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블레스 (만화)/스토리

내용 누설 주의 이 부분 아래에는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가 포함되어 있어, 열람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시즌1

어느 건물의 방 안, 십자가 표시의 에서 어느 한 남성이 깨어난다. 그는 방 안을 둘러보더니 원거리에서 커튼에 손을 대지 않고 젖히는 시늉만으로 검은 커튼을 젖히고 베란다 문을 연다. 그는 베란다로 나가 햇살을 만끽한다. 그는 베란다 아래 거리를 보는 데 고등학교 등교 시간이라 많은 예란고등학생들이 거리를 걸어가고 있다. 그 모습을 본 그는 원래 검은 색의 옷에서 예란고의 흰 교복으로 옷을 변신시킨다.
예란고등학교 학생들이 가는 방향으로 무작정 가던 그. 갑자기 학생들이 뛰기 시작하는 데 그 중 붉은머리 남학생이 그를 보고는 우리 학교에서 처음 보는 학생이라고 생각한다.처음 보는 학생 맞다
시간이 흐른 후, 그는 예란고 정문에 도착하고 지각한 벌을 마지막까지 달게 받고 있던 붉은머리 남학생과 오늘 정문을 담당한 패도르[1] 교사와 마주치게 된다.
패도르 교사는 이제 학교에 온 그를 보며 말을 거나 그는 알 수 없는 외국말로 답한다. 그런 그를 보며 패도르 교사와 붉은 머리 남학생은 전학생이라고 생각한다. 패도르 교사는 한신우(붉은 머리 남학생)에게 그를 이사장실로 데려가라는 임무를 맡긴다. 신우는 그를 이사장실로 안내하고 자기 교실로 가고 그는 이사장실로 들어간다. 금발의 이사장은 서류를 보며 오늘은 전학생이 없는데?라며 중얼거리다 이사장실에 들어온 그를 보고 놀란다.
이사장(프랑켄슈타인)은 그(카디스 에트라마 디 라이제르)를 보고 무릎을 꿇으며 마스터라고 부른다. 그리고는 라이제르에게 를 대접해준다. 라이제르는 프랑켄슈타인의 대화로 자신이 820년 동안 수면기에 들었었다는 사실과 프랑켄슈타인을 비롯한 몇몇 이들이 실종된 자신을 찾으려 했으나 수백년 동안 찾지 못했음을 알게 된다. 라이제르는 프랑켄슈타인에게 문지기의 분위기가 제법이었다고 말한다. 그 말을 들은 프랑켄슈타인은 오늘 정문 담당인 패도르 교사를 떠올리고는 이 곳은 학교라고 알려주며 아이들이 교육을 받는 곳이라고 말해준다.
패도르 교사 반의 교실, 패도르 교사가 학생들에게 새 전학생 라이제르를 소개시켜 준다. 자신을 소개하라는 패도르 교사의 요청에 라이제르는 한국어 반말로 대답하고, 패도르 교사는 이사장이 했던 부탁[2]을 떠올리며 꾸욱 참는다. 패도르 교사의 지시대로 라이제르는 한신우 옆 자리인 만화 주인공이 교실에서 자주 앉게 되는 자리인 교실 창가 맨 뒷자리에 앉는다.
신우는 교과서를 가져오지 않아 원래 교과서가 없던 라이제르와 함께 노트북으로 필기하는 친구(우익한)와 같이 앉는다. 신우는 잘 생긴 라이제르의 외모로 인해 반 여학생들의 시선이 쏠리자 자신이 왜 그런 시선[3]을 받아야 하는지 억울하다며 책상 위에서 파닥거리고 때마침 수학 시간이어서 칠판에 수업 내용을 쓰고 있던 패도르 교사의 속 반응은 (신우 저 놈) 그냥 죽여버릴까하는 반응...
프랑켄슈타인은 라이제르가 깨어났던 장소에서 관을 보며 4개월 전 새로 지어진 건물이고 1개월 전 누군가가인수했다면서 모든 게 철저히 계획된 일이라며 독백. 하지만 마스터가 이 안에 잠들어 있었다는 사실은 아무도 몰랐을 거라며 관에 대한 조사 계획과 라이제르가 이 곳에서 깨어난 이유에 대해 조사 진행 중이다.
프랑켄슈타인은 이사장실에서 라이제르에게 마스터가 깨어난 곳에 다녀왔었다고 알린다.


각주

  1. 학생들이 붙여준 별명이다.
  2. 외국에서 자라왔으니 한국 문화에 대해 모르는 게 있더라도 양해해달라는 부탁
  3. 라이제르랑 같이 앉아서 부럽다 혹은 질투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