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리브레 한자사전/爲: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6번째 줄: 6번째 줄:
|뜻 = 위할/할
|뜻 = 위할/할
|소리 = 위
|소리 = 위
|획수 =  
|획수 = 12
|신자체 획수 =
|신자체 획수 = 9
|간체자 획수 =
|간체자 획수 =
|부수 =
|부수 =
|신자체 부수 =
|신자체 부수 =
|간체자 부수 =
|간체자 부수 =
|음독 =
|음독 = イ(i) {{일본어 고어|wi|<-}}
|오음 =
|훈독 = ため/す-る、つく-る
|한음 =
|훈독 =
|병음 =wèi, wéi
|병음 =wèi, wéi
|중고한어 =ɦˠiuᴇH, ɦˠiuᴇ
|중고한어 =ɦˠiuᴇH, ɦˠiuᴇ
}}</onlyinclude>
}}</onlyinclude>
 
~를 위하다, 하다의 뜻을 가진 한자. 일본어 [[헨타이가나]]의 ゐ(wi, i)의 원형이기도 하다.
{{한자 서체}}
{{한자 서체}}
<!-- 한자 유래와 서체에 대한 설명은 이곳에 -->
<!-- 한자 유래와 서체에 대한 설명은 이곳에 -->

2022년 3월 14일 (월) 10:41 판

정자[韓/臺]
신자체 [日]
간체자 [中]




CJK Unified Ideographs
U+7232
[[]]부 12획
뜻과 소리
중고한어ɦˠiuᴇH, ɦˠiuᴇ
정체자
쓰는 순서


CJK Unified Ideographs
U+70BA
[[]]부 9획
뜻과 소리
훈독(訓読)ため/す-る、つく-る
쓰는 순서
為-order.gif為-bw.png
CJK Unified Ideographs
U+4E3A
[[]]부 12획
뜻과 소리
병음wèi, wéi
쓰는 순서
为-order.gif为-bw.png

[[분류:|- ]]

~를 위하다, 하다의 뜻을 가진 한자. 일본어 헨타이가나의 ゐ(wi, i)의 원형이기도 하다.

용례

  • ~를 위하다(-爲-): for

중국어

한자성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