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틀즈

121.179.85.24 (토론)님의 2023년 5월 28일 (일) 19:10 판 (→‎상세: 너무 비어있어서 내용 추가했습니다. 타 사이트에서 기여한 부분이 큰 부분 첨가 및, 새로 작성했습니다)
The Beatles
그룹 정보
나라 영국
장르 팝ᆞ
활동기간 1963년 ~ 1970년
구성원
존 레논
폴 매카트니
조지 해리슨
링고 스타
전구성원
피트 베스트
스튜어트 서드클리프

앞 줄의 네 명. 왼쪽부터 존 레논, 폴 매카트니, 조지 해리슨, 링고 스타

소개

비틀즈는 영국의 전설적인 4인조 밴드이다. 1963년 영국리버풀에서 데뷔하여 1970년까지 활동했다. 멤버는 해체 때(1970년)를 기준으로 존 레논, 폴 매카트니, 조지 해리슨, 링고 스타이다.

상세

대중음악을 넘어 전 세계 문화를 상징하는 아이콘이자, 1960년대아직 근대의 색채가 강했던 시대에서 현대 시대로 이끈 사회문화의 지휘자였다.

비틀즈는 대중음악을 영원히 바꿨다는 평가부터 대중음악의 역사는 비틀즈의 등장 전후로 나눈다는 평가까지 나올 정도로, 현대 대중음악의 창세기로 평가받는 등 위대한 음악적 성과를 이루었다.[1][2] 역사 이래로 상업적으로 가장 성공한 뮤지션으로서, 2001년 기네스북에 가장 많은 음반을 판 것이 인정되어서 등재되었고, 멤버인 폴 매카트니는 음악 업계에 종사하는 모든 사람 중 세계 최고의 갑부로 뽑혔고, 비틀즈는 활동 당시 수익의 97%가 넘는 세금을 정부에 바쳤어야 했다.

저널, 평단, 평론가들 사이에서 가장 위대한 음악가를 뽑으라면 언제나 1등을 놓치지 않는 밴드. 데이터 분석 결과, 가장 영향력 있는 아티스트로 선정됐다.[1] 음악사로 보면 비틀즈를 기준으로 본격적인 현대 대중음악의 시대가 시작된다 할 수 있다. 이렇게 모던 팝 시대를 이룩하면서, 문화와 사회도 전반적으로 혁신시켰다고 평가받는다.[3] 정치인들은 비틀즈가 시대를 바꿨다고 언급한다.[2]

음악계를 비롯한, 정치, 사회, 문화, 다방면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타임에서는 가장 중요한 인물 100인에서 한 명으로 선정됐다.

우리 나라에선 Let It Be와 Yesterday, All You Need Is Love 등의 곡으로 잘 알려져 있다.

2015년 5월 2일, 비틀즈의 멤버였던 폴 매카트니의 내한공연이 서울에서 이루어졌다.

멤버

음악적 영향

1950년대의 초창기 로큰롤과 초기 R&B의 혼합으로 사장된 로큰롤의 부활을 이끌면서, 기본 로큰롤에서 다채로운 록 음악으로의 진화에 기여하며 거의 모든 장르의 대중음악에 영향을 끼쳤으며, 다양한 시도들로 현대 대중음악의 기반을 만든다. 척 베리와 같은 아티스트들이 로큰롤이라는 신생 장르를 개척하고, 엘비스 프레슬리는 이를 세계적 주류 문화로 끌어올렸다. 이어서 1960년대에 등장한 비틀즈가 다양한 실험적 시도들과 철학적인 가사, 앨범 전체의 통일적 구성, 타 장르와의 크로스오버, 예술성과 대중성의 조화 등을 통해 이성과의 연애를 주로 노래하던 기존 대중음악계를 보다 다양한 예술적인 장르로 발전시킨 장본인이다. 이러한 성취는 록 음악의 각종 하위 장르들을 비롯해 대부분의 대중음악 장르들의 탄생과 발전에 기여하고 영향을 주었다. 비틀즈는 대중음악이 만들어지는 방식을 바꿨다고 평가받는다.

그리고 대중음악의 예술성을 끌어올리며 문화적으로 합법화시켰다. 1963년 12월, 타임즈에서 클래식 평론가 William Mann이 비틀즈에 대한 감사 인사 등을 썼을 때, 당시 영국 신문의 '예술 섹션'에서 처음으로 대중음악이 노출된 것이었다. 비틀즈는 1966-67년 동안 저널리스트와 지식인 사이에서 대중음악과 록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주요 현상이었으며, 전용 언론의 출현, 문화 주류에서 진지한 보도가 동시에 발생했다. 음악 평론가 팀 라일리는 비틀즈를 "매우 복잡한 예술"을 대표하는 대중음악 최초의 레코드 아티스트로 식별했다. 비틀즈는 대중음악에 대한 사람들의 생각을 바꿨다고 평가받고 있다.[3]

비틀즈의 명반 중 하나인 Rubber Soul은 앨범 자체가 통일성을 이룬 하나의 예술 작품이 된 현대 대중음악계의 최초의 사례였다. 여기서 현대 대중음악의 최초라는 뜻은, 재즈와 영화 사운드 앨범을 제외해서 뜻한다. 이렇게 싱글곡 기준이었던 기존의 대중음악계에 예술성을 이룬 앨범으로 파란을 몰고오며 당시 활동하던 다른 뮤지션들에게 큰 자극을 주며 그들도 싱글곡 위주가 아닌 명반 제작에 몰입하게 되는데, 이렇게 앨범시대를 개막하며 대중음악의 판도를 뒤집었다.

그렇게 음악 창작 활동을 앨범 위주로 만들면서, 앨범 커버 또한 중요성을 부각하게 한다. 그동안 그저 표지에 지나지 않았던 앨범 커버에 신선한 시도들을 도입하면서 앨범 커버의 예술화를 이끌었다. 이러한 비틀즈의 시도들은 예술계에도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그동안 포크 음악계를 제외하곤, 단순하거나 그저 연애만 노래했던 대중음악계에서의 노래 가사에도 혁신을 일으킨다. 사회, 인생, 평화, 사상등 여러 주제로 또한 여러 방식의 작사 방식으로 대중음악계의 가사 형식에 혁신을 불러왔다. 비틀즈의 노래들은 문화계에도 영향을 미친다.

대중음악사 최고 역작으로도 불리는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는 당시 록 음악으로 대표됐던 대중음악의 인식을 모든 세대에게 전환하게 만든 작품으로 불린다. 브리티시 인베이전 이후, 현대 대중음악사에서 성별, 세대를 구분하지 않고 같은 장르를 보편적으로 즐기게 만든 것은 페퍼 상사가 최초였다.

1960년대 미국 음반의 시장의 최고 60% 이상의 판매고를 보이면서, 대중음악 시장에 그동안 유래없던 대호황을 불러오며 음악 시장에 폭발적인 성장을 일으킨다. 게다가 당시는 테이프나 CD도 아닌 LP가 유행하던 시기인데, 테이프나 CD에 비해 몇배나 비쌌던 점을 생각하면 가히 놀랍지 않다 할 수 없다.

뮤직비디오 또한 비틀즈가 최초로 시도했다. 또한, 또 다른 비틀즈의 명반 Revolver부터 각종 실험적인 기법을 적용하면서 실험음악과 대중음악 사이의 경계를 허물었다.

히트곡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