멱영원

Hwangjy9 (토론 | 기여)님의 2016년 3월 2일 (수) 17:59 판 (새 문서: {{학술}} {{토막글}} == 정의 == <math>R</math>의 원소 <math>a</math>에 대해, : <math>a^n = 0_R</math> 인 양의 정수 <math>n</math>이 존재...)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틀:학술 틀:토막글

정의

[math]\displaystyle{ R }[/math]의 원소 [math]\displaystyle{ a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a^n = 0_R }[/math]

인 양의 정수 [math]\displaystyle{ n }[/math]이 존재하면 [math]\displaystyle{ a }[/math][math]\displaystyle{ R }[/math]멱영원(nilpotent element)이라고 한다.

예시

  • [math]\displaystyle{ \begin{bmatrix} 1 & 1\\ -1 & -1 \end{bmatrix} }[/math][math]\displaystyle{ M_{2,2}(\mathbb{R}) }[/math]의 멱영원이다.

추가바람

성질

  • [math]\displaystyle{ 0_R }[/math][math]\displaystyle{ R }[/math]의 멱영원이다.
  • [math]\displaystyle{ R }[/math]이 영이 아닌 멱영원을 가지지 않을 필요충분조건은 방정식 [math]\displaystyle{ x^2=0_R }[/math]의 해가 [math]\displaystyle{ 0_R }[/math]로 유일한 것이다.

[math]\displaystyle{ R }[/math]이 영이 아닌 멱영원을 가지지 않는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영이 아닌 [math]\displaystyle{ a\in R }[/math]이 주어지면, 모든 양의 정수 [math]\displaystyle{ n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a^n \ne 0_R }[/math]이고, 따라서 [math]\displaystyle{ a^2 \ne 0_R }[/math]이다. 따라서 방정식 [math]\displaystyle{ x^2=0_R }[/math]의 해는 [math]\displaystyle{ 0_R }[/math]로 유일하다. 이제 [math]\displaystyle{ x^2=0_R }[/math]의 해가 [math]\displaystyle{ 0_R }[/math]로 유일하다고 가정하자. 만약 [math]\displaystyle{ R }[/math]이 영이 아닌 멱영원을 가지면, [math]\displaystyle{ a^n=0_R }[/math][math]\displaystyle{ a\in R\;(a\ne 0_R) }[/math]와 최소의 양의 정수 [math]\displaystyle{ n }[/math]이 존재한다. 만약 [math]\displaystyle{ n }[/math]이 짝수라면, [math]\displaystyle{ n=2k }[/math]인 양의 정수 [math]\displaystyle{ k }[/math]가 존재하고 [math]\displaystyle{ a^n=a^{2k}=(a^k)^2=0_R }[/math]이 되어 [math]\displaystyle{ a^k }[/math]가 방정식 [math]\displaystyle{ x^2=0_R }[/math]의 근이 된다. 그런데 [math]\displaystyle{ k \lt n }[/math]이므로 [math]\displaystyle{ n }[/math]이 최소라는 것에 모순이다. [math]\displaystyle{ n }[/math]이 홀수라면, [math]\displaystyle{ n=2k-1 }[/math]인 양의 정수 [math]\displaystyle{ k }[/math]가 존재하고 [math]\displaystyle{ a^{n+1}=a^{2k}=(a^k)^2=0_R }[/math]이므로 [math]\displaystyle{ a^k }[/math]는 방정식 [math]\displaystyle{ x^2=0_R }[/math]의 근이 된다. 그런데 [math]\displaystyle{ k=1 }[/math]이면 [math]\displaystyle{ n=1 }[/math]이므로 [math]\displaystyle{ a=0_R }[/math]이 되어 모순이고, [math]\displaystyle{ k \gt 1 }[/math]이면 [math]\displaystyle{ k \lt n }[/math]이므로 [math]\displaystyle{ n }[/math]이 최소라는 것에 모순이다. 따라서 원하는 결론을 얻는다.

  • 가환환 [math]\displaystyle{ R }[/math]의 두 원소 [math]\displaystyle{ a,b }[/math]가 멱영원이면, [math]\displaystyle{ a+b }[/math][math]\displaystyle{ ab }[/math]도 멱영원이다. [math]\displaystyle{ R }[/math]의 모든 역영원의 집합은 [math]\displaystyle{ R }[/math]의 부분환이다.

[math]\displaystyle{ a,b }[/math]가 멱영원이면 [math]\displaystyle{ a^n=0_R }[/math], [math]\displaystyle{ b^n=0_R }[/math]을 만족하는 양의 정수 [math]\displaystyle{ n }[/math]이 존재한다. [math]\displaystyle{ R }[/math]이 가환환이므로, 이항정리에 의해

[math]\displaystyle{ \begin{align} (a+b)^{2n}&=\binom{2n}{0}a^{2n}+\binom{2n}{1}a^{2n-1}b +\binom{2n}{2}a^{2n-2}b^2+\cdots + \binom{2n}{n}a^n b^n + \binom{2n}{n+1}a^{n-1}b^{n+1}+\cdots + \binom{2n}{2n}b^{2n}\\ &=\binom{2n}{0}a^n a^n + \binom{2n}{1}a^n a^{n-1} b + \binom{2n}{2}a^n a^{n-2}b^2+\cdots +\binom{2n}{n} a^n b^n + \binom{2n}{n+1}a^{n-1}b^n b +\cdots + \binom{2n}{2n}b^n b^n \\ &=0_R+0_R+0_R+\cdots+0_R+0_R+\cdots + 0_R\\ &=0_R \end{align} }[/math]

이고

[math]\displaystyle{ (ab)^n = \underbrace{(ab)(ab)\cdots (ab)}_{n\text{ times}} = a^n b^n = 0_R 0_R = 0_R }[/math]

이므로 [math]\displaystyle{ a+b }[/math][math]\displaystyle{ ab }[/math]는 멱영원이다. 한편 [math]\displaystyle{ -b }[/math]도 멱영원이므로, 부분환 판정법에 의해 원하는 결론을 얻는다.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