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스트: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31번째 줄: 131번째 줄:


{{각주}}
{{각주}}
[[분류:어드벤처 게임]]
[[분류:러스트]]
[[분류:윈도우 게임]]
[[분류:리눅스 게임]]
[[분류:2013년 비디오 게임]]

2021년 2월 2일 (화) 17:15 판

{{{게임이름}}}
게임 정보
개발사 페이스펀치 스튜디오
장르 어드벤처 게임
플랫폼 Windows, OS X, 리눅스
모드 멀티플레이
언어 영어
엔진 유니티 엔진

개요

러스트》(Rust)는 2013년 12월 12일스팀에서 발매된 온라인 게임이다. 페이스펀치 스튜디오가 만든 PK 생존 게임으로. 카운터 스트라이크 시리즈를 만들었던 민 리가 개발에 참여했다. 공식적으로 한국어를 지원한다.

게임 플레이

쉽게 말해 마인크래프트 + 배틀그라운드라고 요약할 수 있다.

플레이어는 다른 플레이어나 적 NPC, 짐승등의 위협에서 살아남아으며 자원과 식량을 모으고 집을 지어서 생존해야한다. 직접 다른 플레이러를 사냥하거나 다른 사람의 집을 약탈할 수도 있다. 다른 플레이어와 손을 잡아 동행하거나 연합을 만들 수도 있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구두계약일 뿐 게임 시스템적인 것은 아니기 때문에 언제든지 팀킬이나 배신도 가능하다.

기초

접속과 로그아웃

서버는 공식 서버, 사설 서버, 모드 이렇게 나뉜다. 특별히 서버를 즐겨찾기 해놓을 수는 없지만 '기록'을 통해서 자신이 접속했던 서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서버의 건척물, 아이템이나 진행 상황 등은 그 서버만에만 존재하고 다른 서버와 연동되지 않는다.

공식 서버는 러스트 운영사가 직접 운영하는 서버로 24시간 돌아간다. 과거에 한국 서버가 있었으나 어느 시점에서 사라졌기에 현재 그나마 핑이 가장 적은 서버는 동남아시아 SEA 서버 3개(Main, Long, Medium)가 있다. 60~100 사이로 나온다.

사설 서버는 유저가 어드민이되어 직접 서버 프로그램을 다운 받아 여는 서버로 한국인들이 열어주는 한국 서버들도 꽤 있다. 핑이 적고 한국 유저들과 의사소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24시간 돌아가는 공식 서버와 달리 어드민이 서버를 돌리고 있는 동안에만 접속 가능하며 갑작스럽게 어드민이 서버 운영을 중단하면 그동안의 진행 내역이 모두 사라진다는 단점이 있다. 어드민이 막장으로 운영하는 서버는 들어가지 않는게 좋다.

모드 역시 유저들이 운영하는 서버로, 사설 서버도 설정을 조정할 수는 있지만 공식 서버의 룰에서 어느정도 수정만 하는 수준에 불과한 것에 비해 모드는 아예 다른 게임 플레이를 만드는게 가능하여 다양한 모드들이 존재한다.

서버에서 로그아웃 하고 있는 동안에는 캐릭터가 잠을 자고 있는 상태가 된다. 수면 모드에 있을때는 다른 플레이어에게 쉽게 죽거나 약탈당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한 집을 짓고 그 안에서 로그아웃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자원 획득

일단 서버에 처음 접속하게 되면 짱돌과 횃불 외에는 아무것도 없이 시작한다. 우선 짱돌로 나무나 돌을 캐야한다. 나무는 빨간 X표, 돌은 밝게 빛나는 구간을 노려야 수월하게 캘 수 있다.

참고로 돌은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며 아무것도 얻을 수 없는 일반 돌, 캐지 않고 그냥 획득 가능한 돌, 캐야 획득 가능한 돌 등이 있다. 얼핏 비슷비슷해서 구분하기가 어려운데 아무것도 얻을 수 없는 돌은 살짝 누렇지만 획득 가능하거나 캐야하는 돌은 좀 더 하얀색에 가까우며 바로 획득 가능한건 작고 캐야하는건 좀 더 크고 윤기가 흐르므로 구분이 가능하다.

스태미나

러스트에서는 체력(Health), 허기(Hunger), 갈증(Thirst) 총 3개의 상태창이 존재한다.

체력은 선인장에 데이거나, 공격당하거나,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등으로 데미지를 입을 경우, 혹은 상한 음식을 먹거나 각종 상태 이상으로 고갈되며 0이될 경우 사망한다. 허기는 음식을 먹지 못하면, 갈증은 물을 먹지 못하면 떨어진다.

죽게되면 모든 아이템을 잃어버린채로 리스폰되며, 설치해놓은 건축물이나 상자에 저장해놓은 아이템은 유지된다. 주로 맵 외곽 바닷가 부근에서 리스폰 되지만 침낭을 설치해놓았을 경우 침낭의 위치를 선택해 리스폰 할 수 있다. 침낭은 여러개 설치가 가능하다. 하지만 한번 침낭을 사용해 리스폰하면 그 침낭을 다시 리스폰으로 사용할때까지 쿨타임이 존재한다.

상태 효과

  • 출혈: 동물의 공격, 총상, 날카로운 무기 등으로 데일 경우 지속적으로 추가 데미지를 닳게 된다.
  • 건축 허가 / 건축 차단: 근처의 '도구함'의 존재로 플레이어가 건축을 할 수 있는지 없는지의 여부를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자신이 설치한 도구함 근처에서는 자신만 건축 할 수 있는 '건축 허가'가 뜨고, 타 플레이어가 도구함을 설치했다면 '건축 차단'이 뜬다.
  • 추위와 더위: 추위는 체온이 5° C 이하로 떨어질 경우, 더위는 40° C 이상으로 올라갈 경우 생기는 효과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데미지를 입기 시작하여 결국 사망한다. 추위는 설원지역에서의 밤, 물에서 지나친 수영등으로 발생할 수 있고 더위는 사막지대에서의 낮, 불 근처에 너무 가까움(용광로에는 해당 안 됨) 등의 이유로 발생할 수 있다. 추위는 따뜻한 옷을 껴입어서 예방할 수 있고, 더위는 반대로 옷을 벗어던지거나 물을 마시거나 물에 들어감으로 해결할 수 있다.
  • 편안함: 플레이어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아이템 근처에 있을때 발생하는 긍정적 효과로, 체력 회복 속도가 빨라지고 배고픔이 고갈되는 속도가 상당히 느려지며, 방사선에 중독된 상황이라면 피폭의 효과가 적어진다. 근처에 있을 경우 편안함을 유발하는 아이템은 다음과 같다.
    • 모닥불
    • 바베큐
    • 용광로
    • 대형 용광로
    • 돗자리
    • 곰 피부 카페트
    • 의자
    • 책상
    • 포키 베어
  • 배고픔과 갈증: 허기는 음식을 못먹는 상태가 지속될 경우 서서히 줄어들며 40 미만으로 떨어지면 '배고픔'(Starvation) 상태가 되어 서서히 체력이 고갈된다. 음식 섭취로 예방할 수 있다. 갈증은 물 등 수분을 섭취하지 못하는 상태가 지속될 경우 서서히 줄어들며 25 미만으로 떨어지면 '탈수'(Dehydration) 상태가 되어 서서히 체력이 고갈된다. 물 섭취로 예방할 수 있다.
  • 독 중독: 부패한 음식을 날로 먹거나 할때 발생되는 효과로, 상태 표시줄에 표시되지 않는다. 붕대, 의료용 주사기, 대형 치료기로 치료할 수 있다.
  • 방사선 중독: 방사선으로 오염된 지역에 들어갈때 발생하며, '지지직' 거리는 소리가 들리고 화면이 흐려지며 결국 체력을 고갈시켜 죽게 만든다. 방사선 방호복으로 예방할 수 있고, 이미 피폭되었다면 방사선이 없는 지역으로 가서 방사선 치료 알약이나 물을 마셔서 해결 가능하다.
  • 젖음과 익사: 젖음은 플레이어가 물에 닿았을때 적용되는 중립 효과이다. 체온을 점점 떨어뜨리지만 젖음 효과 자체가 체력을 갉아멋진 않는다. 물에서 벗어나면 일반적으로 체온은 자동으로 회복된다. 익사는 플레이어가 물에 완전히 잠겨서 젖음이 100%에 도달할때 적용되는 악 효과로, 물에서 벗어나지 못하면 점점 체력을 잃고 결국에는 사망한다.

인벤토리 사용법

TAB을 눌러서 인벤토리를 열 수 있다. 아이템을 좌클릭 시 설명이 나타나고, 버리기나 먹기 마시기 등 버튼으로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인벤토리 위에 제작으로 들어가 다양한 아이템들이 나오는데 더블 클릭 함으로써 아이템을 만들 수 있다. 아이템 별로 제작이 완료되는데 시간이 소모되는데 이 기간 안에 취소를 시킬 수도 있다. 참고로 제작에 들어가지 않아도 현재 있는 자원으로 만들 수 있는 아이템을 인벤토리 오른쪽 하단 QUICK CRAFT 에서도 표시된다.

여러개로 뭉쳐있는 아이템을 분할하려면 한번 클릭한 채로 아래에 있는 바로 갯수를 조절한 뒤 그 바 오른쪽에 위치한 아이템을 드래그 해서 분리가 가능하다. 아이템은 오른쪽 마우스를 꾹 눌러 인벤토리 내 위치를 바꾸거나 상자 등에 집어넣을 수 있고 분리된 아이템을 같이 묶을 수 있다. 다만 아이템을 묶을 수 있는건 1,000개가 한개라 그 이상은 무조건 분리된다.

아이템에 오른쪽 마우스를 누르면 드래그 하지 않고 간편하게 다른쪽 아이템 창(상자 등)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건축

나무 목재를 충분히 획득했으면 이제 건축을 할 차례이다. TAB을 눌러 인벤토리에 들어가고 제작에 들어가 '건축도안(Building Plan)'을 만들어준다. 토대, 지붕, 벽 등 다양한 건축물을 이용해 집을 제작할 수 있다. 집은 생존을 위해 가장 필수적인 요소이다.

한번 벽이나 바닥을 지었을 경우 10분 내라면 망치를 통해 삭제할 수 있다. 하지만 10문이 지나거나, 10분안에 재질을 업그레이드 하면은 더 이상 철거가 불가능하다. 자신이 설치한 벽이라도 철거를 하려면 긴 시간을 들여 부수거나 C4를 이용할 수밖에 없으므로 마인크래프트나 포트나이트 같은 자유로운 확장 공사는 불가능하기에, 처음 지을때 신중하게 지어야한다.

테이블, 상자, 용광로 같은 설치물은 그 안에 담인 아이템이 아무것도 없고 잠겨져있지 않은 한에서 망치를 들어 E키를 꾹 눌러 회수가 가능하다. 문의 경우 잠겨져 있지 않는 상태로 열어둔채로 E키를 꾹 눌러 회수 가능하다.

집 등의 기지를 지으면 '도구함'을 배치하는게 좋다. 그러면 반경 50m 이내가 내 사 유지로 등록되어 권한이 있는 사람만 건축이 가능해진다. 또한 재료를 넣어 집이 부식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구함에 재료가 없는 집은 서서히 부식되기 시작하여 방치되면 결국 부숴지게 된다. 참고로 도구함에 집어넣어야 하는 재료는 집을 이루고 있는 재료에 따라 결정된다. 토대, 벽, 지붕 등이 많을 수록 비례해서 거기에 사용된 재료를 요구하게 된다. 이는 집에 설치된 문의 재질도 영향을 준다.

환경과 맵 요소

러스트에는 초원지대, 사막지대, 설원지대 총 3계의 생물 군계가 존재한다.

  • 초원

나무와 풀이 많은 초록색 지대이다. 바위와 드럼 통들을 흔하게 볼 수 있다. 동물이 나타날 확률도 적당하다. 낮이든 밤이든 온도가 적당해 상태 이상이 발생할 확률이 낮다.

  • 사막

땅이 메마르고 모래 투성이인 노란색 지대이다. 낮에는 너무 덥고 밤에는 너무 추운 상태 이상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 도로, 선인장 등을 쉽게 찾을 수 있다.

  • 설원

낮에는 괜찮지만 밤이 되면 추위에 떨게 만드는 지대이다.

잡동사니나 전리품

녹슨 자동차나 잡동사니가 모여있는 곳에서 쉽게 드럼통이나, 전리품 상자등을 발견할 수 있다. 드럼통은 깨부셔야 아이템이 나오며 폐철물을 얻기에 용이하다.

외부 링크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