 신호장치로 철도용 신호등과 도로용으로 나뉘어진다. 통상 적색 신호를 정지 신호로 정하고 있는데 이 이유는 인간의 눈으로 볼 때 적색이 가장 먼 거리에서 식별 가능한 색이기 때문이다. 청색/녹색이 진행신호인 이유는 색상환에서 보색관계에 있는 색이기 때문에 색맹이나 적록색약이 아닌 다음에는 누구나 다 확실하게 식별이 가능한 색이기 때문.

철도 신호등

도로 신호등

보행자용 신호등과 차량용 신호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보행자용은 적색과 녹색 두 색깔로만 구성되어있어 별도의 설명이 불필요한 정도지만 차량용은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된다. 또한 차량용 신호등은 일반적인 경우 고속도로를 비롯한 자동차전용도로에는 설치되지 않지만 예외적인 경우 설치되기도 한다.

대한민국에서는 도로 신호등으로 한때 3색신호등 설치를 두고 갑론을박이 오간 적 있었으나 엄청난 불만여론을 이기지 못하고 흐지부지된 적이 있다.[1]

등화에 따른 구분

  • 적색 : 당연히 정지하라는 의미. 적색등이 켜지면 해당 교차로는 통과하면 안된다.
    • 적색 점멸등 : 일단정지. 교차로 신호가 점멸신호로 운용될 경우 대로가 황색 점멸등, 소로가 적색 점멸등으로 설정되며 교차로 쌍방사고시 적색 점멸등쪽 차량의 일단정지 의무위반이 쟁점으로 떠오른다.
  • 황색 : 주의신호이다. 보통 진행신호에서 정지신호로 바뀌기 직전에 몇 초간 현시하는데 이 때는 곧 신호가 바뀌니 교차로에 진입하기 전의 차량은 정지할 준비를 하고, 교차로를 통과중인 차량은 얼른 교차로를 통과하라는 의미이다. 절대로 신호가 곧 바뀌니까 더 빠르게 달리라는 의미가 아니다!!
    • 황색 점멸등 : 서행신호. 안개가 자주 끼는 곳의 도로 바깥쪽에 황색 신호등을 단등으로 두어 점멸시키는 경우나 도로의 분기점 부근에 이 황색 점멸등을 켜두는 경우가 있는데 마찬가지로 주의하라는 의미.
  • 녹색 : 진행신호.
    • 녹색 ← : 좌회전 신호이다.
    • 녹색 → : 우회전 신호이다. 통상 우회전은 비보호 신호로 별도의 신호가 없을 경우 진행이 가능하지만 이 우회전 신호가 있을 경우 비보호 우회전이 금지된다. 복잡하거나 진행방향이 애매한 이형 교차로에서 사용된다.
  • 적색 X표시 : 고속도로 터널이나 가변차로등에서 볼 수 있다. 해당 차선으로는 통행이 불가능하다는 의미.
  • 녹색 ↓표시 : 고속도로 터널이나 가변차로등에서 볼 수 있다. 해당 차선으로 통행이 가능하다는 의미.

신호체계에 따른 구분

일반적으로 사거리에 설치된 신호등의 신호체계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 좌회전 후 직진 : 이전에는 흔하게 볼 수 있는 신호였지만 어느 때부터 직진 후 좌회전으로 바뀌면서 보기 힘들어졌다.
  • 직진 후 좌회전 : 우리 나라에서 가장 많이 돌리는 신호이다. 직진과 좌회전의 교통량이 차이가 많이 나는 경우에 사용된다. 직진 신호시 양옆 횡단보도에 녹색등이 켜진다.
  • 직진, 좌회전 동시신호 : 우리 나라에서 가장 많이 돌리는 신호이다. 직진과 좌회전의 교통량이 비등비등할 때 사용된다. 직좌신호가 켜지면서 우측 횡단보도에 녹색등이 켜진다.

교통량이 많은 간선도로나 특정 방향으로의 회전 차량이 많은 경우 신호등 체계를 다음과 같이 조정하기도 한다.

  • 직진 후 직좌 동시신호 : 삼거리에서는 직진방향 횡단보도가 없을 때 보이며, 사거리에서는 상행과 하행 좌회전 교통량이 다를 때 쓰인다.
  • 직좌 동시신호 후 직진 : 주로 사거리에서 직진후 직좌 반대편 신호에 쓰인다.
  • 좌회전 후 직좌 동시신호
  • 비보호 좌회전 : 직진 신호시 적절히 좌회전을 할 수 있다. 교통량이 적은 교차로에 쓰인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