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카피킬러 기준 표절률 47%, 유사 문장 확인)
태그: 수동 되돌리기
4번째 줄: 4번째 줄:
=== [[1997년 외환 위기]] ===
=== [[1997년 외환 위기]] ===
위의 국제 통화 기금에 의한 긴급 자금 수혈 및 경제 구조 개혁과 맞물려서, 동아시아 경제 위기에서 파급된 [[1997년]]의 한국 외환 위기를 두고 IMF라고 흔히 통칭하기도 한다.
위의 국제 통화 기금에 의한 긴급 자금 수혈 및 경제 구조 개혁과 맞물려서, 동아시아 경제 위기에서 파급된 [[1997년]]의 한국 외환 위기를 두고 IMF라고 흔히 통칭하기도 한다.
=== 정부와 재벌의 관계 변화 ===
재벌은 1960년대 박정희 체제 하에서 탄생하였으며 1970년대 중화학공업화 정책의 실시와 함께 거대 기업으로 급부상하였다. 박정희 대통령은 산업화 초기부터 국제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규모의 경제를 지향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 하에 다수 국민들에게 돌아갈 몫을 소수 대기업에게 집중시키는 전략을 통해 재벌을 육성했다. 이 과정에서, 국가와 재벌 간의 관계는 더욱 친밀하고 협조적으로 변했다. 그러나 이 시기에 국가는 재벌의 상급 파트너로 재벌들의 정책 결정에 대한 주도권을 쥐고 있었다. 1990년 냉전체제가 붕괴되면서 과거 한국의 기적과 같은 경제적 성취는 한국을 미국과의 무역 전쟁에서정책의 정치적 목표가 되게 만들었다. 신자유주의가 보편화되면서 정부와 재벌 모두는 점차적으로 국가 주도 경제정책의 비효율성을 깨닫게 되었다. 이런 과정을 통해 재벌은 정부로부터 점차 정책 결정에 대한 독자적인주도권을 확보해갔으며 상대적으로 정부는 경제 결정과정에서 더 이상 전능한 상급 파트너가 될 수 없었다.
정부는 재벌들의 경제 결정에 대한 효율적인 감독 및 규제 장치를 만들어내지 못하였다. 도리어 관료들은 재벌들에게 더욱 협조적이었고 점차적으로 재벌들의 경제 논리에 흡수되었다. 1990년대 중반에 들어와 김영삼 정부는 많은 종금사의 설립을 허용했다. 그들은 금융자유화를 틈타 정부의 지불보증 없이 임의대로 많은 양의 외채를 빌릴 수 있었다. 불행하게도 이들 대부분은 단기외채였으며, 이것은 1997년 외환위기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1997년 외환위기 이후에 정권을 잡은 김대중 정부는 국민들의 적극적인후원과 IMF의 협조 속에서 재벌을 개혁하려고 하였다. 그동안 약화되던 국가가 경제위기 상황에서 경제회복을 위해 다시 한 번 경제에 대한 주도권을 쥐면서 재벌개혁을 실시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정부의 노력은 잘 작동하지 않았다. 우선 재벌들이 정부의 명령에 따르지 않았고, 정부 자신도 당시 경제위기 국면에서 이들 재벌들의 부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들을 도와주지 않을 수 없었다. 오늘날 재벌들은 이제 국가조차도 그들의 경제 결정에 대해 직접적으로 간섭하거나 통제할 수 없을 정도로 성장했다.


[[1997년 외환 위기|해당 문서]]로.
[[1997년 외환 위기|해당 문서]]로.

2023년 11월 28일 (화) 12:42 판

International Monetary Fund

국제 통화 기금 문서로.

1997년 외환 위기

위의 국제 통화 기금에 의한 긴급 자금 수혈 및 경제 구조 개혁과 맞물려서, 동아시아 경제 위기에서 파급된 1997년의 한국 외환 위기를 두고 IMF라고 흔히 통칭하기도 한다.

해당 문서로.

Impossible Mission Force

추가 바람

Initial Mass Function

초기질량함수 문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