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복 (1884년)

QolonQ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12월 12일 (일) 22:02 판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안동시 출신 인물 삭제함, 분류:안동시 출신 추가함)
이승복 (1884년).jpg

李承復. 자는 경양(景陽). 대한민국독립운동가.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생애

1884년 8월 14일 경상도 안동대도호부 남선면 가현리(현 경상북도 안동시 남선면 현내리 더티마을)에서 아버지 이종영(李鍾永)과 어머니 양근 김씨(楊根 金氏) 김규석(金圭錫)의 딸 사이의 4남 3녀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이후 경상북도 안동군 부내면 용상리(현 안동시 용상동)으로 이주하여 이 곳에 본적을 두었다.

그는 1919년 3월 18일 경북 안동에서 김영석(金永石)·김구현(金九鉉) 등과 같이 독립만세시위를 계획하고 오후 5시경 안동장터에서 다수 시위군중과 함께 독립만세시위를 하였다. 이튿날인 3월 19일에도 계속하여 안동경찰서 앞 독립만세시위에 가담하여 독립만세를 외치며 행진하다가 붙잡혔다.

1919년 4월 7일 대구지방법원 안동지청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1년을 선고받아 그 해 5월 10일 대구복심법원에서 공소하였으나 기각되어 다시 상고하였다. 그러나 같은 해 6월 12일 고등법원에서 기각되어 옥고를 치렀다.

그 후 안동군에서 조용히 지내다 1959년 2월 15일에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86년 이승복에게 대통령표창을 추서했고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