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 (동음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link)
잔글 (link)
5번째 줄: 5번째 줄:


== 한자어 ==
== 한자어 ==
청은 한자로 '''[[靑]]([[파란색]])''', 淸(맑다), 聽(듣다)<ref>시험에서 '듣기영역'의 한자어 표현인 "청해(聽解)"의 청이 이걸 쓴다. 참고로 [[일본어]]에선 약자로 聴이라 쓰는데 오로지 '청해'라는 단어를 위한 한자로 존재한다(...)</ref>, 廳(=庁, 관청), 晴((날씨가) 개다), 鯖([[청어]])의 의미로 쓰인다.
청은 한자로 '''[[靑]]([[파란색]])''', [[]](맑다), 聽(듣다)<ref>시험에서 '듣기영역'의 한자어 표현인 "청해(聽解)"의 청이 이걸 쓴다. 참고로 [[일본어]]에선 약자로 聴이라 쓰는데 오로지 '청해'라는 단어를 위한 한자로 존재한다(...)</ref>, 廳(=庁, 관청), 晴((날씨가) 개다), 鯖([[청어]])의 의미로 쓰인다.


=== 푸를 청 [[靑]] ===
=== 푸를 청 [[靑]] ===
{{:靑}}{{-}}
{{:靑}}{{-}}


=== 맑을 청 淸 ===
=== 맑을 청 [[]] ===
{{:淸}}
{{:淸}}


# [[꿀]]의 일종. 석청, 목청이 있는데 예로부터 한약재로 꾸준히 쓰여왔다. 나무 줄기 내부 벌집에서 나온 꿀을 목청, 바위에 지어진 벌집에서 나온 꿀을 석청이라고 한다. 석청을 채취하는 과정이 매우 험난해서 석청의 가치를 더 높게 쳐준다.
# [[꿀]]의 일종. 석청, 목청이 있는데 예로부터 한약재로 꾸준히 쓰여왔다. 나무 줄기 내부 벌집에서 나온 꿀을 목청, 바위에 지어진 벌집에서 나온 꿀을 석청이라고 한다. 석청을 채취하는 과정이 매우 험난해서 석청의 가치를 더 높게 쳐준다.
# [[청나라]]
# [[청나라]]
# 청(淸)은 한국 요리에서 단맛을 내는 조미료 중 하나로 본디 꿀을 가리킨다. 흔히 조청이라고 하는데 조청(造淸)은 곡식의 전분질을 분해하여(=당화(糖化)) 만든 꿀의 유사품을 가리킨다.
# 청([[]])은 한국 요리에서 단맛을 내는 조미료 중 하나로 본디 꿀을 가리킨다. 흔히 조청이라고 하는데 조청(造[[淸]])은 곡식의 전분질을 분해하여(=당화(糖化)) 만든 꿀의 유사품을 가리킨다.
자세한 내용은 淸 링크로..
자세한 내용은 [[]] 링크로..
{{-}}
{{-}}



2021년 7월 16일 (금) 09:54 판

에는 다음 뜻이 있다.

역사

  • 청나라는 중국의 옛 통일 왕조 국가다.

한자어

청은 한자로 (파란색), (맑다), 聽(듣다)[1], 廳(=庁, 관청), 晴((날씨가) 개다), 鯖(청어)의 의미로 쓰인다.

푸를 청

푸를 [청]

정자[韓/臺]
신자체 [日]
간체자 [中]



CJK Unified Ideographs
U+9751
부 8획
뜻과 소리 푸를 [청]
어문회 급수8급
정체자
쓰는 순서


CJK Unified Ideographs
U+9752
부 8획
뜻과 소리 푸를 [청]
훈독(訓読)あお
쓰는 순서
青-jbw.png
CJK Unified Ideographs
U+9752
부 8획
뜻과 소리 푸를 [청]
병음qīng
쓰는 순서

맑을 청

맑을 [청]

정자[韓/臺]
신자체 [日]
간체자 [中]



CJK Unified Ideographs
U+6DF8
부 11획
뜻과 소리 맑을 [청]
어문회 급수준6급
정체자
CJK Unified Ideographs
U+6E05
부 11획
뜻과 소리 맑을 [청]
훈독(訓読)きよ-い、きよ-まる、きよ-める
음독(音読)
오음(呉音)ショウ
한음(漢音)セイ
관용음シン
쓰는 순서
清-jbw.png
CJK Unified Ideographs
U+6E05
부 11획
뜻과 소리 맑을 [청]
병음qīng
쓰는 순서
  1. 의 일종. 석청, 목청이 있는데 예로부터 한약재로 꾸준히 쓰여왔다. 나무 줄기 내부 벌집에서 나온 꿀을 목청, 바위에 지어진 벌집에서 나온 꿀을 석청이라고 한다. 석청을 채취하는 과정이 매우 험난해서 석청의 가치를 더 높게 쳐준다.
  2. 청나라
  3. 청()은 한국 요리에서 단맛을 내는 조미료 중 하나로 본디 꿀을 가리킨다. 흔히 조청이라고 하는데 조청(造)은 곡식의 전분질을 분해하여(=당화(糖化)) 만든 꿀의 유사품을 가리킨다.

자세한 내용은 링크로..

가공의 인물

  1. 시험에서 '듣기영역'의 한자어 표현인 "청해(聽解)"의 청이 이걸 쓴다. 참고로 일본어에선 약자로 聴이라 쓰는데 오로지 '청해'라는 단어를 위한 한자로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