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Ho95kr: 두 판 사이의 차이

22번째 줄: 22번째 줄:


----
----
{{애니메이션 정보
{{법령 정보
|구분 = TVA
|법령명=애니메이션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
|장르 = 에듀테인먼트, 퍼포먼스
|약칭=애니메이션산업법
|제목 = 원더볼즈
|제정법령번호=법률 제16690호
|제목/영어 = Wonderballs
|제정일자= 2019년 12월 3일
|제목/기타 =  
|현행법령번호=
|로고 =  
|개정일자=
|그림 =  
|시행일자= 2020년 6월 4일
|화수 = 시즌 당 26화
|상태=현행법
|전작 =
|분야=
|후속작 =
|목적=애니메이션산업 육성ㆍ지원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 애니메이션산업 발전의 기반을 조성하고 경쟁력을 강화함으로써 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국민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 방영 정보: 현지 -->
|관련법령=
|현지국가 = 한국
|원문=http://www.law.go.kr/lsInfoP.do?lsiSeq=211855&efYd=20200604#0000
|방영일자 = 시즌1: 2014년 2월 28일~2014년 8월 22일<br />시즌2: 2019년 2월 25일~2019년 6월 24일
|}}
|최속방송 = EBS1
== 역사 ==
|방영시각 = 시즌1: 금 17:25<br />시즌2:월 09:30→2019년 5월 27일부터 월~수 09:30
|개봉일자 =  
|상영시간 =  
|방영사이트 = https://home.ebs.co.kr/wonderballs/main
|공식사이트 = [https://blog.naver.com/wonderballs 공식 블로그] [https://www.synergymedia.co.kr/studio-wonderballs-1 제작사 홈페이지의 소개] [https://wonderballs2014.tumblr.com/ 공식 텀블러] {{페이스북|wonderballs2014}} {{트위터|wonderballs2014}}
<!-- 제작 정보 -->
|원작 =
|총감독 =
|책임 프로듀서 =
|감독 =
|시리즈 구성 =
|음악 =
|제작사 = [[시너지미디어]]
<!-- 세부 제작 정보 -->
|각본 =
|연출 =
|캐릭터 원안 =
|캐릭터 디자인 =
|메카닉 디자인 =
|배경 =
|총작화감독 =
|작화감독 =
|미술감독 =
|색채설계 =
|음향감독 =
|음악제작 =
|촬영감독 =  
|편집 =  
|특수효과 =
|3D감독 =
|기획 =
|프로듀스 =
}}
== 소개 ==
[[시너지미디어]]에서 만든 [[음악]], [[미술]]을 소재로 해서 만든 애니메이션.
== 스토리 ==
악기, 미술 도구를 공 모양으로 만든 캐릭터가 나와서 음악, 미술 퍼포먼스를 벌이는 애니메이션.
== 등장인물 ==
===미술공 ===
; 디디
: 페인트공. 물감을 뿌리는 걸 좋아한다.


;앙
== 내용 ==
:{{ㅊ|[[성게]]같이 보이는}} 털공. 페인트볼들의 물감으로 그림을 그린다.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ㆍ시행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하술할 애니메이션진흥위원회의 의견을 들어 '애니메이션산업의 진흥에 관한 기본계획'을 수립ㆍ시행해야 한다. 그리고 매년 세부 시행계획을 수립ㆍ시행하여야 한다.
;퐁
:거기에는 애니메이션 산업과 관련한 전문인력의 양성, 기반조성, 기술ㆍ표준의 개발, 국제협력 및 해외시장 진출 지원, 재원의 확보 및 효율적인 운용방안, 산업 활성화를 위한 조사ㆍ연구, 애니메이션 배급 및 이용의 진흥을 위한 조사ㆍ연구, 애니메이션 자료의 수집과 보존에 관한 방안 등의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스펀지공. 물감을 묻혀서 다양한 문양을 찍는다.
*애니메이션산업의 활성화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애니메이션산업에 기여하는 애니메이션업자 및 관련 단체 등에 자금 및 융자 등을 지원할 수 있다.
;푸
*전문인력의 양성
:물공. 좋아하는 색깔에 물을 뿌린다.
:국가와 지자체는 애니메이션산업 관련 전문인력의 수급분석 및 인적자원 개발, 전문인력의 양성을 위한 학계, 산업체 및 공공기관과의 협력 강화에 관한 계획을 수립ㆍ시행하여야 한다.
 
:국가와 지자체는 [[한국콘텐츠진흥원]], 애니메이션 관련 교육 과정이 있거나 애니메이션산업 진흥을 목적으로 설립된 대학, 직업능력개발훈련시설, 문화예술교육시설, 문화예술교육단체, 비영리법인, 그 밖의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기관ㆍ시설 또는 단체에 전문인력 양성기관으로 지정하고 교육 및 훈련에 필요한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지원할 수 있다.
;센
*기술개발의 촉진
:바람공. 콧구명에서 바람을 내뿜는다.
:정부는 기술개발 사업을 실시하는 자에 대하여 소요되는 자금의 전부 또는 일부를 예산의 범위 안에서 출연 또는 보조할 수 있다.
 
*협동 개발 및 연구
;글루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애니메이션 또는 애니메이션상품의 개발ㆍ연구를 위하여 인력ㆍ시설ㆍ기자재ㆍ자금 및 정보 등의 공동 활용을 통한 협동 개발과 연구를 추진하는 자에 대하여 협동 개발 및 연구에 소요되는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지원할 수 있다.
:풀공. 머리가 풀이다.
*공정한 유통환경의 조성
 
:[[통신사]], [[방송사]], [[IPTV]]사업자 등 애니메이션의 제작ㆍ판매ㆍ유통 등에 종사하는 자 합리적인 이유 없이 애니메이션에 관한 지식재산권의 일방적인 양도 요구 등 그 지위를 이용하여 불공정한 계약을 강요하거나 부당한 이득을 취해서는 안된다.
;키트
*표준계약서
:도구공. 다양한 도구들을 갖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공정거래위원회와 방송통신위원회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협의하여 표준계약서를 마련하여 사업자 및 사업자단체에 사용을 권장할 수 있다.
 
*애니메이션진흥위원회 설치
;콩테
:흑연공. 정해진 경로대로 흑연칠을 한다.
 
;레옹
:크래파스공. 일단 꽂히면 코를 박고 그림을 그린다. 면을 색찰하는 게 주특기.
 
;머키스
:검정 크레파스 군단. 원더볼즈 세계의 악동으로 얘만 나타나면 주변 바닥이 검게 변한다.
 
;파코
:[[색연필]]공. 강아지처럼 행동한다. 선을 그리는 게 주특기.
=== 음악공 ===
;비보
:팀파니공. 연주할 때 몸이 두 반구로 갈라지고 속에 있던 음표가 연주를 한다.
 
;쿠야
:마라카스공. 수시로 몸을 흔들어대는데 쉽게 지치지 않는다고 한다.
 
;팅
:실로폰공. 엄청 산만하다.
 
;티요
:캐스터네츠공. 박자감각이 좋다. 공들의 반장 역할을 자처한다.
 
;리코
:아코디언공. 기본 선율을 담당한다.
 
;오코
:오카리나공. 구멍공들이 숨어있다.
 
;바니
:[[바이올린]]공. 자기가 우아하다고 생각한다.
 
;클랭
:심벌즈공. 정신이나 행동이 오락가락한다.
 
;디오
:확성기공. 자기는 소리를 낼 수 없지만 다른 공들의 소리를 키워준다.
 
;붐
:폭탄공. 뜬끔없이 나타나서 폭발한다.
== 에피소드 목록/방영 목록 ==
<!--
~~수정법~~
 
| (화수)
| (제목)
| (방영일)
| (원작 화수)
|-
 
이를 복사 붙여넣기 이동하면 편리합니다.
 
에피소드마다 에피소드 가이드(줄거리 등)를 넣고자 하실 때에는 아래의 것을 복사 붙여넣기 하시기 바랍니다.
 
| (화수)
| (제목)
| (방영일)
| (원작 화수)
|-
|colspan="4"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에피소드 가이드)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90%;"
|-bgcolor="#eeeeee"
! 화수
! 제목
! 방영일
! 원작 화수
|-
|
|
|
|
|-
|}
== 주제가 ==
*오프닝 테마 (곡 이름)
**작사:
**작곡:
**노래:
*엔딩 테마 (곡 이름)
**작사:
**작곡:
**노래:
 
== 미디어 믹스 ==
<nowiki>
[[분류:(국가별) 애니메이션]]
[[분류:(애니메이션 장르)]]
</nowiki>

2020년 10월 10일 (토) 21:44 판

타 위키의 내 기여분을 리브레 위키로 퍼와도 됩니다.

  • 리그베다 위키의 ho95kr
  • 나무위키의 ho95kr

다만 다른 사람이 리브레 위키의 내 기여분을 나무위키로 퍼가는 건 안됩니다.

리브레 위키의 내 기여분에다가 내용을 추가하고 싶으시다면 나무위키로 몰래 가져가는 CCL 위반을 하실 게 아니라 저랑 같이 리브레 위키에서 기여하시는 건 어떠신가요? 터닝메카드 허위사실 위키 등재 사건과 같은 반달만 아니라면 리브레 위키에 신규 기여자가 오는 건 환영하고 있습니다.

주로 기여하는 분야

목표, 바라는 바

  • 리브레 위키를 성장시켜서 나무위키 독과점인 한국어 위키에 경쟁체제 형성: 나무위키의 여러 문제점을 보니 나무위키 독과점 체제를 그대로 두고 볼 수 없었습니다. 나무위키의 기여를 줄이고 리브레 위키를 키우기로 했습니다.
  • 한국 애니메이션의 주류 컨텐츠화: 우리나라에서 애니메이션은 다른 분야랑 다르게 한국산 컨텐츠가 비주류였습니다. 그래서 한국 애니메이션을 영업질하고 있습니다.
  • 요즘 나오는 한국 애니메이션은 다 리브레 위키 문서로 작성하는 걸로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이 위키가 살아남을려면 듣보잡이라고 여겨지는 것까지 다른 위키에 없는 문서를 많이 만들어야겠죠? 다른 위키에 문서로 작성되지 않은 한국 애니메이션이 많은 걸 보고 리브레 위키만의 문서를 많이 만들기에 딱 좋은 분야라고 생각하고 한국 애니메이션 분야를 한국 애니메이션 전문 위키 수준으로 파고들고 있습니다.

메모장

https://blog.naver.com/ilovecharacterblog/221988455013

https://blog.naver.com/ilovecharacterblog/221761363270

B패밀리, 만스터맨션, 꼬마공룡 크앙 작성하기.



애니메이션산업법
제목 {{{이름}}}
목적 애니메이션산업 육성ㆍ지원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 애니메이션산업 발전의 기반을 조성하고 경쟁력을 강화함으로써 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국민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원문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211855&efYd=20200604#0000

역사

내용

  •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ㆍ시행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하술할 애니메이션진흥위원회의 의견을 들어 '애니메이션산업의 진흥에 관한 기본계획'을 수립ㆍ시행해야 한다. 그리고 매년 세부 시행계획을 수립ㆍ시행하여야 한다.
거기에는 애니메이션 산업과 관련한 전문인력의 양성, 기반조성, 기술ㆍ표준의 개발, 국제협력 및 해외시장 진출 지원, 재원의 확보 및 효율적인 운용방안, 산업 활성화를 위한 조사ㆍ연구, 애니메이션 배급 및 이용의 진흥을 위한 조사ㆍ연구, 애니메이션 자료의 수집과 보존에 관한 방안 등의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 애니메이션산업의 활성화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애니메이션산업에 기여하는 애니메이션업자 및 관련 단체 등에 자금 및 융자 등을 지원할 수 있다.
  • 전문인력의 양성
국가와 지자체는 애니메이션산업 관련 전문인력의 수급분석 및 인적자원 개발, 전문인력의 양성을 위한 학계, 산업체 및 공공기관과의 협력 강화에 관한 계획을 수립ㆍ시행하여야 한다.
국가와 지자체는 한국콘텐츠진흥원, 애니메이션 관련 교육 과정이 있거나 애니메이션산업 진흥을 목적으로 설립된 대학, 직업능력개발훈련시설, 문화예술교육시설, 문화예술교육단체, 비영리법인, 그 밖의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기관ㆍ시설 또는 단체에 전문인력 양성기관으로 지정하고 교육 및 훈련에 필요한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지원할 수 있다.
  • 기술개발의 촉진
정부는 기술개발 사업을 실시하는 자에 대하여 그 소요되는 자금의 전부 또는 일부를 예산의 범위 안에서 출연 또는 보조할 수 있다.
  • 협동 개발 및 연구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애니메이션 또는 애니메이션상품의 개발ㆍ연구를 위하여 인력ㆍ시설ㆍ기자재ㆍ자금 및 정보 등의 공동 활용을 통한 협동 개발과 연구를 추진하는 자에 대하여 협동 개발 및 연구에 소요되는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지원할 수 있다.
  • 공정한 유통환경의 조성
통신사, 방송사, IPTV사업자 등 애니메이션의 제작ㆍ판매ㆍ유통 등에 종사하는 자 합리적인 이유 없이 애니메이션에 관한 지식재산권의 일방적인 양도 요구 등 그 지위를 이용하여 불공정한 계약을 강요하거나 부당한 이득을 취해서는 안된다.
  • 표준계약서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공정거래위원회와 방송통신위원회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협의하여 표준계약서를 마련하여 사업자 및 사업자단체에 사용을 권장할 수 있다.
  • 애니메이션진흥위원회 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