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괴발개발: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넘겨주기 있음|안녕 괴발개발}}
{{넘겨주기 있음|안녕 괴발개발}}
{{토막글}}
{{토막글}}
{{현재진행중}}
== 개요 ==
== 개요 ==
[[괴발개발]]을 애니화한 작품. [[애니맥스]]의 첫 자체 제작 애니메이션이다. NHC 미디어와 공동 제작했다.
[[괴발개발]]을 애니화한 작품. [[애니맥스]]의 첫 자체 제작 애니메이션이다. NHC 미디어와 공동 제작했다.
6번째 줄: 7번째 줄:
2016년 6월 2일부터 [[KBS 2TV]]에서 매주 목요일 오후 5시에 방송하고 있다. [http://www.kbs.co.kr/2tv/sisa/pawmily/index.html 홈페이지]
2016년 6월 2일부터 [[KBS 2TV]]에서 매주 목요일 오후 5시에 방송하고 있다. [http://www.kbs.co.kr/2tv/sisa/pawmily/index.html 홈페이지]


애니맥스에서는 6월 14일부터 매주 화요일 오후 6시에 방송한다. 정식 방영에 앞서 6월 4일부터 1화를 선행 방영하고 있다. [http://www.animaxtv.co.kr/programs/annyeong-goebalgaebal 홈페이지] 오프닝 전 화면, 시청등급 화면에도 쓰일 정도로 괴발개발 캐릭터를 애니맥스의 마스코트로 밀어주고 있는 듯 하다.
애니맥스에서는 6월 14일부터 매주 화요일 오후 6시에 방송한다. 정식 방영에 앞서 6월 3, 4일에 1화를 선행 방영했다. [http://www.animaxtv.co.kr/programs/annyeong-goebalgaebal 홈페이지] 오프닝 전 화면, 시청등급 화면에도 쓰일 정도로 괴발개발 캐릭터를 애니맥스의 마스코트로 밀어주고 있는 듯 하다.


첫방영한 지 하루  뒤 6월 3일 [http://music.naver.com/album/index.nhn?albumId=641829 OST 앨범]이 나왔다.
첫방영한 지 하루  뒤 6월 3일 [http://music.naver.com/album/index.nhn?albumId=641829 OST 앨범]이 나왔다.
12번째 줄: 13번째 줄:
[https://www.facebook.com/hellopawmily/ 페이스북], KBS 홈페이지에 쓰이는 영어 이름은 Hello pawmily다. 동물의 발을 뜻하는 paw와 가족을 뜻하는 family를 합친 걸로 추정된다.
[https://www.facebook.com/hellopawmily/ 페이스북], KBS 홈페이지에 쓰이는 영어 이름은 Hello pawmily다. 동물의 발을 뜻하는 paw와 가족을 뜻하는 family를 합친 걸로 추정된다.


[[파파독]]과 비슷하게 동물이 짖는 장면과 말하는 장면이 교차되어 나온다.
방영 시기가 오락가락했던 애니다. 원래는 [http://www.toynews.kr/news/newsview.php?ncode=1065590835729827 3월 넷째주]에 나올 예정이였다. [[로보텍스]]가 종영하자마자 방송할려고 했던 것인데 로보텍스가 1화부터 재방송되고 연기되었다. [http://www.toynews.kr/news/newsview.php?ncode=1065589058570509 5월에 1TV에서 나온다는 얘기]도 있었으나 [[캡슐보이]]에게 자리를 내 줬다. 두 차례 연기된 끝에 로보텍스 재방송 시간대를 옮긴 뒤에야 편성되었다.
 
== 특징 ==
다른 일상물 애니와 달리 에피소드가 끝날 거 같은 장면{{*|두순이가 화내는 장면 등}}에서 끝나지 않고 뒷이야기가 더 나온다는 것이 특징이다.
*[[파파독]]과 비슷하게 동물이 짖는 장면과 말하는 장면이 교차되어 나온다.
 
*다른 일상물 애니와 달리 에피소드가 끝날 거 같은 장면{{*|두순이가 화내는 장면 등}}에서 끝나지 않고 뒷이야기가 더 나온다는 것이 특징이다.
셀 방식과 플래시 방식이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korea_ani&no=48684&page=1 혼합]되어 있다.
*셀 방식과 플래시 방식이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korea_ani&no=48684&page=1 혼합]되어 있다. 오프닝과 아방타이틀이 셀 방식이고 본편이 플래시 방식이다.
*원작과 달리 등장인물의 손가락 개수가 5개가 아니라 4개다.
== 등장인물 ==
== 등장인물 ==
=== 인간 ===
=== 인간 ===
83번째 줄: 85번째 줄:


동물들은 요리치인 두순이를 보고 한심해하고 요리 대회를 연다. 심사는 순돌이가 봤는데 쫑알의 연어 스테이크, 유딩의 고구마가 들어간 것으로 보이는 요리가 뽑혔다. 아가의 바퀴벌레 샐러드는 야만적이여서, 랑이의 요리는 개와 고양이가 못먹는 초콜릿이 들어가서 탈락됐다. 결승전에서 쫑알은 치킨파이, 유딩은 감자빵을 만들었다. 결과는 유딩의 감자빵이 승리.
동물들은 요리치인 두순이를 보고 한심해하고 요리 대회를 연다. 심사는 순돌이가 봤는데 쫑알의 연어 스테이크, 유딩의 고구마가 들어간 것으로 보이는 요리가 뽑혔다. 아가의 바퀴벌레 샐러드는 야만적이여서, 랑이의 요리는 개와 고양이가 못먹는 초콜릿이 들어가서 탈락됐다. 결승전에서 쫑알은 치킨파이, 유딩은 감자빵을 만들었다. 결과는 유딩의 감자빵이 승리.
|-
|4||6월 23일||파리 습격사건/도전 사료모델/천둥은 무서워||0.3
|-
|colspan="4"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아가의 이마에 참치캔 기름이 묻었다. 파리가 그 냄새를 맡고 집 안으로 들어왔다. 전자파리채로 쫓아..낸 줄 알았으나 파리떼가 벌떼같이 다시 들어온다. 아가의 파이터 본능으로 다 해치운다.
두순이는 사룟값 때문에 고민을 하다가 뽑히면 사료를 드린다는 광고를 보고 그의 반려동물들을 사료 모델 선발대회에 나가기로 했다. 대회 준비는 알렉스라는 디자이너에게 맡겼는데 의상 디자인이 동물들이 생각했던 것과 반대로 영 아니였다. 결과는 쪽망. 의상 만드는 비용 때문에 더 적자났다.
더운 날. 쫑알이는 비가 내렸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기우제를 지낸다.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그런데 비가 실제로 내렸다]]. 천둥이 치자 순돌이는 산에서 길을 잃었을 때의 [[트라우마]]로 공황 상태에 빠진다. 안타까워하는 다른 동물들은 순돌이를 위해 천둥이 칠 때마다 작전(?)을 펼친다.
|}
|}
{{각주}}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애니메이션]]
[[분류:대한민국의 애니메이션]]

2016년 6월 24일 (금) 18:54 판

틀:넘겨주기 있음 틀:토막글 틀:현재진행중

개요

괴발개발을 애니화한 작품. 애니맥스의 첫 자체 제작 애니메이션이다. NHC 미디어와 공동 제작했다.

2016년 6월 2일부터 KBS 2TV에서 매주 목요일 오후 5시에 방송하고 있다. 홈페이지

애니맥스에서는 6월 14일부터 매주 화요일 오후 6시에 방송한다. 정식 방영에 앞서 6월 3, 4일에 1화를 선행 방영했다. 홈페이지 오프닝 전 화면, 시청등급 화면에도 쓰일 정도로 괴발개발 캐릭터를 애니맥스의 마스코트로 밀어주고 있는 듯 하다.

첫방영한 지 하루 뒤 6월 3일 OST 앨범이 나왔다.

페이스북, KBS 홈페이지에 쓰이는 영어 이름은 Hello pawmily다. 동물의 발을 뜻하는 paw와 가족을 뜻하는 family를 합친 걸로 추정된다.

방영 시기가 오락가락했던 애니다. 원래는 3월 넷째주에 나올 예정이였다. 로보텍스가 종영하자마자 방송할려고 했던 것인데 로보텍스가 1화부터 재방송되고 연기되었다. 5월에 1TV에서 나온다는 얘기도 있었으나 캡슐보이에게 자리를 내 줬다. 두 차례 연기된 끝에 로보텍스 재방송 시간대를 옮긴 뒤에야 편성되었다.

특징

  • 파파독과 비슷하게 동물이 짖는 장면과 말하는 장면이 교차되어 나온다.
  • 다른 일상물 애니와 달리 에피소드가 끝날 거 같은 장면[1]에서 끝나지 않고 뒷이야기가 더 나온다는 것이 특징이다.
  • 셀 방식과 플래시 방식이 혼합되어 있다. 오프닝과 아방타이틀이 셀 방식이고 본편이 플래시 방식이다.
  • 원작과 달리 등장인물의 손가락 개수가 5개가 아니라 4개다.

등장인물

인간

  • 두순

(CV : 배정미[2]) 반려동물 5마리를 키우고 있는 웹툰작가. 반려동물들은 집사라고 부른다.

강아지

  • 쫑알

(CV : 박신희) 원작에서는 찌질이였으나 심의 때문에 이름이 바뀌었다. 찌질이라는 말이 변신자동차 또봇에서도 나온 적이 있고 KBS에서는 7세가 아닌 12세 시청가인 걸 보면 납득하기가 어려운 부분이다. 품종은 미니핀 믹스.

  • 순돌

(CV : 조진숙) 품종은 시츄 믹스.

고양이

셋 다 품종은 코리안 숏 헤어다.

  • 랑이

(CV : 이지현) 털색(머리색)은 노란색.

  • 유딩

(CV : 조진숙) 털색(머리색)은 회색.

  • 아가

(CV : 전태열) 털색(머리색)은 갈색. 바퀴벌레를 잡는 재주가 있다.

에피소드

내용 누설 주의 이 부분 아래에는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가 포함되어 있어, 열람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회차 방송날짜
(2016년, KBS 방송 기준)
부제 시청률(%)
펼치기 버튼을 누르면 스포일러를 포함한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1 6월 2일 로봇청소기 / TV스타 / 범인은 누구? 0.3

집이 깨끗할 날이 없자 두순이는 집에 로봇청소기를 들여놓는다. 하지만 동물들에게 오히려 불편을 주자 동물들은 로봇청소기와의 대결을 선포한다. 로봇청소기의 K.O.로 동물들이 이겼긴 했지만 집안은 다시 괴판개판이 되었다.

순돌이가 두순이와 같이 TV 인터뷰에 나오자 쫑알은 두순을 인기 스타로 만들 계획을 한다. 그 프로젝트의 결과물은 고양이 소리를 내는 강아지였다...

엘사를 닮은 듯한 눈의 여왕 피규어가 깨지는 사건이 발생했다. 두순이는 쫑알을 의심했고 쫑알은 범인 찾기에 나선다. CCTV를 돌려보니 두순이가 떨어뜨려서 깨진 거였다. 의심하기 전에 진작에 돌려봤어야지.

2 6월 9일 방석은 내 거야 / 다이아몬드를 찾아라 / 두순이가 아파요 0.3

추운 날에 다섯 동물이 방석 하나 가지고 쟁탈전을 벌였다. 계속되는 병림픽 끝에 방석은 찠어지고 만다. 두순이는 새 방석을 여러개 샀으니 남의 떡이 더 커이는 법인지 병림픽은 계속되었다.

두순이네 동물들은 두순이네 가족을 호강시키기 위해 다이아몬드를 얻기 위해 땅을 파는 고생을 한다.

동물들이 감기몸살에 걸린 두순이를 간호하는 이야기다.

3 6월 16일 보물은 어디에/유딩의 사랑/우리 집 요리왕 0.1

순돌이는 다른 동물들에게 두순이가 뭔가를 숨기고 있다는 말을 했다. 보물인가 하고 동물들은 온 집안을 뒤지기 시작했다. 그 결과 반려동물 테마파크 티켓을 발견했다. 하지만 이거 하나 찾기 위해 집안이 난장판이 되어서 집에 돌아온 두순이가 부들부들하는 걸로 끝... 인줄 알았으나 두순이와 동물들은 같이 테마파크로 가기로 했다. 하지만 티켓의 기한이 지나버려서 역으로 동물들이 부들부들했다.

유딩은 창 밖에 있는 예쁜 고양이에 반했다. 집 밖으로 나가는 고생 끝에 만난 고양이는 새끼까지 있는 어미고양이였다.

동물들은 요리치인 두순이를 보고 한심해하고 요리 대회를 연다. 심사는 순돌이가 봤는데 쫑알의 연어 스테이크, 유딩의 고구마가 들어간 것으로 보이는 요리가 뽑혔다. 아가의 바퀴벌레 샐러드는 야만적이여서, 랑이의 요리는 개와 고양이가 못먹는 초콜릿이 들어가서 탈락됐다. 결승전에서 쫑알은 치킨파이, 유딩은 감자빵을 만들었다. 결과는 유딩의 감자빵이 승리.

4 6월 23일 파리 습격사건/도전 사료모델/천둥은 무서워 0.3

아가의 이마에 참치캔 기름이 묻었다. 파리가 그 냄새를 맡고 집 안으로 들어왔다. 전자파리채로 쫓아..낸 줄 알았으나 파리떼가 벌떼같이 다시 들어온다. 아가의 파이터 본능으로 다 해치운다.

두순이는 사룟값 때문에 고민을 하다가 뽑히면 사료를 드린다는 광고를 보고 그의 반려동물들을 사료 모델 선발대회에 나가기로 했다. 대회 준비는 알렉스라는 디자이너에게 맡겼는데 의상 디자인이 동물들이 생각했던 것과 반대로 영 아니였다. 결과는 쪽망. 의상 만드는 비용 때문에 더 적자났다.

더운 날. 쫑알이는 비가 내렸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기우제를 지낸다. 그런데 비가 실제로 내렸다. 천둥이 치자 순돌이는 산에서 길을 잃었을 때의 트라우마로 공황 상태에 빠진다. 안타까워하는 다른 동물들은 순돌이를 위해 천둥이 칠 때마다 작전(?)을 펼친다.

각주

  1. 두순이가 화내는 장면 등
  2. 같은 제작사에서 만든 어리 이아기의 주인공인 어리하고 같은 성우다. 두 작품이 서로 비슷하다는 느낌이 들게 하는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