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랄해

Flyingcat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5월 30일 (일) 14:53 판


개요

아랄 해(Aral Sea, 카자흐어: Арал Теңізі, Aral Tengizi, 우즈베크어: Orol dengizi, 러시아어: Аральскοе мοре)는 카스피 해의 동쪽에 위치한 중앙아시아염호다. 카자흐스탄 남부와 우즈베키스탄 북부 사이에 있으며 한때 표면적 68,000km2으로 세계 4위의 호수였으며 평균 수심은 16m, 최대 수심은 69m로 면적에 비해서는 얕은 편이었으나 1,100km3로 상당한 물을 가지고 있었나. 그러나 강물의 유입이 해마다 줄어들면서 면적이 급격하게 감소하고 3개의 호수로 갈라졌다.

유입되는 주요 하천으로는 아무다리야 강시르다리야 강이 있으며 그외에는 지하수를 통해서 유입된다.


줄어드는 이유/영향

  • 호수가 줄어들고 있는 것은 1960년대부터 소비에트 연방이 중앙아시아에서 대규모 면화 재배를 위해 아랄 해로 들어오는 아무다리야 강과 시르다리야 강의 물을 중간에 차단하고 관개용수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 호수로 유입된 물이 크게 줄자 염도가 3배 이상 높아지고 수량이 70%이상 감소했다
  • 호수가 작아지면서 그곳에 살고 있던 철갑상어와 잉어 등 토착 어종이 사라졌으며 어업으로 번성하던 주변 어민들은 생계를 잃게 되었다
  • 말라버린 호수 바닥은 소금 사막이 되었음
  • 염분과 살충제의 잔류물이 바람을 타고 300km까지 확산되어 작물과 야생 동물이 고사하고 목초지가 황폐화되었다
  • 주민들은 물부족과 빈혈, 폐질환 등 각종 질병에 시달리고 있다
  • 1980년대 중반 아랄 해 인근지역에서는 유아와 산모 사망률이 구 소련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 이 현상으로 '소금비'라는 새로운 단어가 만들어지기도 했다
  • 호수가 축소되자 이 지역에서는 한서의 차가 커지고 비도 적게 내려 작물의 생산량도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 무기 실험·산업화·화학비료의 영향으로 아랄 해는 심각하게 오염되어 있다

1994년 이후 아랄해를 복구하기 위한 프로젝트가 진행중이다. 목적은 아랄해의 소멸을 막고 1960년대 수준으로 되돌리는 것.

기타

  • 러시아 제국 시절에는 러시아 해군이 배치되기도 했었다.
  • 카스피해와 달리 아랄해는 완전히 고립되어 있기 때문에 바깥 바다의 배가 자력으로 아랄해로 출입할 수 없다. 물론 다 말라가는 호수에 들어가서 뭘 하겠냐마는...


같이 보기

참고

이 문서는 제타위키아랄 해 문서에서 분기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