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기: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철도]]
[[분류:철도]]
{{토막글}}
연결기(coupler)는 [[철도차량]]을 서로 연결하는 기계장치를 말한다.
 
{{youtube|Kf7xhlpFAOQ|||center|[[KTX-산천]] 복합 연결기}}
{{youtube|Kf7xhlpFAOQ|||center|[[KTX-산천]] 복합 연결기}}
== 개요 ==
== 개요 ==
[[철도차량]]을 연결하는 도구.
연결기는 철도차량과 철도차량을 서로 연결하여, 동력차로부터 발생하는 견인력이나, 추진력을 서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 과정에서 연결기는 가해지는 힘을 견디면서, 차량의 유동이나 진동을 감내하면서 규정된 입력이나 동작 없이는 연결상태가 해체되어서는 안된다는 성능이 요구된다.  


== 종류 ==
== 종류 ==
12번째 줄: 13번째 줄:
* 결합 요소에 따라
* 결합 요소에 따라
** 일반 연결기 : 차량 연결만 한다. 기관차-객차 및 객차-객차 연결에서 흔히 보인다.
** 일반 연결기 : 차량 연결만 한다. 기관차-객차 및 객차-객차 연결에서 흔히 보인다.
** 밀착 연결기 : 일반 연결기에 더해서 연결기 면의 유동을 최소화하는 규격을 가진 연결기를 말한다.
** 복합 연결기 : 제동관 관통 및 제어 계통 연동까지 한번에 진행한다. 전동차-전동차 중련 편성에서 흔히 보인다.
** 복합 연결기 : 제동관 관통 및 제어 계통 연동까지 한번에 진행한다. 전동차-전동차 중련 편성에서 흔히 보인다.

2017년 1월 16일 (월) 19:18 판

연결기(coupler)는 철도차량을 서로 연결하는 기계장치를 말한다.

KTX-산천 복합 연결기

개요

연결기는 철도차량과 철도차량을 서로 연결하여, 동력차로부터 발생하는 견인력이나, 추진력을 서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 과정에서 연결기는 가해지는 힘을 견디면서, 차량의 유동이나 진동을 감내하면서 규정된 입력이나 동작 없이는 연결상태가 해체되어서는 안된다는 성능이 요구된다.

종류

  • 결합 방법에 따라
    • 수동 연결기 : 작업원이 직접 연결기를 쇄정한다. 갈고리에 고리를 거는 식의 단순한 연결기가 주류.
    • 자동 연결기 : 연결기를 맞대면 자동으로 쇄정된다. 안전을 위해 해제는 작업원의 조작이 필요하다.
  • 결합 요소에 따라
    • 일반 연결기 : 차량 연결만 한다. 기관차-객차 및 객차-객차 연결에서 흔히 보인다.
    • 밀착 연결기 : 일반 연결기에 더해서 연결기 면의 유동을 최소화하는 규격을 가진 연결기를 말한다.
    • 복합 연결기 : 제동관 관통 및 제어 계통 연동까지 한번에 진행한다. 전동차-전동차 중련 편성에서 흔히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