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딩: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 holding : hold의 진행형 명사 * 금융 거래의 홀딩 : 거래 사실이 통보된 경우 거래 대금을 거래 중지 상태로 묶어두고, 증빙 서류가 접수되면...)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 holding : hold의 진행형 명사
* holding : hold의 진행형 명사
* 금융 거래의 홀딩 : 거래 사실이 통보된 경우 거래 대금을 거래 중지 상태로 묶어두고, 증빙 서류가 접수되면 거래 대금을 출금하는 방식. 주로 [[체크카드]] 해외결제에서 볼 수 있다. - 4주 이상 홀딩되는 경우 홀딩이 풀리는 데, 이후 매출 전표가 접수되는 시점에서 결제 대금보다 잔액이 적은 경우 일단 다 빼가고 본다.
* 금융 거래의 홀딩 : 거래 사실이 통보되었을 때 거래 대금을 거래 중지 상태로 묶어두고, 증빙 서류가 접수되면 거래 대금을 출금하는 방식. 주로 [[체크카드]] 해외결제에서 볼 수 있다. - 4주 이상 홀딩되는 경우 홀딩이 풀리는 데, 이후 매출 전표가 접수되는 시점에서 결제 대금보다 잔액이 적은 경우 일단 다 빼가고 본다.
* [[항공 관제]]의 홀딩 : 항공기를 특정 지점에 묶어두는 것을 뜻한다. 아무곳에서나 묶어두는 것은 아니고 정해진 홀딩 지점이 있다.
* [[항공 관제]]의 홀딩 : 항공기를 특정 지점에 묶어두는 것을 뜻한다. 아무곳에서나 묶어두는 것은 아니고 정해진 홀딩 지점이 있다.
{{동음이의}}
{{동음이의}}

2017년 4월 29일 (토) 16:15 판

  • holding : hold의 진행형 명사
  • 금융 거래의 홀딩 : 거래 사실이 통보되었을 때 거래 대금을 거래 중지 상태로 묶어두고, 증빙 서류가 접수되면 거래 대금을 출금하는 방식. 주로 체크카드 해외결제에서 볼 수 있다. - 4주 이상 홀딩되는 경우 홀딩이 풀리는 데, 이후 매출 전표가 접수되는 시점에서 결제 대금보다 잔액이 적은 경우 일단 다 빼가고 본다.
  • 항공 관제의 홀딩 : 항공기를 특정 지점에 묶어두는 것을 뜻한다. 아무곳에서나 묶어두는 것은 아니고 정해진 홀딩 지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