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어 명명법

Chirho (토론 | 기여)님의 2016년 5월 16일 (월) 10:30 판 (새 문서: ==개요== 별자리의 별의 이름을 붙이는 방식으로 독일의 천문학자 요한 바이어가 만든 명명법이다. 1603년에 우라노메트리아(Uranome...)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개요

별자리의 별의 이름을 붙이는 방식으로 독일의 천문학자 요한 바이어가 만든 명명법이다. 1603년에 우라노메트리아(Uranometria)에 붙인 것이 시초로 이후 1922년에 확정된 현대 별자리를 기준으로 별자리들이 재지정되었다.

명칭을 붙이는 방식

별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1]을 α성으로, 그 다음 밝기를 그리스 문자 순서대로 β, γ, δ...ω의 순서로 붙인다. 예를 들어 센타우루스자리의 가장 밝은 별은 바이어 명병법으로 표기하면 α Centauri, 약자로는 α Cen이 되며 한국어로는 센타우르스자리 α 또는 센타우루스자리 알파와 같이 표기된다. 또한 쌍성계 혹은 다중성계일 경우 α Centauri A/B와 같이 표기하거나 α1~2 Centauri와 같이 그리스 문자 뒤에 숫자로 첨자를 붙여서 표기하기도 한다.

기타 유의사항

  • 바이어 당시에는 별의 밝기(광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딱히 없었기 때문에 이전 프톨레마이오스가 분류해 놓은 6등급표에 의해서만 분류가 되어 있다. 이 덕분에 별자리 내에서 가장 밝은 별이 알파별이 아닌 경우가 꽤 많다.
  • 아르고자리처럼 별자리가 여러개의 별자리로 나뉘어지면서 기존의 별자리 부호를 그대로 승계하는 경우에는 나뉜 별자리 내에는 알파성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 세월이 흐르면서 별의 밝기가 변화하면서 별자리 내의 순위가 수시로 뒤바뀌는 경우가 간혹 있다. 특히 나중에 알려진 변광성의 경우는 꽤나 골때리는 케이스
  • 당시 망원경의 한계로 별이 아닌 천체에도 이 방식이 적용된 경우가 있다. 주로 성단이나 성운, 은하와 같은 것들로 사실 이 당시까지만 하여도 각각의 천체들이 눈으로 뚜렷하게 구분되지 않았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 대다수는 바이어 명명법에서 해제되어 해당 천체에 붙이는 방식으로 고쳐졌지만 일부는 그대로 남아 해당 천체의 고유명처럼 쓰이기도 한다.

각주

  1. 안시등급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