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리그: 두 판 사이의 차이

(문서 구성 수정)
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3번째 줄:
한국의 프로 축구 리그. 한국 프로스포츠 사상 최초로 [[승강제]]를 실시하며 상위 리그인 [[K리그 클래식]]와 하위 리그 [[K리그 챌린지]]가 있다.
한국의 프로 축구 리그. 한국 프로스포츠 사상 최초로 [[승강제]]를 실시하며 상위 리그인 [[K리그 클래식]]와 하위 리그 [[K리그 챌린지]]가 있다.


== 역사 ==
1983년 '''수퍼리그'''라는 이름으로 발족했다. 1987년부터는 실업축구단이 빠지면서 온전히 프로축구단만 참가하면서 프로축구리그로 탈바꿈하면서 이름을 '''한국프로축구대회'''로 바꾸었다. 이름이 몇 차례 바뀌었다가 1998년부터 지금의 '''K리그'''라는 이름으로 정착했다. 2013년부터 승강제를 시행하며 기존 K리그가 1부 리그 [[K리그 클래식]]으로 재편되고 2부 리그 [[K리그 챌린지]]가 창설됐다.<ref>[http://ko.wikipedia.org/wiki/K%EB%A6%AC%EA%B7%B8 K리그], 위키백과</ref>
== 구성 ==
== 구성 ==
===[[K리그 클래식]]===
===[[K리그 클래식]]===
20번째 줄: 22번째 줄:


===[[K리그 챌린지]]===
===[[K리그 챌린지]]===
2015년 기준 총 11개 팀이 있다. 리그가 끝난 뒤 2~4위팀이 플레이오프(이하 PO)를 여는데 여기서 결정된 순위가 리그 결과에 우선한다. 즉, 4위 팀이 플레이오프를 거쳐 2위 팀으로 결정되면 최종 리그 순위도 2위가 되는 것이다. 먼저 리그 3위·4위 팀이 3위 팀 홈에서 단판 경기(준PO)를 벌인다. 90분 무승부 시 연장전·승부차기 없이 3위 팀의 승리로 간주한다. 준PO 승자는 PO에서 2위 팀과 준PO 방식으로 경기를 가진다. 이런 방식으로 2~4위 팀 순위를 확정하며 이 PO의 최종승자는 승강PO에 진출한다.
2015년 기준 총 11개 팀이 있다.
* [[강원 FC]]
* [[강원 FC]]
* [[경남 FC]]
* [[경남 FC]]
33번째 줄: 35번째 줄:
* [[FC 안양]]
* [[FC 안양]]


== 승강제 ==
=== 승강 플레이오프 ===
시즌이 끝난 뒤 클래식의 최하위 팀과 챌린지 우승 팀이 자리를 바꾸며, 클래식의 11위 팀(뒤에서 2등)과 챌린지의 2위 팀(PO 승리 팀)이 1·2차전 홈 앤 어웨이로 승강 플레이오프를 펼쳐 승강 여부를 결정한다.
시즌이 끝난 뒤 클래식의 최하위 팀과 챌린지 우승 팀이 자리를 바꾸며, 클래식의 11위 팀(뒤에서 2등)과 챌린지의 2위 팀이 1·2차전 홈 앤 어웨이로 승강 플레이오프를 펼쳐 승강 여부를 결정한다.
 
----
<references/>
[[분류:K리그]]
[[분류:K리그]]

2015년 4월 22일 (수) 20:32 판

개요

한국의 프로 축구 리그. 한국 프로스포츠 사상 최초로 승강제를 실시하며 상위 리그인 K리그 클래식와 하위 리그 K리그 챌린지가 있다.

역사

1983년 수퍼리그라는 이름으로 발족했다. 1987년부터는 실업축구단이 빠지면서 온전히 프로축구단만 참가하면서 프로축구리그로 탈바꿈하면서 이름을 한국프로축구대회로 바꾸었다. 이름이 몇 차례 바뀌었다가 1998년부터 지금의 K리그라는 이름으로 정착했다. 2013년부터 승강제를 시행하며 기존 K리그가 1부 리그 K리그 클래식으로 재편되고 2부 리그 K리그 챌린지가 창설됐다.[1]

구성

K리그 클래식

2015년 기준 총 12개 팀이 있다.

K리그 챌린지

2015년 기준 총 11개 팀이 있다.

승강 플레이오프

시즌이 끝난 뒤 클래식의 최하위 팀과 챌린지 우승 팀이 자리를 바꾸며, 클래식의 11위 팀(뒤에서 2등)과 챌린지의 2위 팀이 1·2차전 홈 앤 어웨이로 승강 플레이오프를 펼쳐 승강 여부를 결정한다.


  1. K리그,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