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국어원

QolonQ (토론 | 기여)님의 2016년 11월 17일 (목) 22:29 판 (→‎비판)

개요

國立國語院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공식 홈페이지 http://korean.go.kr/

국어 발전을 위한 어문 정책을 수립‧시행하고, 국민의 바른 언어생활을 위하여 다양한 연구 사업을 수행하고자 설립된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기관이다.


역사

1984년 '국어연구소'가 설립되었고, 1991년 '국립국어연구원'으로 승격되었으며 2004년 지금의 '국립국어원'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특징

하는 일이 별로 없어보이기는 하지만, 외래어 표기법이나 로마자 표기법, 한글 맞춤법 등 국어학에 기본이 되는 사항을 가끔 고시한다. 가끔씩 지속적으로 변하는 언어 상황을 반영해 표준어 규정을 변경하거나 복수 표준어를 추가하기도 한다. 그리고 공시생들에게 욕을 먹는다 왜 하필 지금 바꾸냐 시험이 코앞인데!

트위터를 운영하고 있다. 트위터를 통해 한글 맞춤법이라든지, 우리말 다듬기같은 다양한 정보글을 쓰곤 하는데, 가끔씩 말도 안되는 단어를 순화어랍시고 제시하면서 논란이 되기도 한다.

그래도 틈틈이 봐두면 별로 쓸 일은 없지만 다양한 외래어의 순화어를 볼 수 있고 한글 맞춤법이나 외래어표기법 등 국어에 대한 지식이 쌓을 수 있어서 공시생들에게 아주 좋다.

논란

  • 질의응답을 했을 때 "우리가 정한 표기법이 맞으니 무조건 따르라"는 식의 반응이 많다.
    • 표준국어대사전의 경우, "연필꽂이"란 표제어는 있는데 "우산꽂이"는 없다. 그 외에도 이런 식의 표제어가 많아 이것에 대해 질의응답을 했는데, "우산꽂이"란 말은 잘못된 말이므로 "우산 꽂이"처럼 띄어 써야 한다는 응답을 했다.(...)
    • 로마자 표기법도 말이 많다. 국어의 정확한 음운을 반영하지 않아 외국인이 봤을 때 잘못 읽을 수 있음에도 끝까지 현행 표기법을 고수한다. 대표적인 예가 바로 → "eo". 영어권 국가에 사는 외국인들은 백이면 백 "이어"라고 읽는다.

기타

1599-9979 전화번호 내지는 카카오톡 플러스친구 "@우리말365"을 이용해서 국어와 관련된 질의나 상담을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