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Logo-ubuntu st no®-black orange-hex.png|프레임없음]]
Ubuntu.
Ubuntu.



2015년 4월 24일 (금) 16:19 판

파일:Logo-ubuntu st no®-black orange-hex.png

Ubuntu.

공식홈페이지: http://ubuntu.com

현재 리눅스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배포판.

개요

캐노니컬(Canonical)과 우분투 재단이 지원, 개발하는 리눅스 배포판. '우분투'란 남아프리카 반투어로 '네가 있으니 내가 있다'라는 윤리 사상을 일컫는 말로 공동체 정신, 인류애를 뜻하는 단어다. 2004년, 4.10 Warty Warthog가 첫번째 릴리스였다. 타 배포판에 비해 깔끔하게 정돈된 UI, 현명한 기본 프로그램 선택, 설치의 편리성 등이 특징. 이 특징들로 첫번째 릴리스 이후 순식간에 리눅스 판의 스타로 등극했다. 현재까지도 실질적으로 모든 리눅스 배포판들 가운데에서 가장 많은 사용자 수를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1]

Unity 데스크탑 환경, 우분투 소프트웨어 센터 등, 다른 배포판에는 없는 기능들을 장착하여 개성이 뚜렷한 배포판이다. 현재에는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으로 분야를 넓혀가고 있다.

특징 및 주요 기능

Out-of-the-Box

우분투는 설치한 직후 실사용에 문제가 없는 배포판을 지향한다. 이게 뭐가 특별한가 싶지만, 우분투의 OOTB 철학은 리눅스 배포판들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

기본 소프트웨어

파이어폭스가 기본 웹 브라우저, 리브레오피스가 기본 오피스 프로그램이며, Rhythmbox 음악 프로그램, 썬더버드 이메일 클라이언트 등이 기본 프로그램을 설치되어 온다. 이제는 이런 프로그램 선택이 특별할 것이 없지만, 2004년에는 일대 혁명이었다. 그 이전의 리눅스 배포판들은 두가지 노선을 주로 따랐다. 우선, 사용자가 직접 필요한 프로그램들을 설치하는 방법. 이 경우에는 가벼운 시스템을 추구하여 실사용을 하려면 이것저것 새로 프로그램들을 설치해주어야 했다. 두번째는 필요한 프로그램들을 많이 설치해주고 사용자가 선택하게 하는 방법. 이 경우에는 웹 브라우저도 2개 이상, 텍스트 편집기도 여러개... 이런 식으로 필요 이상으로 많은 프로그램들을 깔아주는 방식이었다. 그런데 우분투는 여기에서 벗어나, 이메일 클라이언트든, 웹 브라우저든, 자신들이 최상이라고 선택하는 프로그램들을 선택하여 한가지씩 설치하여 배포했다.

생각해보라. 초보자가 첫번째 노선의 배포판을 설치했다고 치자. 워드 작업을 해야 한다. 그런데 오피스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뭐지?" 싶어서 웹 검색을 하려고 했더니 웹 브라우저조차 설치되어 있지 않다. 초보자 입장에서는 얼마나 당황스럽겠는가. 두번째 노선을 따른 배포판을 설치했다면, 이번에는 그 여러 프로그램들 중 어느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은 것인지 초보자 입장에서 알 수 있을까?

이런 이유로 우분투는 큰 호응을 받으며 순식간에 인기몰이를 했던 것이다. 게다가 페도라에 비해서 안정적이고, 기본 테마도 깔끔했다. 즉 기본 프로그램 선택은 현재 우분투의 위상을 만든 일등공신이라고 할 수 있겠다.


하드웨어 지원

기본 소프트웨어 선택과 함께 우분투를 키운 일등공신. 우분투는 하드웨어 지원에 굉장히 신경을 많이 쓰고 개발된다. 각종 배포판들 중 기타 드라이버 설치 없이 웬만한 하드웨어를 다 인식하는 건 우분투를 따라갈 만한 녀석이 없다. 리눅스 커뮤니티에 어느 정도 있다보면, "이 하드웨어를 다른 배포판에서는 인식하지 못했는데, 우분투를 설치하자 그냥 작동하더라"와 같은 경험담을 한 번쯤은 듣게 된다.

폰트 렌더링

우분투는 설치 직후부터 폰트가 꽤 예쁘게 보이는 몇 안되는 리눅스 배포판 중 하나이다. 페도라 (운영체제)나, 오픈수세나, 설치 직후에 폰트들을 보면 눈피가 나올이 아플 지경이다. 일단 이 배포판들은 기본적으로 안티에일리어싱이 켜져 있지 않은데다가, X 환경에서 폰트 렌더링을 담당하는 fontconfig가 패치 없이는 폰트를 예쁘게 보여주는 데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우분투는 fontconfig에 자체 패치를 가해 폰트를 굉장히 깔끔하게 출력한다. 다른 배포판에서는 infinality 패치가 가해진 fontconfig를 설치해야 우분투와 유사한 정도의 폰트 출력을 보여준다.

소프트웨어 센터

유니티 데스크탑

대규모 커뮤니티

주요 파생판

역사

버전 일람

논란

잡설

주석

  1. Distrowatch 1위에서는 밀려난지 오래되었으나, 리눅스 관련 웹사이트들의 통계나 스팀 사용자 통계 등을 보면 우분투가 가장 많은 사용자수를 가지고 있음은 변화가 없는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