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경: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불필요한 공백 제거)
잔글 (오류 수정 (빈칸))
 
1번째 줄: 1번째 줄:
'''구경'''에는 다음 뜻이 있다.
'''구경'''에는 다음 뜻이 있다.
* '''구경'''은 흥미나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는 행동이다.
* '''구경'''은 흥미나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는 행동이다.
* '''구경'''(口經)은 원통형 물체의 지름을 의미한다. 주로 [[총]]이나 [[화포]]의 [[탄환]], [[포탄]]의 규격을 의미한다.
* '''구경'''(口經)은 원통형 물체의 지름을 의미한다. 주로 [[총]]이나 [[화포]]의 [[탄환]], [[포탄]]의 규격을 의미한다.
6번째 줄: 5번째 줄:
* '''구경'''(九經)은 중국의 아홉 가지 고전 경서를 의미한다.
* '''구경'''(九經)은 중국의 아홉 가지 고전 경서를 의미한다.
** 보통 《[[주역]]》, 《[[시경]]》, 《[[서경]]》, 《[[예기]]》, 《[[춘추]]》, 《[[효경]]》, 《[[논어]]》, 《[[맹자]]》, 《[[주례]]》를 포함한다.
** 보통 《[[주역]]》, 《[[시경]]》, 《[[서경]]》, 《[[예기]]》, 《[[춘추]]》, 《[[효경]]》, 《[[논어]]》, 《[[맹자]]》, 《[[주례]]》를 포함한다.
* '''구경'''(九卿)은 조선 시대 삼정승([[영의정]], [[좌의정]], [[우의정]]) 다음 가는 아홉 가지 주요 관직을 의미한다.
* '''구경'''(九卿)은 조선 시대 삼정승([[영의정]], [[좌의정]], [[우의정]]) 다음 가는 아홉 가지 주요 관직을 의미한다.
** [[의정부]]의 좌우참찬(좌참찬, 우참찬), 육조판서(병조, 이조, 예조, 형조, 공조, 호조), 한성부판윤(현재의 [[서울특별시장]]과 유사한 관직)을 포함한다.
** [[의정부]]의 좌우참찬(좌참찬, 우참찬), 육조판서(병조, 이조, 예조, 형조, 공조, 호조), 한성부판윤(현재의 [[서울특별시장]]과 유사한 관직)을 포함한다.


{{동음이의}}
{{동음이의}}

2021년 6월 19일 (토) 23:21 기준 최신판

구경에는 다음 뜻이 있다.

  • 구경은 흥미나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는 행동이다.
  • 구경(口經)은 원통형 물체의 지름을 의미한다. 주로 이나 화포탄환, 포탄의 규격을 의미한다.
  • 구경(口鏡)은 눈으로 직접 보기 어려운 입안을 보는 거울이다. 손잡이가 달려있으며 주로 치과에서 사용한다.
  • 구경(九經)은 중국의 아홉 가지 고전 경서를 의미한다.
  • 구경(九卿)은 조선 시대 삼정승(영의정, 좌의정, 우의정) 다음 가는 아홉 가지 주요 관직을 의미한다.
    • 의정부의 좌우참찬(좌참찬, 우참찬), 육조판서(병조, 이조, 예조, 형조, 공조, 호조), 한성부판윤(현재의 서울특별시장과 유사한 관직)을 포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