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랑 나들목: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27번째 줄: 27번째 줄:
*이 나들목을 만들면서 동시에 북부간선도로의 차로도 각각 편도 1차로씩 확장되었다. 덕분에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구리 나들목]]에서 북부간선도로 구리-서울시 경계까지의 상습정체구간이 상당히 완화되었다. {{ㅊ|대신 묵동쪽이 막힌다}}
*이 나들목을 만들면서 동시에 북부간선도로의 차로도 각각 편도 1차로씩 확장되었다. 덕분에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구리 나들목]]에서 북부간선도로 구리-서울시 경계까지의 상습정체구간이 상당히 완화되었다. {{ㅊ|대신 묵동쪽이 막힌다}}
*북부간선도로에서 [[남구리 나들목|남구리]] 방향으로 진입할 경우 신내 나들목의 진입로와 겹치는 구간과 고속도로 진입로 사이의 거리가 다소 짧은 편이라 운전시 유의해야 한다.
*북부간선도로에서 [[남구리 나들목|남구리]] 방향으로 진입할 경우 신내 나들목의 진입로와 겹치는 구간과 고속도로 진입로 사이의 거리가 다소 짧은 편이라 운전시 유의해야 한다.
*중랑 나들목에서 신내 요금소(구리 동구릉 요금소)까지의 구간은 양방향 각각 편도 1차로 고속도로 진출입로 취급이다. 분명 바로 옆의 고속도로 본선과 완전히 같은 선형이지만 물리적으로 분리해 놓았다는 이유로 제한속도는 시속 50km이며, 양방향 모두 이동식 단속카메라 깡통(?)이 자리하고 있어 운전자 입장에서는 속도 딜레마에 걸리는 경우가 많다.


== 경유 노선 ==
== 경유 노선 ==

2023년 11월 10일 (금) 13:04 기준 최신판

중랑 나들목
도로 시설물 정보
소재지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동,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노선 29 세종포천고속도로 km
번호  2 
관할 한국도로공사
개통일 2017년 6월 30일
연결도로 북부간선도로

세종포천고속도로 중 먼저 개통된 구리-포천 구간 중 두 번째에 위치한 나들목이다. 북부간선도로와 직결되어 있다. 다만 인근의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와의 연결 관계 때문인지 포천방향에서 북부간선도로 구리 방향으로의 진출은 불가능한 형태이다.

고속도로 진출입로에 개방형 요금소인 중랑요금소가 있으며 요금은 1,400원이다. 이 요금소는 남구리에서 진입하여 북부간선도로로 진출하는 차량과 북부간선도로에서 남구리 방향으로 진입하는 차량에게만 적용되며 포천방향은 갈매동구릉 요금소를 이용하여 폐쇄식 구간요금이 산정된다.

참고로 이 구간 때문에 남구리-포천 구간의 전체 요금은 도로공사 구간과 비교해서 큰 차이가 없으나, 구리터널 구간의 한정으로 도로공사 통행료 산정 공식[1] 대비 약 500원 정도가 더 비싼 흉악한 단가를 자랑한다.

기타[편집 | 원본 편집]

  • 구리에서 포천 방향으로 진행할 경우 구리터널 직후 나들목으로의 진출로가 나타난다. 때문에 터널 출구 약 1km지점부터 차선이 점선으로 바뀌면서 차로변경을 할 수 있도록 허용되어 있다.
  • 이 나들목을 만들면서 동시에 북부간선도로의 차로도 각각 편도 1차로씩 확장되었다. 덕분에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구리 나들목에서 북부간선도로 구리-서울시 경계까지의 상습정체구간이 상당히 완화되었다. 대신 묵동쪽이 막힌다
  • 북부간선도로에서 남구리 방향으로 진입할 경우 신내 나들목의 진입로와 겹치는 구간과 고속도로 진입로 사이의 거리가 다소 짧은 편이라 운전시 유의해야 한다.
  • 중랑 나들목에서 신내 요금소(구리 동구릉 요금소)까지의 구간은 양방향 각각 편도 1차로 고속도로 진출입로 취급이다. 분명 바로 옆의 고속도로 본선과 완전히 같은 선형이지만 물리적으로 분리해 놓았다는 이유로 제한속도는 시속 50km이며, 양방향 모두 이동식 단속카메라 깡통(?)이 자리하고 있어 운전자 입장에서는 속도 딜레마에 걸리는 경우가 많다.

경유 노선[편집 | 원본 편집]

Korea Expressway No.29.svg
세종포천선
(-.-- km)
 1  남구리 나들목
km
 2  중랑 나들목  3  남별내 나들목
km
갈매동구릉 요금소

각주

  1. 기본요금 900원 + 주행거리(km)×4.4원으로 해당 구간의 주행거리는 약 4.8km가량이며, 해당 공식으로는 920~930원 정도가 나오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