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구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權九河. 대한민국독립운동가. 2011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 생애 == 1889년 2월 21일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하금곡동에서 출...)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權九河.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2011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權九河.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2011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 생애 ==
== 생애 ==
1889년 2월 21일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하금곡동에서 출생했다. 그는 1919년 4월 2일 권석인(權錫寅), 권석호(權錫虎) 등이 주동한 예천군 용문면 상금곡동에서의 독립만세시위에 참여하여 수백 명의 군중과 함께 면사무소 앞에서 독립만세를 고창했다. 이 일로 체포된 그는 1919년 5월 5일 예천헌병분대에서 보안법 위반 혐의로 태형 90도를 받았다.<ref>[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6188&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08121&actionType=det&flag=2&search_region= 독립운동관련 판결문]</ref> 1964년 9월 22일에 사망했다.
1889년 2월 21일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하금곡동에서 출생했다. 그는 1919년 4월 2일 [[권석인]](權錫寅), 권석호(權錫虎) 등이 주동한 예천군 용문면 상금곡동에서의 독립만세시위에 참여하여 수백 명의 군중과 함께 면사무소 앞에서 독립만세를 고창했다. 이 일로 체포된 그는 1919년 5월 5일 예천헌병분대에서 보안법 위반 혐의로 태형 90도를 받았다.<ref>[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6188&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08121&actionType=det&flag=2&search_region= 독립운동관련 판결문]</ref> 1964년 9월 22일에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2011년 권구하에게 대통령표창을 추서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2011년 권구하에게 대통령표창을 추서했다.

2022년 2월 3일 (목) 12:30 판

權九河. 대한민국독립운동가. 2011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생애

1889년 2월 21일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하금곡동에서 출생했다. 그는 1919년 4월 2일 권석인(權錫寅), 권석호(權錫虎) 등이 주동한 예천군 용문면 상금곡동에서의 독립만세시위에 참여하여 수백 명의 군중과 함께 면사무소 앞에서 독립만세를 고창했다. 이 일로 체포된 그는 1919년 5월 5일 예천헌병분대에서 보안법 위반 혐의로 태형 90도를 받았다.[1] 1964년 9월 22일에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2011년 권구하에게 대통령표창을 추서했다.

링크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