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기: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Mykim5902(토론)의 편집을 Ho95kr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태그: 일괄 되돌리기
1번째 줄: 1번째 줄:
{{토막글}}
{{토막글}}
[[File:INTERIOR,_FIRST_FLOOR,_DRAWING_ROOM,_SOUTH_WALL,_EAST_DOOR,_PARTIALLY_OPENED_-_Mark_Twain_House,_351_Farmington_Avenue_(corrected_from_original_address_of_531_Farmington_Avenue)_HABS_CONN,2-HARF,16-53.tif|thumb]]
== 개요 ==
== 개요 ==
두 짝 이상으로 된 문짝이 좌우로 움직이면서 여닫는 [[문 (건축물)|문]] 또는 [[창문]]을 말한다. 열 때 문짝은 다른 문짝에 겹쳐지게 된다. 고정된 벽에 겹쳐지는 [[미닫이]]하고는 다르다.  
두 짝 이상으로 된 문짝이 좌우로 움직이면서 여닫는 [[문 (건축물)|문]] 또는 [[창문]]을 말한다. 열 때 문짝은 다른 문짝에 겹쳐지게 된다. 고정된 벽에 겹쳐지는 [[미닫이]]하고는 다르다.  
== 건물에서 ==
== 건물에서 ==
미닫이를 쓰긴 해야 하는 데 도어가 움직일 공간을 확보하기 어렵거나, 미관상 도어를 돌출시키지 않고자 할 때 사용한다.
건물 창문에 가장 많이 쓰이는 방식이다.
== 차량에서 ==
== 차량에서 ==
버스 앞쪽 출입문이 이런 타입이다.
[[버스]] 창문에 쓰이고 있다.
{{각주}}
[[분류:문]]
[[분류:문]]

2019년 6월 19일 (수) 12:24 판

틀:토막글

개요

두 짝 이상으로 된 문짝이 좌우로 움직이면서 여닫는 또는 창문을 말한다. 열 때 문짝은 다른 문짝에 겹쳐지게 된다. 고정된 벽에 겹쳐지는 미닫이하고는 다르다.

건물에서

건물 창문에 가장 많이 쓰이는 방식이다.

차량에서

버스 창문에 쓰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