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녀: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6번째 줄: 6번째 줄:
연구자들은 온라인 게임에서 소속 국가를 나타내기 위해 음식을 사용하는데서 유래했거나,<ref>{{저널 인용|저자=김수아|연도=2015|월=10|제목=온라인상의 여성 혐오 표현|저널=페미니즘 연구|권=15|호=2|쪽=279-317}}</ref>{{rp|297}} 한국을 나타내는 용어로 [[김치]]를 선택하여 한국 여성의 특징을 구분하려고 시도하기 위해 용어에 '김치'가 삽입되었다고 분석한다.<ref name="um16" />
연구자들은 온라인 게임에서 소속 국가를 나타내기 위해 음식을 사용하는데서 유래했거나,<ref>{{저널 인용|저자=김수아|연도=2015|월=10|제목=온라인상의 여성 혐오 표현|저널=페미니즘 연구|권=15|호=2|쪽=279-317}}</ref>{{rp|297}} 한국을 나타내는 용어로 [[김치]]를 선택하여 한국 여성의 특징을 구분하려고 시도하기 위해 용어에 '김치'가 삽입되었다고 분석한다.<ref name="um16" />


김치녀와 반대되는 용어는 탈김치녀, 개념녀, 스시녀 등이 있다.<ref name="um16" />{{rp|212}}
== 용례 ==
== 용례 ==


=== 김치녀가 아닌 여성 ===
김치녀가 한국 여성을 전반적으로 비하하는 말임은 연구자들에게 지적되어 왔지만, 일부 '김치녀' 사용자들은 자신이 비난하는 건 한국 여성의 일부일 뿐이라고 말한다.<ref>{{저널 인용|저자=김수아·김세은|제목='좋아요'가 만드는 '싫어요'의 세계|연도=2016|월=6|저널=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권=31|호=2|쪽=5-44}}</ref>{{rp|25}} 김치녀와 반대로 긍정적으로 평가되는 용어는 탈김치녀, 개념녀, 스시녀 등이 있다.<ref name="um16" />{{rp|212}} '스시녀'는 일본 여성을 가리키는 말로, 스시녀가 긍정적으로 평가받는 이유는 그들의 성격이 온순, 순종적이고 남성에게 경제적 부담을 끼치지 않는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ref name="um16" />{{rp|212-213}}
{{인용문|전에 뉴스에서 보니까 ‘김치녀’라는 게 ‘스시녀’의 반대말로 나온 거더라고요? 근데 진짜 일본여자들은 남자한테 순종적이라고 들은 것 같아요. 완전 한국여자랑 다른 거죠. 한국여자들은 데이트 비용은 무조건 남자들이 다 지불해야 하고, 무조건 남자들이 다 해 줘야 되고 해준다고 고마운 것도 모르고, 자기가 혼자 할 줄 아는 것도 일단 남자한테 시키고 보잖아요.<ref name="hwang14" />{{rp|378}}}}
그러나 실제로는 바람직한 여성상으로 일본 여성이 선택된 것이 아니라, 순종적 여성성만 강조되면서 다양한 관계 및 소비 행위들에 내재한 특수성과 차이들이 배제된 것이며,<ref name="hwang14" />{{rp|378}} [[여성혐오]]가 만들어 낸 인종적 판타지로 간주되기도 한다.<ref>{{저널 인용|저자=한희정|제목=이주여성에 관한 혐오 감정 연구|연도=2016|월=2|저널=한국언론정보학보|호=75|쪽=43-79}}</ref>{{rp|45}}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여성혐오]]
* [[여성혐오]]

2016년 11월 15일 (화) 14:02 판

틀:차별비하

개요

김치녀는 2011년 이후 유행하기 시작한 용어로, 한국 여성을 비하하는 말이다.[1][2] 연구자들은 김치녀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남성과의 관계에 있어 '비합리적'이거나 '개념 없는' 행태를 보이는 여성[1]:376
  • 성적으로 문란하면서 소비사치를 일삼고 남성의 경제력에 기생하려는 속성을 모두 갖춘 한국여성[2]:207

연구자들은 온라인 게임에서 소속 국가를 나타내기 위해 음식을 사용하는데서 유래했거나,[3]:297 한국을 나타내는 용어로 김치를 선택하여 한국 여성의 특징을 구분하려고 시도하기 위해 용어에 '김치'가 삽입되었다고 분석한다.[2]

용례

김치녀가 아닌 여성

김치녀가 한국 여성을 전반적으로 비하하는 말임은 연구자들에게 지적되어 왔지만, 일부 '김치녀' 사용자들은 자신이 비난하는 건 한국 여성의 일부일 뿐이라고 말한다.[4]:25 김치녀와 반대로 긍정적으로 평가되는 용어는 탈김치녀, 개념녀, 스시녀 등이 있다.[2]:212 '스시녀'는 일본 여성을 가리키는 말로, 스시녀가 긍정적으로 평가받는 이유는 그들의 성격이 온순, 순종적이고 남성에게 경제적 부담을 끼치지 않는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2]:212-213

전에 뉴스에서 보니까 ‘김치녀’라는 게 ‘스시녀’의 반대말로 나온 거더라고요? 근데 진짜 일본여자들은 남자한테 순종적이라고 들은 것 같아요. 완전 한국여자랑 다른 거죠. 한국여자들은 데이트 비용은 무조건 남자들이 다 지불해야 하고, 무조건 남자들이 다 해 줘야 되고 해준다고 고마운 것도 모르고, 자기가 혼자 할 줄 아는 것도 일단 남자한테 시키고 보잖아요.[1]:378

그러나 실제로는 바람직한 여성상으로 일본 여성이 선택된 것이 아니라, 순종적 여성성만 강조되면서 다양한 관계 및 소비 행위들에 내재한 특수성과 차이들이 배제된 것이며,[1]:378 여성혐오가 만들어 낸 인종적 판타지로 간주되기도 한다.[5]:45

같이 보기

외부 링크

각주

  1. 1.0 1.1 1.2 1.3 황슬하·강진숙 (2014년 7월). 온라인 여성혐오 담론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방송학보》 28 (4): 356-388.
  2. 2.0 2.1 2.2 2.3 2.4 엄진 (2016년 6월). 전략적 여성 혐오와 그 모순. 《미디어, 젠더 & 문화》 31 (2): 193-236.
  3. 김수아 (2015년 10월). 온라인상의 여성 혐오 표현. 《페미니즘 연구》 15 (2): 279-317.
  4. 김수아·김세은 (2016년 6월). '좋아요'가 만드는 '싫어요'의 세계.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31 (2): 5-44.
  5. 한희정 (2016년 2월). 이주여성에 관한 혐오 감정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75): 43-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