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스트

Kosta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2월 2일 (화) 12:27 판
{{{게임이름}}}
게임 정보
개발사 페이스펀치 스튜디오
장르 어드벤처 게임
플랫폼 Windows, OS X, 리눅스
모드 멀티플레이
언어 영어
엔진 유니티 엔진

개요

러스트》(Rust)는 2013년 12월 12일스팀에서 발매된 온라인 게임이다. 페이스펀치 스튜디오가 만든 PK 생존 게임으로. 카운터 스트라이크 시리즈를 만들었던 민 리가 개발에 참여했다. 공식적으로 한국어를 지원한다.

게임 플레이

쉽게 말해 마인크래프트 + 배틀그라운드라고 요약할 수 있다.

플레이어는 오직 생존하면서 자원을 모아 집을 만들고 다른 플레이어와 손을 잡거나. 그 다른 플레이어를 가차없이 죽이는 잔혹무비한 게임이다.

한 번 죽으면 욕이 나오는 게임이지만 로그아웃하면 그자리에서 무방비로 잠들게되는데 엄청난 아이템을 가진 플레이어가 로그아웃했다가 템이 하나도 없는 플레이어에게 걸리면 끔찍해진다.

다른 플레이어를 PK하는 게 목적이나 다름 없는 게임이기에 상대방 집을 공격하거나 아니면 세력 만들어 전쟁을 일으킨다든지 먹고 살아가기 위해 가지가지 먹고 살아가든지 하는 게임이다.

기초

접속

서버는 공식 서버, 사설 서버, 모드 이렇게 나뉜다. 특별히 서버를 즐겨찾기 해놓을 수는 없지만 '기록'을 통해서 자신이 접속했던 서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서버의 건척물, 아이템이나 진행 상황 등은 그 서버만에만 존재하고 다른 서버와 연동되지 않는다.

공식 서버는 러스트 운영사가 직접 운영하는 서버로 24시간 돌아간다. 한국 서버는 없으며 그나마 핑이 가장 적은 서버는 동남아시아 SEA 서버 3개(Main, Long, Medium)가 있다.

사설 서버는 유저가 어드민이되어 직접 서버 프로그램을 다운 받아 여는 서버로 한국인들이 열어주는 한국 서버들도 꽤 있다. 핑이 적고 한국 유저들과 의사소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24시간 돌아가는 공식 서버와 달리 어드민이 서버를 돌리고 있는 동안에만 접속 가능하며 갑작스럽게 어드민이 서버 운영을 중단하면 그동안의 진행 내역이 모두 사라진다는 단점이 있다. 어드민은 다양한 콘솔 치트를 사용할 수 있는데 막장으로 운영되는 서버는 들어가지 않는게 좋다.

모드 역시 유저들이 운영하는 서버로 여기에는 게임의 다양한 룰을 직접 수정하는게 가능하다. 사설 서버도 어느정도의 설정은 조정할 수 있지만 모드는 아예 다른 게임 플레이를 만드는게 가능해지며 좀비 모드 등 다양한 모드들이 존재한다.

서버에서 로그아웃 하고 있는 동안에는 캐릭터가 잠을 자고 있는 상태가 된다. 수면 모드에 있을때는 다른 플레이어에게 쉽게 죽거나 약탈당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한 집을 짓고 그 안에서 로그아웃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로그아웃 하고 있는 동안에도 갈증과 배고픔 스테미나가 닳는지는 불확실. 확인 후 수정 예정)

약간의 기지를 지을 시간이 없다면 덤불에서 로그 아웃을 시도 할 수 있지만 성공 여부는 서버 인구와 로그 오프 한 지역에 따라 다릅니다.

죽게되면 모든 아이템을 잃어버린채로 리스폰되며, 특별히 침낭을 설치해놓지 않은 상황이면 주로 맵 외곽 바닷가 부근에서 시작한다. 침낭을 설치해놓았을 경우, 침낭의 위치에서 리스폰된다. 리스폰 되어도 설치해놓은 건축물이나 상자에 저장해놓은 아이템은 유지된다.

자원 획득

일단 서버에 처음 접속하게 되면 짱돌과 횃불 외에는 아무것도 없이 시작한다. 우선 짱돌로 나무나 돌을 캐야하는데, 나무의 경우는 빨간 X자로, 돌의 경우 빛나는 구간을 노려줘야 빠르게 캘 수 있다.

참고로 돌은 여러가지 종류가 있으며 아무것도 얻을 수 없는 일반 돌, 캐지 않고 그냥 획득 가능한 돌, 캐야 획득 가능한 돌 등이 있다. 얼핏 비슷비슷해서 구분하기가 어려운데 아무것도 얻을 수 없는 돌은 살짝 누렇지만 획득 가능하거나 캐야하는 돌은 좀 더 하얀색에 가까우며 바로 획득 가능한건 작고 캐야하는건 좀 더 크고 윤기가 흐르므로 구분이 가능하다.

스테미나

러스트에서는 총 3개의 스테미나가 존재하는데 체력, 갈증, 배고픔이다. 체력은 당연히 0이 되면 죽고, 갈증이나 배고픔 상태가 되었을때도 서서히 체력이 줄어든다. 갈증은 강가의 물을 마시면 회복되나, 바닷물은 소금물이기 때문에 먹을 수 없고 정 먹으려면 정수시켜 먹어야한다. 배고픔은 음식을 먹으면 해결되는데, 주로 사막지대의 강가에서 옥수수나 호박 등을 많이 얻을 수 있기에 이쪽에 터를 두는 것을 추천한다.

인벤토리 사용법

TAB을 눌러서 인벤토리를 열 수 있다. 아이템을 좌클릭 시 설명이 나타나고, 버리기나 먹기 마시기 등 버튼으로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인벤토리 위에 제작으로 들어가 다양한 아이템들이 나오는데 더블 클릭 함으로써 아이템을 만들 수 있다. 아이템 별로 제작이 완료되는데 시간이 소모되는데 이 기간 안에 취소를 시킬 수도 있다. 참고로 제작에 들어가지 않아도 현재 있는 자원으로 만들 수 있는 아이템을 인벤토리 오른쪽 하단 QUICK CRAFT 에서도 표시된다.

여러개로 뭉쳐있는 아이템을 분할하려면 한번 클릭한 채로 아래에 있는 바로 갯수를 조절한 뒤 그 바 오른쪽에 위치한 아이템을 드래그 해서 분리가 가능하다. 아이템은 오른쪽 마우스를 꾹 눌러 인벤토리 내 위치를 바꾸거나 상자 등에 집어넣을 수 있고 분리된 아이템을 같이 묶을 수 있다. 다만 아이템을 묶을 수 있는건 1,000개가 한개라 그 이상은 무조건 분리된다.

아이템에 오른쪽 마우스를 누르면 드래그 하지 않고 간편하게 다른쪽 아이템 창(상자 등)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건축

나무 목재를 충분히 획득했으면 이제 건축을 할 차례이다. TAB을 눌러 인벤토리에 들어가고 제작에 들어가 '건축도안(Building Plan)'을 만들어준다. 토대, 지붕, 벽 등 다양한 건축물을 이용해 집을 제작할 수 있다. 집은 생존을 위해 가장 필수적인 요소이다.

한번 벽이나 바닥을 지었을 경우 10분 내라면 망치를 통해 삭제할 수 있다. 하지만 10문이 지나거나, 10분안에 재질을 업그레이드 하면은 더 이상 철거가 불가능하다. 자신이 설치한 벽이라도 철거를 하려면 긴 시간을 들여 부수거나 C4를 이용할 수 밖에 없으므로 마인크래프트나 포트나이트 같은 자유로운 확장 공사는 불가능하기에, 처음 지을때 신중하게 지어야한다.

테이블, 상자, 용광로 같은 설치물은 그 안에 담인 아이템이 아무것도 없고 잠겨져있지 않은 한에서 망치를 들어 E키를 꾹 눌러 회수가 가능하다. 문의 경우 잠겨져 있지 않는 상태로 열어둔채로 E키를 꾹 눌러 회수 가능하다.

집 등의 기지를 지으면 '도구함'을 배치하는게 좋다. 그러면 반경 50m 이내가 내 사 유지로 등록되어 권한이 있는 사람만 건축이 가능해진다. 또한 재료를 넣어 집이 부식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구함에 재료가 없는 집은 서서히 부식되기 시작하여 방치되면 결국 부숴지게 된다. 참고로 도구함에 집어넣어야 하는 재료는 집을 이루고 있는 재료에 따라 결정된다. 토대, 벽, 지붕 등이 많을 수록 비례해서 거기에 사용된 재료를 요구하게 된다. 이는 집에 설치된 문의 재질도 영향을 준다.

맵 요소

잡동사니나 전리품

녹슨 자동차나 잡동사니가 모여있는 곳에서 쉽게 드럼통이나, 전리품 상자등을 발견할 수 있다. 드럼통은 깨부셔야 아이템이 나오며 폐철물을 얻기에 용이하다.

외부 링크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