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닝 크루거 효과

Utolee90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3월 7일 (화) 20:08 판 (문서 작성)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더닝 크루거 효과(Dunning–Kruger effect)는 인지 편향의 하나로, 능력이 없는 사람이 잘못된 결정을 내려 잘못된 결론에 도달하지만, 능력이 없기 때문에 자신의 실수를 알아차리지 못하는 현상을 가리킨다. 그로 인해 능력이 없는 사람은 환영적 우월감으로 자신의 실력을 실제보다 높게 평균 이상으로 평가하는 반면, 능력이 있는 사람은 자신의 실력을 과소 평가하여 환영적 열등감을 가지게 된다. 크루거와 더닝은 “능력이 없는 사람의 착오는 자신에 대한 오해에서 기인한 반면, 능력이 있는 사람의 착오는 다른 사람에 대한 오해에서 기인한다”고 결론을 내린다.

기원

더닝 크루거 효과는 코넬 대학교의 데이비드 더닝과 저스틴 크루거가 1999년 제안한 것이다. 그들은 찰스 다윈의 “무지는 지식보다 더 확신을 가지게 한다”와 버트런드 러셀의 “이 시대의 아픔 중 하나는 자신감이 있는 사람은 무지한데, 상상력과 이해력이 있는 사람은 의심하고 주저한다는 것이다”를 인용하고 있다.

코넬 대학교 학부생을 상대로 독해력, 자동차 운전, 체스, 테니스 등 여러 분야의 능력을 대상으로 실험한 그들의 가설에 의하면, 능력이 없는 사람은 다음과 같은 경향을 보인다.

  1. 자신의 능력을 과대평가한다.
  2. 다른 사람의 진정한 능력을 알아보지 못한다.
  3. 자신의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생긴 곤경을 알아보지 못한다.
  4. 훈련을 통해 능력이 매우 나아지고 난 후에야, 이전의 능력 부족을 알아보고 인정한다.

사례

무식하면 용감하다는 말이 이것과 일맥상통하는 격언이다. 자신이 무언가를 조금 더 알게 되었을 때 인터넷 상에서 좆문가라고 불리는 헛똑똑이들이 주장을 강하게 하면서 자신의 주장을 반박하는 주장에 귀를 기울이지 않는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수상

2000년 데이비드 더닝 박사와 저스틴 크루거 박사는 'Unskilled and Unaware of It: How Difficulties in Recognizing One's Own Incompetence Lead to Inflated Self-Assessments(서툴고 무지한 것:자신의 무능력함을 인지하는데의 어려움이 어떻게 과장된 자신감을 만들어내는가)'라는 겸손한 논문을 통해 이 효과를 발견한 공로로 이그노벨상을 수상하였다.[1] [2]

참조

각주

Wikipedia-ico-48px.png
이 문서의 일부는 한국어 위키백과더닝 크루거 효과 문서 10429400판을 원출처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