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녀막: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2번째 줄:
'''처녀막'''은 [[질]]의 외부 구멍을 둘러싸거나 부분적으로 덮고 있는 [[막]]이다. 외음부(외부생식기)의 구성물 중 하나이다. 어린이에서 처녀막은 [[초승달]] 모양이 가장 흔하지만, 다양한 모양이 가능하다.  
'''처녀막'''은 [[질]]의 외부 구멍을 둘러싸거나 부분적으로 덮고 있는 [[막]]이다. 외음부(외부생식기)의 구성물 중 하나이다. 어린이에서 처녀막은 [[초승달]] 모양이 가장 흔하지만, 다양한 모양이 가능하다.  


탄력이 있는 처녀막은 [[성교]] 등으로 인해 늘어나더라도 거의 원래의 상태로 회복된다. 그러나 탄력을 잃은 처녀막은 손상되거나 반복된 관통에 의해 완전히 없어질 수 있다. 또한, 처녀막은 질병, 부상, 의학적 검사, [[자위]], 운동 등에 의해 찢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처녀막이 손상되었다고 해서 반드시 처녀가 아니라고는 할 수 없으며, 반대로 처녀막이 온전하더라도 처녀가 아닐 수도 있다. <del>그렇지만 자전거타기 등의 운동으로 처녀막이 파괴되기는 매우 어려운 것 또한 사실이다.싸이클 선수가 아닌 이상...</del>그럼에도 불구하고, 처녀막의 손상 여부는 처녀선호사상이 만연시되던 시대로부터 남성이 여성을 선택할 때 중요한 기준 중 하나가 되어왔는데 이에 대해선 자연선택에 의한 [[진화]]의 결과라고 보는 측도 있다.  
탄력이 있는 처녀막은 [[성교]] 등으로 인해 늘어나더라도 거의 원래의 상태로 회복된다. 그러나 탄력을 잃은 처녀막은 손상되거나 반복된 관통에 의해 완전히 없어질 수 있다. 또한, 처녀막은 질병, 부상, 의학적 검사, [[자위]], 운동 등에 의해 찢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처녀막이 손상되었다고 해서 반드시 처녀가 아니라고는 할 수 없으며, 반대로 처녀막이 온전하더라도 처녀가 아닐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처녀막의 손상 여부는 처녀선호사상이 만연시되던 시대로부터 남성이 여성을 선택할 때 중요한 기준 중 하나가 되어왔는데 이에 대해선 자연선택에 의한 [[진화]]의 결과라고 보는 측도 있다.  


처녀막이 질 구멍을 완전하게 막고 있는 상태는 [[처녀막 폐쇄증]]이라는 질병에 해당한다.  
처녀막이 질 구멍을 완전하게 막고 있는 상태는 [[처녀막 폐쇄증]]이라는 질병에 해당한다.  

2015년 11월 20일 (금) 14:28 판

처녀막의 외부 구멍을 둘러싸거나 부분적으로 덮고 있는 이다. 외음부(외부생식기)의 구성물 중 하나이다. 어린이에서 처녀막은 초승달 모양이 가장 흔하지만, 다양한 모양이 가능하다.

탄력이 있는 처녀막은 성교 등으로 인해 늘어나더라도 거의 원래의 상태로 회복된다. 그러나 탄력을 잃은 처녀막은 손상되거나 반복된 관통에 의해 완전히 없어질 수 있다. 또한, 처녀막은 질병, 부상, 의학적 검사, 자위, 운동 등에 의해 찢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처녀막이 손상되었다고 해서 반드시 처녀가 아니라고는 할 수 없으며, 반대로 처녀막이 온전하더라도 처녀가 아닐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처녀막의 손상 여부는 처녀선호사상이 만연시되던 시대로부터 남성이 여성을 선택할 때 중요한 기준 중 하나가 되어왔는데 이에 대해선 자연선택에 의한 진화의 결과라고 보는 측도 있다.

처녀막이 질 구멍을 완전하게 막고 있는 상태는 처녀막 폐쇄증이라는 질병에 해당한다.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