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 RT: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대폭 추가)
태그: 모니위키(나무위키) 문법 사용이 의심됨
22번째 줄: 22번째 줄:
| 업데이트 방식 = [[윈도우 업데이트]]<br />[[윈도우 스토어]]
| 업데이트 방식 = [[윈도우 업데이트]]<br />[[윈도우 스토어]]
| 지원되는 플랫폼 = [[ARM|ARMv7]]
| 지원되는 플랫폼 = [[ARM|ARMv7]]
| 지원 상태 = [[마이크로소프트 서피스]] 시리즈만 [[2017년]] [[4월 11일]]까지 일반 지원<br /><del>나머지는 [[2016년]] [[1월 12일]] 일반 지원 종료 (RT 8.1은 [[2018년]] [[1월 9일]]까지 일반 지원)</del><ref>서피스 RT 외에는 OS 및 기기 차원의 공식적인 라이프사이클을 공개한 없다.</ref>
| 지원 상태 = [[마이크로소프트 서피스]] 시리즈만 [[2017년]] [[4월 11일]]까지 일반 지원<br /><del>나머지는 [[2016년]] [[1월 12일]] 일반 지원 종료 (RT 8.1은 [[2018년]] [[1월 9일]]까지 일반 지원)</del><ref>상기 지원기간은 x86용 8/8.1 기준. 마이크로소프트는 서피스 RT 이외의 OS 및 기기 차원의 공식적인 라이프사이클을 공개한 적이 없다.</ref><br /><del>한줄요약 : '''망함'''</del>
| 이전 버전 = <del>[[Windows CE]]</del><ref>ARM용 운영체제로서</ref>, <del>[[Windows XP|Windows XP Media Center Edition]]</del><ref>초소형 휴대용 PC 운영체제로서</ref>
| 이전 버전 = <del>[[Windows CE]]</del><ref>ARM용 운영체제로서</ref>, <del>[[Windows XP|Windows XP Media Center Edition]]</del><ref>초소형 휴대용 PC 운영체제로서</ref>
| 후속 버전 = <del>[[Windows 10]]</del><ref>8인치급 이상 기기에 대상이 될 수 있으나 [[x86]] 전용이다.</ref>, [[Windows 10 Mobile]]<ref>8인치급 미만 ARM 기기에 한정하며, 연관성이 단절되어 사용자가 업그레이드할 수 없다.</ref>
| 후속 버전 = <del>[[Windows 10]]</del><ref>8인치급 이상 기기에 대상이 될 수 있으나 [[x86]] 전용이다.</ref>, [[Windows 10 Mobile]]<ref>8인치급 미만 ARM 기기에 한정하며, 연관성이 단절되어 사용자가 업그레이드할 수 없다.</ref>
31번째 줄: 31번째 줄:
Windows RT는 [[2012년]] [[마이크로소프트|마소]]가 [[x86]]용 [[Windows 8]]과 동시에 발매한 [[ARM|32비트 ARMv7]]용 운영체제이다. 이름의 RT는 일단은 '''아무 뜻이 없다.'''<ref>그러나 영문 위키백과 기준 편집자들은 '윈도우 런타임' (WinRT)에서 차용했다는 것을 기정사실로 받아들이고 있다.</ref>
Windows RT는 [[2012년]] [[마이크로소프트|마소]]가 [[x86]]용 [[Windows 8]]과 동시에 발매한 [[ARM|32비트 ARMv7]]용 운영체제이다. 이름의 RT는 일단은 '''아무 뜻이 없다.'''<ref>그러나 영문 위키백과 기준 편집자들은 '윈도우 런타임' (WinRT)에서 차용했다는 것을 기정사실로 받아들이고 있다.</ref>


기존 x86 판본들과는 달리 소비자에게 판매되지 않고, MS로부터 라이센스를 취득한 제품에만 내장되어 유통된다. 소프트웨어 개발 킷은 Win8 이상에서 실행 가능하다.<ref>이는 [[Windows CE]]와도 일맥상통한다. OS 자체는 소매로 판매하지 않지만 SDK와 에뮬레이터는 x86용으로 (사실상)공짜로 보급하는 모습은 2016년 기준 20년이 다 되어간다.</ref>
기존 x86 판본들과는 달리 소비자에게 판매되지 않고, MS로부터 허가를 취득한 제품에만 내장되어 유통된다. 소프트웨어 개발 킷은 Win8 이상에서 실행 가능하다.<ref>이는 [[Windows CE]]와도 일맥상통한다. OS 자체는 소매로 판매하지 않지만 SDK와 에뮬레이터는 x86용으로 (사실상)공짜로 보급하는 모습은 2016년 기준 20년이 다 되어간다.</ref>


== 사용 조건 ==
== 사용 조건 ==
아무래도 개발 단계에서부터 제조사들과 긴밀히 협력했<del>다고 쓰고 사실은 꿍꿍이를 짰</del>기 때문인지 마소답지 않게 '''상당한''' 제약이 있(었)다.
=== 하드웨어 ===
=== 하드웨어 ===
<!-- 이하 내용은 MS에서 원본을 찾을 수 없어 [http://www.tabletpcreview.com/news/microsoft-windows-rt-known-and-unknown/] 링크와 한국어·영문 위키백과를 참조함. -->
* 5개의 하드웨어 버튼 : 그 중 하나는 10.5mm (0.4인치) 이상의 길이를 가진 '시작' 버튼이어야 함
* 내장 스피커 및 마이크
* 가속도계 : 3축, 50Hz 이상
* 자력계
* 조도계
* UEFI
* [[GPU]] : WDDM 1.2, DirectX 10 지원
* 화면 : 32비트 컬러, WXGA (1366×768) 이상, 5점 멀티터치
* 카메라 : HD (1280×720) 이상
* 저장공간 : 제품 출하시 여유공간 10GB 이상
* [[USB]] 2.0 : 컨트롤러 1개 이상, 외부 단자 1개 이상
* [[GPS]] (모바일 광대역 통신 지원시에만 해당)
그리고...
* 충격과 공포의 '''[[CPU]] 제조업체 제한''' : [[엔비디아]], [[퀄컴]],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 소프트웨어 ===
=== 소프트웨어 ===
*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2013 Home & Student RT 내장
* Win32 프로그램 실행 불가
{{고지 상자
|배경색=#FBE9E7
|테두리색=#DD2C00
|제목색=#DD2C00
|제목={{{1|<del>주의! 공포스럽고 잔인한 내용이 포함된 문서입니다.</del>}}}
|내용={{{2|<del>이 문서는 공포스럽고 잔인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br />심장이 약하시거나, 이로 인한 불쾌감을 느끼길 원치 않으신다면 열람을 삼가주세요.</del>}}}
}}
* 모든 사용자 소프트웨어는 [[윈도우 스토어]]를 통해서만 설치 가능 : '''데스크탑용 사용자 프로그램 설치·실행 불가'''<ref>사실 충분히 가능하지만 MS 인증서가 있는 프로그램만 실행되도록 막은 것이다.</ref> <del>맙소사!</del>
* '''[[인터넷 익스플로러]] 이외의 웹브라우저 개발 불허''' <del>맙소사! (2)</del>
* '''유니버설 윈도우 플랫폼 대상에서 제외''' : 즉, 2015년 부로 [[사형]] 선고가 내려진 셈이다. <del>맙소사! (3)</del>


== 역사 ==
== 역사 ==
저전력 모바일 CPU에서 구동되는 윈도우는 WinCE까지 거슬러올라가지만, 소비자 지향의 저전력·대화면 기기 (= [[태블릿 컴퓨터]]) 전용으로 개발된 윈도우는 개발명 'Windows on ARM'이 시초라고 볼 수 있다.


WoA는 최초 시연 당시에는 [[Windows 7]]을 기반으로 하여 [http://www.pcmag.com/article2/0,2817,2400055,00.asp 이런] [http://www.engadget.com/2011/01/05/microsoft-confirms-arm-support-is-coming-in-windows-will-play-n/ 모습]을 보였는데, 이것이 Windows 8 개발과 합쳐져 현재의 틀을 잡아가게 되었다.
<!-- 그리고 망했어요. 2013년 루미아 2520 생산 종료하면서 RT도 끝! -->
한참 이후인 2015년 9월, Win8 프리뷰 스타일의 시작 메뉴를 선택할 권리를 주는 업데이트로 마소가 완전히 입을 씻었나 했는데, 2016년 1월 ARM 운영체제 개발자 모집 공고가 올라와 RT도 자연스레 관심을 받게 되었고, 서피스를 위시로 한 RT 사용자층은 이에 실낱같은 희망을 걸고 있다.
== 탈옥 ==
== 탈옥 ==
아무래도 데스크탑 프로그램이 호환되지 않는 한계도 있고, 마소가 RT의 부트로더를 열어주질 않아 다른 운영체제 포팅도 안되는 펌웨어적 제한까지 있었으니, 최소한 내부 기능 제한이라도 없애는 탈옥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있어왔고, 그 중 가장 먼저 나온 건 [[2013년]] 1월 [http://forum.xda-developers.com/showthread.php?p=36319858#post36319858 XDA의 한 유저가 하드웨어적 허점을 찾은 데에서 비롯]하였다. 며칠 지나지 않아 [http://forum.xda-developers.com/showthread.php?t=2092158 소프트웨어 단계에서 이를 이용한 탈옥 툴이 출시]되었고, '''신세계가 열렸다.'''
아무래도 데스크탑 프로그램이 호환되지 않는 한계도 있고, 마소가 RT의 부트로더를 열어주질 않아 다른 운영체제 포팅도 안되는 펌웨어적 제한까지 있었으니, 최소한 내부 기능 제한이라도 없애는 탈옥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있어왔고, 그 중 가장 먼저 나온 건 [[2013년]] 1월 [[XDA-Developers]]의 한 유저가 [http://forum.xda-developers.com/showthread.php?p=36319858#post36319858 하드웨어적 허점을 찾은 데에서 비롯]하였다. 며칠 지나지 않아 [http://forum.xda-developers.com/showthread.php?t=2092158 소프트웨어 단계에서 이를 이용한 탈옥 툴이 출시]되었고, '''신세계가 열렸다.'''


이에 MS는 하드웨어적 설계 결함은 어쩔 수 없어도 소프트웨어 부분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를 통해 막아왔고, 점차 유저들도 업데이트→우회→업데이트→우회→... 의 순환 고리에 지쳐감과 동시에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데 왜 자신이 볼륨 낮게 버튼을 굳이 눌러야 하는지 사소한 짜증이 생겨갔는데...
이에 MS는 설계 결함은 어쩔 수 없어도 소프트웨어 부분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를 통해 막아왔고, 점차 유저들도 업데이트→우회→업데이트→우회→... 의 순환 고리에 지쳐감과 동시에 배치 파일을 실행하는데 왜 자신이 볼륨 낮게 버튼을 굳이 눌러야 하는지 사소한 짜증이 생기던 사이...


2015년 3월, CVE를 통해 [http://www.cve.mitre.org/cgi-bin/cvename.cgi?name=CVE-2015-2552 Windows Server 2012 계열에 대한 익스플로이트]가 공표되었다. 이는 Windows RT에도 해당이 되었는데, 문제(?)는 이 익스플로이트가 소프트웨어적 최종 방어막<ref>'신뢰할 수 있는 부팅' (Trusted Boot)이라는, 신버전 UEFI가 없어도 '보안 부팅' (Secure Boot)을 흉내낼 수 있는 기능이다. [https://social.technet.microsoft.com/Forums/virtualization/ko-KR/b8bde9d0-3b60-488b-9fb3-195cb5935195/-?forum=w8itproko 출처]</ref>을 우회하는 어이 없는 방식이라 <del>[[Microsoft Office|오피스]] 쓰는 학생 다음으로</del>RT의 주 수요자인 기업 고객들의 신뢰를 깎아먹을 수 있었다는 것.
2015년 3월, CVE를 통해 [http://www.cve.mitre.org/cgi-bin/cvename.cgi?name=CVE-2015-2552 CVE-2015-2552]라는 Windows Server 2012 계열에 대한 익스플로이트가 공표되었다. 이는 Windows RT에도 해당이 되었는데, 문제(?)는 이 익스플로이트가 소프트웨어적 최종 방어막<ref>'신뢰할 수 있는 부팅' (Trusted Boot)이라는, 신버전 UEFI가 없어도 '보안 부팅' (Secure Boot)을 흉내낼 수 있는 기능이다. [https://social.technet.microsoft.com/Forums/virtualization/ko-KR/b8bde9d0-3b60-488b-9fb3-195cb5935195/-?forum=w8itproko 출처]</ref>을 우회하는 어이 없는 방식이라 <del>[[Microsoft Office|오피스]] 쓰는 학생 다음으로</del>RT의 주 수요자인 기업 고객들의 신뢰를 깎아먹을 수 있었다는 것.
약 7개월 뒤 MS에서 이 익스플로이트를 해결할 업데이트를 (Server 2012 계열 이전 운영체제에까지) 내놨다고 <del>뒤늦게</del>[https://technet.microsoft.com/en-us/library/security/ms15-111.aspx 보안 공지 (MS15-111)]]를 냈는데, 그 다음날 [[XDA]]의 어느 용자가 [http://forum.xda-developers.com/windows-8-rt/rt-development/jailbreak-exploit-released-t3225051 복붙 하나로 끝내는 손쉬운 탈옥법]을 공개해버렸다!<ref>내용상 원래 자신은 CVE-2015-2552로 탈옥하는 법을 알고 있었지만, 마소가 자기 생각보다 빨리 패치를 내놓는 바람에 일반 대중에게 공개한 것이라 한다. ㄷㄷㄷ...</ref>
약 7개월 뒤 MS에서 이 익스플로이트를 해결할 업데이트를 (Server 2012 계열 이전 운영체제에까지) 내놨다고 <del>뒤늦게</del>[https://technet.microsoft.com/en-us/library/security/ms15-111.aspx 보안 공지 (MS15-111)]를 냈는데, 그 다음날 XDA의 어느 용자가 [http://forum.xda-developers.com/windows-8-rt/rt-development/jailbreak-exploit-released-t3225051 복붙 하나로 끝내는 손쉬운 탈옥법]을 공개해버렸다!<ref>내용상 원래 자신은 CVE-2015-2552로 탈옥하는 법을 알고 있었지만, 마소가 자기 생각보다 빨리 패치를 내놓는 바람에 일반 대중에게 공개한 것이라 한다. ㄷㄷㄷ...</ref>


== 탑재 기기 ==
== 탑재 기기 ==
* [[마이크로소프트 서피스]] 시리즈
** [[서피스 (1세대)|서피스 RT]]<ref>이름이 2번이나 바뀌었다. 처음에는 '서피스 with Windows RT'였다가, 얼마 못가 '서피스 RT'로, 서피스 2가 출시되자 그냥 '서피스'로 바뀌었다. 구분을 위해 보통 '서피스 RT'로 호칭함.</ref>: 2012년 10월 26일 출시
** [[서피스 2]] : 2013년 10월 22일 출시, RT 8.1 탑재
* [[에이수스 비보탭]] RT : 2012년 8월 29일 공개, 2012년 10월 26일 출시
* [[레노보 아이디어패드]] 요가 11 : 2012년 10월 26일 출시
* [[델 XPS]] 10 : 2012년 8월 30일 공개, 2012년 10월 26일 출시
* [[삼성 아티브]][[삼성 아티브 탭| 탭]] : 2012년 12월 14일 '''[[영국]]에서만''' 출시
* [[노키아 루미아]][[노키아 루미아 2520| 2520]] : 2013년 11월 21일 출시, RT 8.1 탑재
== <del>눈물이 앞을 가리는</del> Windows RT 사용자를 위한 팁 ==


{{각주}}
{{각주}}
[[분류:윈도우즈]]
[[분류:윈도우즈]]

2016년 2월 10일 (수) 10:39 판

틀:운영 체제 버전 정보

개요

Windows RT는 2012년 마소x86Windows 8과 동시에 발매한 32비트 ARMv7용 운영체제이다. 이름의 RT는 일단은 아무 뜻이 없다.[1]

기존 x86 판본들과는 달리 소비자에게 판매되지 않고, MS로부터 허가를 취득한 제품에만 내장되어 유통된다. 소프트웨어 개발 킷은 Win8 이상에서 실행 가능하다.[2]

사용 조건

아무래도 개발 단계에서부터 제조사들과 긴밀히 협력했다고 쓰고 사실은 꿍꿍이를 짰기 때문인지 마소답지 않게 상당한 제약이 있(었)다.

하드웨어

  • 5개의 하드웨어 버튼 : 그 중 하나는 10.5mm (0.4인치) 이상의 길이를 가진 '시작' 버튼이어야 함
  • 내장 스피커 및 마이크
  • 가속도계 : 3축, 50Hz 이상
  • 자력계
  • 조도계
  • UEFI
  • GPU : WDDM 1.2, DirectX 10 지원
  • 화면 : 32비트 컬러, WXGA (1366×768) 이상, 5점 멀티터치
  • 카메라 : HD (1280×720) 이상
  • 저장공간 : 제품 출하시 여유공간 10GB 이상
  • USB 2.0 : 컨트롤러 1개 이상, 외부 단자 1개 이상
  • GPS (모바일 광대역 통신 지원시에만 해당)

그리고...

소프트웨어

이 문서는 공포스럽고 잔인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심장이 약하시거나, 이로 인한 불쾌감을 느끼길 원치 않으신다면 열람을 삼가주세요.
  • 모든 사용자 소프트웨어는 윈도우 스토어를 통해서만 설치 가능 : 데스크탑용 사용자 프로그램 설치·실행 불가[3] 맙소사!
  • 인터넷 익스플로러 이외의 웹브라우저 개발 불허 맙소사! (2)
  • 유니버설 윈도우 플랫폼 대상에서 제외 : 즉, 2015년 부로 사형 선고가 내려진 셈이다. 맙소사! (3)

역사

저전력 모바일 CPU에서 구동되는 윈도우는 WinCE까지 거슬러올라가지만, 소비자 지향의 저전력·대화면 기기 (= 태블릿 컴퓨터) 전용으로 개발된 윈도우는 개발명 'Windows on ARM'이 시초라고 볼 수 있다.

WoA는 최초 시연 당시에는 Windows 7을 기반으로 하여 이런 모습을 보였는데, 이것이 Windows 8 개발과 합쳐져 현재의 틀을 잡아가게 되었다.

한참 이후인 2015년 9월, Win8 프리뷰 스타일의 시작 메뉴를 선택할 권리를 주는 업데이트로 마소가 완전히 입을 씻었나 했는데, 2016년 1월 ARM 운영체제 개발자 모집 공고가 올라와 RT도 자연스레 관심을 받게 되었고, 서피스를 위시로 한 RT 사용자층은 이에 실낱같은 희망을 걸고 있다.

탈옥

아무래도 데스크탑 프로그램이 호환되지 않는 한계도 있고, 마소가 RT의 부트로더를 열어주질 않아 다른 운영체제 포팅도 안되는 펌웨어적 제한까지 있었으니, 최소한 내부 기능 제한이라도 없애는 탈옥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있어왔고, 그 중 가장 먼저 나온 건 2013년 1월 XDA-Developers의 한 유저가 하드웨어적 허점을 찾은 데에서 비롯하였다. 며칠 지나지 않아 소프트웨어 단계에서 이를 이용한 탈옥 툴이 출시되었고, 신세계가 열렸다.

이에 MS는 설계 결함은 어쩔 수 없어도 소프트웨어 부분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를 통해 막아왔고, 점차 유저들도 업데이트→우회→업데이트→우회→... 의 순환 고리에 지쳐감과 동시에 배치 파일을 실행하는데 왜 자신이 볼륨 낮게 버튼을 굳이 눌러야 하는지 사소한 짜증이 생기던 사이...

2015년 3월, CVE를 통해 CVE-2015-2552라는 Windows Server 2012 계열에 대한 익스플로이트가 공표되었다. 이는 Windows RT에도 해당이 되었는데, 문제(?)는 이 익스플로이트가 소프트웨어적 최종 방어막[4]을 우회하는 어이 없는 방식이라 오피스 쓰는 학생 다음으로RT의 주 수요자인 기업 고객들의 신뢰를 깎아먹을 수 있었다는 것. 약 7개월 뒤 MS에서 이 익스플로이트를 해결할 업데이트를 (Server 2012 계열 이전 운영체제에까지) 내놨다고 뒤늦게보안 공지 (MS15-111)를 냈는데, 그 다음날 XDA의 어느 용자가 복붙 하나로 끝내는 손쉬운 탈옥법을 공개해버렸다![5]

탑재 기기

눈물이 앞을 가리는 Windows RT 사용자를 위한 팁

각주

  1. 그러나 영문 위키백과 기준 편집자들은 '윈도우 런타임' (WinRT)에서 차용했다는 것을 기정사실로 받아들이고 있다.
  2. 이는 Windows CE와도 일맥상통한다. OS 자체는 소매로 판매하지 않지만 SDK와 에뮬레이터는 x86용으로 (사실상)공짜로 보급하는 모습은 2016년 기준 20년이 다 되어간다.
  3. 사실 충분히 가능하지만 MS 인증서가 있는 프로그램만 실행되도록 막은 것이다.
  4. '신뢰할 수 있는 부팅' (Trusted Boot)이라는, 신버전 UEFI가 없어도 '보안 부팅' (Secure Boot)을 흉내낼 수 있는 기능이다. 출처
  5. 내용상 원래 자신은 CVE-2015-2552로 탈옥하는 법을 알고 있었지만, 마소가 자기 생각보다 빨리 패치를 내놓는 바람에 일반 대중에게 공개한 것이라 한다. ㄷㄷㄷ...
  6. 이름이 2번이나 바뀌었다. 처음에는 '서피스 with Windows RT'였다가, 얼마 못가 '서피스 RT'로, 서피스 2가 출시되자 그냥 '서피스'로 바뀌었다. 구분을 위해 보통 '서피스 RT'로 호칭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