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 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먼치킨 역링크 수정)
잔글 (→‎현재)
5번째 줄: 5번째 줄:


== 현재 ==
== 현재 ==
현재 메리 수는 2차 창작 등지의 오리지널 캐릭터만 아닌 오리지널 창작물에서도 창작자의 과도한 푸쉬를 받는 캐릭터에게도 메리 수라고 하기 시작했는데 간단히 [[편애]] 캐릭터라고 보면 된다.  
공식 창작물(1차 창작물)에 나오는 메리 수 형태 캐릭터들도 메리 수로 오용당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에는 공식을 뜻하는 캐논(Canon )을 합쳐 "'''캐논 수'''(Canon Sue) 라고 한다.  반면 악역 포지션일 경우에는 '''빌런 수'''(Villain Sue) 라고 표기하는데 대중에서는 이러한 분간없이 전부 메리 수로 통용하는 편.


== 종류 ==
== 종류 ==

2021년 5월 4일 (화) 16:51 판

메리 수(Mary Sue)는 창작자 자신이 대리만족을 위해 자기 자신을 투영하거나 지나치게 이입을 한 캐릭터를 일컫는 팬픽계 용어로 남성형은 래리 수(Larry Sue)나 마티 수(Martie Sue)가 있으나 대개 남녀 구분 없이 메리 수로 통용된다.

기원

메리 수의 기원은 미국의 인기 스페이스 오페라 드라마 및 이를 원작으로 한 미디어 믹스인 스타 트렉 시리즈팬픽의 오리지널 캐릭터인 메리 수가 시초로 해당 캐릭터는 어린 나이에 함장이 되고 딱히 노력을 안하는데도 기연으로 좋은 일만 생기거나 외모도 예뻐서 잘생긴 사람들이 붙는 등 거진 픽션에서 인기있을법한 설정들을 대거 가지고 있었다. 이렇 듯 해당 캐릭터는 팬덤에서 논란이 되어 처음에는 스타 트렉 2차 창작에서만 쓰이다 점차 확장되어서 팬픽계의 용어로 자리잡게되었다.

현재

공식 창작물(1차 창작물)에 나오는 메리 수 형태 캐릭터들도 메리 수로 오용당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에는 공식을 뜻하는 캐논(Canon )을 합쳐 "캐논 수(Canon Sue) 라고 한다. 반면 악역 포지션일 경우에는 빌런 수(Villain Sue) 라고 표기하는데 대중에서는 이러한 분간없이 전부 메리 수로 통용하는 편.

종류

만능형

만능형은 창작자/독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다보니 능력만 아닌 플롯에서도 거진 활약을 하는 경우가 많아 먼치킨으로 분류된다. 먼치킨의 문제에도 나왔다시피 주인공이 갈등과 시련이 없거나 쉽게 해결해버리면 재미도 그만큼 떨어지다보니 눈이 높은 독자들에게 많이 기피되는 유형.

인기형

이 유형은 이성 캐릭터에게 인기가 많은 경우. BL/백합일경우에는 동성 캐릭터들이 꼬인다. 외모는 작가의 성향마다 달라지는데 미형이거나 평범한데 다른 면(성격이 좋다던지)이 단점을 커버하는 형태로 어떻게든 주변인들에게 사랑받는 것을 정당화하고 있다. 2차 창작에서는 캐릭터 붕괴의 영역까지 가는데 원작에서 악역이였던 캐릭터가 메리 수의 매력에 반해 얀데레가 되거나 쿨뷰티였던 캐릭터가 쿨데레가 되는 원작파괴를 경험할 수 있다.

만능형이랑 합쳐지면 그 작품의 퀄리티는 물건너갔다고 보면 된다.

논란

이처럼 메리 수는 각 캐릭터 비중배분 및 서사의 구조를 망가뜨리는걸 넘어서서 2차 창작일경우에는 원작 팬덤의 반감을 사기 쉽기 때문에 기피받고 있다. 이에 아예 극단적으로 조금이라도 먼치킨 요소가 나오면 무조건 메리수로 몰아붙이거나 더 나아가 아무런 장점이 없는 비하 캐릭터를 만들기도 하는데 메리 수의 요소 자체가 나쁜 것은 아니다. 오히려 먼치킨, 중2병 요소가 없으면 매력이 없다고 느낄 수 있는데 어디까지나 창작자의 역량과 편애가 문제인 것.

같이 보기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