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궁: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51번째 줄: 51번째 줄:
첫 국산 함대공 미사일인 해궁은 개함 방공을 위한 단거리 미사일이다.
첫 국산 함대공 미사일인 해궁은 개함 방공을 위한 단거리 미사일이다.
능동 유도방식으로 전 방위에 대한 동시 대응능력을 보유했으며 KVLS를 보유한 국산 수상함들의 차기 근접 방공무장으로 운용될 예정이다.  
능동 유도방식으로 전 방위에 대한 동시 대응능력을 보유했으며 KVLS를 보유한 국산 수상함들의 차기 근접 방공무장으로 운용될 예정이다.  
==개발==
==역사==
==기능==
==기능==
해궁의 유도방식은 기존의 SM-2나 시스패로 같은 반능동 유도가 아닌 능동형 유도 체계를 갖추고 있어 유도가 끊기면, 자체 시커를 가동시켜 목표를 추적한다고 한다.
해궁의 유도방식은 기존의 SM-2나 시스패로 같은 반능동 유도가 아닌 능동형 유도 체계를 갖추고 있어 유도가 끊기면, 자체 시커를 가동시켜 목표를 추적한다고 한다.
64번째 줄: 64번째 줄:


[[세종대왕급]] 이지스 구축함과 [[충무공 이순신급]] 구축함, 그리고 [[광개토대왕급]] [[구축함]]의 경우도 KVLS개수를 받으면 해궁 탑재가 능하다. 그렇지만 광개토급을 제외하면 사거리가 더 긴 SM-2를 버리고 이걸 달아놓을지는 의문.
[[세종대왕급]] 이지스 구축함과 [[충무공 이순신급]] 구축함, 그리고 [[광개토대왕급]] [[구축함]]의 경우도 KVLS개수를 받으면 해궁 탑재가 능하다. 그렇지만 광개토급을 제외하면 사거리가 더 긴 SM-2를 버리고 이걸 달아놓을지는 의문.


[[분류:대공 미사일]]
[[분류:대공 미사일]]

2020년 5월 25일 (월) 05:29 판

{{{무기이름}}}
무기 정보
종류 단거리 함대공 미사일

해궁대한민국의 함대공 미사일이다.

첫 국산 함대공 미사일인 해궁은 개함 방공을 위한 단거리 미사일이다. 능동 유도방식으로 전 방위에 대한 동시 대응능력을 보유했으며 KVLS를 보유한 국산 수상함들의 차기 근접 방공무장으로 운용될 예정이다.

역사

기능

해궁의 유도방식은 기존의 SM-2나 시스패로 같은 반능동 유도가 아닌 능동형 유도 체계를 갖추고 있어 유도가 끊기면, 자체 시커를 가동시켜 목표를 추적한다고 한다. 그렇기에 더 많은 표적을 짧은 시간안억 제압할 수 있고, 초음속 표적에 대한 대응능력이 향상된다. 해궁은 레이더와 적외선 추적방식을 함께 가지고 있어 추적능력이 뛰어난 편이라고 하며, 향후 공대공 미사일로 개량해 사용가능한 수준이라고.

대외적으로 알려진 사거리는 약 20km정도지만 추진체를 교체하면 150km이상의 사거리를 가진다는 카더라가 존재한다. 전투기 등의 표적에는 20킬로미터의 사거리를, 대함 미사일은 15킬로미터 내 요격이 가능하다.

운용 함정

2017년 기준으로 해궁을 운용하는 함정은 다음과 같다.

세종대왕급 이지스 구축함과 충무공 이순신급 구축함, 그리고 광개토대왕급 구축함의 경우도 KVLS개수를 받으면 해궁 탑재가 능하다. 그렇지만 광개토급을 제외하면 사거리가 더 긴 SM-2를 버리고 이걸 달아놓을지는 의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