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레스: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블로그을(를) 추가함)
(워드프레스닷컴 추가)
1번째 줄: 1번째 줄:
워드프레스는 오픈소스 설치형 블로그이자 CMS이다.  [[PHP]] 기반이며 라이센스는 GNU GPL v2.
워드프레스는 오픈소스 설치형 [[블로그]]이자 CMS(저작물 관리 시스템)이다.<ref>웹 사이트 제작 도구라고 생각하면 쉽다. </ref> [[PHP]] 기반이며 라이센스는 GNU GPL v2.
 
[https://ko.wordpress.org/ 한국어 공식 홈페이지]
 
[https://wordpress.org/ 영어 공식 홈페이지]
 
== 특징 ==
== 특징 ==
* 다양한 플러그인 및 스킨
* 다양한 플러그인 및 스킨
6번째 줄: 11번째 줄:
* 타임라인식 댓글
* 타임라인식 댓글
* 차단율 99%의 [[스팸]] 트랙백 차단 엔진 Akismet. 재미있게도, 가짜 [[스팸]]에 대해서는 '햄'이라고 부른다.<ref>스팸 차단율은 뛰어나지만 돈을 받는다. pro서비스가 한달에 5달러 정도로, 비싸지는 않은 편.</ref>
* 차단율 99%의 [[스팸]] 트랙백 차단 엔진 Akismet. 재미있게도, 가짜 [[스팸]]에 대해서는 '햄'이라고 부른다.<ref>스팸 차단율은 뛰어나지만 돈을 받는다. pro서비스가 한달에 5달러 정도로, 비싸지는 않은 편.</ref>
== 한국에서 ==
== 한국에서 ==
한국에서의 인지도는 제로에 가깝다. 티스토리 같은 서비스형 블로그에 익숙해 있는 환경 때문. 아무리 워드프레스에서 블로그를 잘 만들어 놓고는 가끔 몇명씩 들어오기 대부분이고, 위젯도 워드프레스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한국에서 블로그로써의 인지도는 매우 낮다. [[티스토리]] 같은 무료 서비스형 블로그에 익숙해져 있는 환경이고,  [[블로그#블로그의 분류|설치형 블로그]]의 특성상 개인 [[서버]]나 [[호스팅]]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다.
 
다만 CMS 툴로써는 어느 정도 쓰이고 있다.  
 
==워드프레스닷컴==
워드프레스에서 서비스하는 서비스형 [[블로그]]겸 웹 사이트 제작 도구다. [[블로그#블로그의 분류|서비스형 블로그]]이기 때문에 워드프레스와는 달리 서버를 준비할 필요가 없다. 모든 워드프레스 테마를 그대로 사용할 수는 없고, 워드프레스닷컴 용으로 지정된 테마만 사용할 수 있다. 무료 사용자는 저장 공간이 3GB로 제한된다.  


그래도 CMS툴로서는 좀 쓰이고 있긴 하지만, 쓸만한 게시판형 플러그인이 없는 바람에 폭발적으로 늘어나지는 못하고 있다.


[[분류:블로그]]
[[분류:블로그]]

2016년 7월 31일 (일) 23:05 판

워드프레스는 오픈소스 설치형 블로그이자 CMS(저작물 관리 시스템)이다.[1] PHP 기반이며 라이센스는 GNU GPL v2.

한국어 공식 홈페이지

영어 공식 홈페이지

특징

  • 다양한 플러그인 및 스킨
  • 높은 자유도
  • 핑백 : 트랙백의 진일보한 형태. 사용하는 다른 블로그의 글을 링크하면 자동으로 해당 주소로 핑백이 전송되어 트랙백이 걸린다.
  • 타임라인식 댓글
  • 차단율 99%의 스팸 트랙백 차단 엔진 Akismet. 재미있게도, 가짜 스팸에 대해서는 '햄'이라고 부른다.[2]

한국에서

한국에서 블로그로써의 인지도는 매우 낮다. 티스토리 같은 무료 서비스형 블로그에 익숙해져 있는 환경이고, 설치형 블로그의 특성상 개인 서버호스팅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다.

다만 CMS 툴로써는 어느 정도 쓰이고 있다.

워드프레스닷컴

워드프레스에서 서비스하는 서비스형 블로그겸 웹 사이트 제작 도구다. 서비스형 블로그이기 때문에 워드프레스와는 달리 서버를 준비할 필요가 없다. 모든 워드프레스 테마를 그대로 사용할 수는 없고, 워드프레스닷컴 용으로 지정된 테마만 사용할 수 있다. 무료 사용자는 저장 공간이 3GB로 제한된다.

  1. 웹 사이트 제작 도구라고 생각하면 쉽다.
  2. 스팸 차단율은 뛰어나지만 돈을 받는다. pro서비스가 한달에 5달러 정도로, 비싸지는 않은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