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Q51: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8번째 줄: 18번째 줄:


== 개요 ==
== 개요 ==
'''LG Q51'''은 2020년 2월 26일 [[LG전자]]에서 출시한 [[스마트폰]]이다. 출고가는 319,000원으로 정해졌다. 공신폰의 5세대 휴대폰으로 정말 학생들에게 필요한 기능만 탑재한 휴대폰으로 출시되었다.  
'''LG Q51'''은 2020년 2월 26일 [[LG전자]]에서 출시한 [[스마트폰]]이다. 출고가는 319,000원으로 정해졌다. 공신폰의 5세대 휴대폰으로 정말 학생들에게 필요한 기능만 탑재한 휴대폰으로 출시되었다. 일부 휴대폰은 '''공부폰'''이라는 명목으로 데이터 통신을 막아서 개통한다.


같이 출시 된 LG Q61은 K61로 2020년 2월 명명되었으나, 최종적으로 Q61로 바꿔서 출시되었다.
같이 출시 된 LG Q61은 K61로 2020년 2월 명명되었으나, 최종적으로 Q61로 바꿔서 출시되었다.


=== 색상 ===
=== 색상 ===
색상은 2가지로 문라이트 티탄, 프로즌 화이트 색상을 출시하였다.
색상은 2가지로 문라이트 티탄, 프로즌 화이트 색상을 출시하였다. 문라이트 티탄은 검정색에 가깝고, 프로즌 화이트는 민트색에 가깝다는 평이 지배적이다.


== 특징 ==
== 특징 ==
미디어텍의 Helio P22 MT6762<ref>LG X4 2019, LG X6 2019에도 탑재된 바가 있다.</ref>를 탑재하였으며, 4,000mAh의 대용량 배터리<ref>고속 충전은 미지원</ref>와 후면 트리플 카메라를 제공한다.
미디어텍의 Helio P22 MT6762<ref>LG X4 2019, LG X6 2019에도 탑재된 바가 있다.</ref>를 탑재하였으며, 4,000mAh의 대용량 배터리<ref>고속 충전은 미지원. 10W 충전기 기준 2시간 5분~10분정도 걸린다고 한다.</ref>와 후면 트리플 카메라를 제공한다.


내장 메모리 용량은 32GB로 적은 편이다. Q 시리즈 스마트폰임에도 불구하고 64GB의 내장 메모리를 제공했던 LG X6 2019보다 적은 용량을 제공한다. <del>출고가가 X6 2019보다 저렴하긴 하다.</del> 이는 저렴한 가격에 '''학생'''들에게 보급하려고 한 의도 때문에 용량이 적어졌다고 볼 수 있다. 어차피 SD카드를 지원하므로 외장 메모리를 넣어주면 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내장 메모리 용량은 32GB로 적은 편이다. Q 시리즈 스마트폰임에도 불구하고 64GB의 내장 메모리를 제공했던 LG X6 2019보다 적은 용량을 제공한다. <del>출고가가 X6 2019보다 저렴하긴 하다.</del> 이는 저렴한 가격에 '''학생'''들에게 보급하려고 한 의도 때문에 용량이 적어졌다고 볼 수 있다. 어차피 SD카드를 지원하므로 외장 메모리를 넣어주면 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보급형이지만 LG 페이가 들어가 있어서 삼성 페이처럼 휴대폰으로 등록된 카드를 바로바로 이용 할 수 있다.<ref>최근 LG 패이나 UI가 삼성의 장점을 은근히 따라가는 모양새라서 "카피"한다는 비난도 있으나, 먹먹했던 과거에 비해서 괜찮아졌다는 호평도 있다.</ref>
화면은 6.5인치라는 큰 크기를 가졌다. 다만, 최근 나온 경쟁작인 삼성의 A31이나 A21s도 6.5인치에 대응하는 수준의 디스플레이를 가지고 출시되었으니 보급형 라인에서 크게 띄는 장점은 아니다.


== 여담 ==
== 여담 ==
보급형에도 줄곧 잘 탑재해줬던 쿼드 덱(Quad DAC)이 탑재되지 않았다. X시리즈의 대부분 휴대폰에도 탑재시켜줬던 쿼드 덱이 준 프리미엄계열인 Q라인에서 빠졌다는게 흠. 다만, 이 문제는 전철을 밟아줬던 LG Velvet건도 있어서 서서히 빼려고 드는게 아니냐는 의견도 있다. 확실히 Q92 5G 모델에도 쿼드 덱이 빠진채로 출시되었다.
보급형에도 줄곧 잘 탑재해줬던 쿼드 덱(Quad DAC)이 탑재되지 않았다. X시리즈의 대부분 휴대폰에도 탑재시켜줬던 쿼드 덱이 준 프리미엄계열인 Q라인에서 빠졌다는게 흠. 다만, 이 문제는 전철을 밟아줬던 LG Velvet건도 있어서 서서히 빼려고 드는게 아니냐는 의견도 있다. 확실히 Q92 5G 모델에도 쿼드 덱이 빠진채로 출시되었다.


사실, 의외로 4-5월 잘 팔렸던 스마트폰인데 공신폰이라는 이미지 보다는 배그 모바일 같은 고스팩보다 그냥 웹서핑이나 유튜브 정도만 깨작거리면서, '''현 스마트폰의 가격이 너무 비싼 사람들'''을 적중시켰기 때문이다. 이후 7월 삼성의 보급형 라인 A21s가 나오기 전까지 보급형에서 한 자리를 잡고 있게 된다..
사실, 의외로 4-5월 잘 팔렸던 스마트폰인데 공신폰이라는 이미지 보다는 배그 모바일 같은 고스팩보다 그냥 웹서핑이나 유튜브 정도만 깨작거리면서, '''현 스마트폰의 가격이 너무 비싼 사람들'''을 적중시켰기 때문이다. 더불어 출시하고 난 뒤 2-3개월 동안 마케팅을 선도하면서 보급형 라인의 시장을 제대로 비집고 들어섰다. 이후 7월 삼성의 보급형 라인 A21s가 나오기 전까지 보급형에서 한 자리를 잡고 있게 된다.<ref>물론, 일부 유저층에서는 삼성의 최적화 수준 때문에, LG Q51을 조금 더 높게 쳐주기도 한다. 더군다나 A21s는 Q51과 다르게 삼성페이 '''사용 불가능 기종'''이라, 이 기능에 매료된 사람들에게는 상당히 뼈 아픈 단점인 셈.</ref>


{{주석}}
{{주석}}
[[분류:스마트폰]]
[[분류:스마트폰]]
[[분류:LG전자]]
[[분류:LG전자]]

2020년 9월 24일 (목) 16:04 판

틀:휴대전화 정보

개요

LG Q51은 2020년 2월 26일 LG전자에서 출시한 스마트폰이다. 출고가는 319,000원으로 정해졌다. 공신폰의 5세대 휴대폰으로 정말 학생들에게 필요한 기능만 탑재한 휴대폰으로 출시되었다. 일부 휴대폰은 공부폰이라는 명목으로 데이터 통신을 막아서 개통한다.

같이 출시 된 LG Q61은 K61로 2020년 2월 명명되었으나, 최종적으로 Q61로 바꿔서 출시되었다.

색상

색상은 2가지로 문라이트 티탄, 프로즌 화이트 색상을 출시하였다. 문라이트 티탄은 검정색에 가깝고, 프로즌 화이트는 민트색에 가깝다는 평이 지배적이다.

특징

미디어텍의 Helio P22 MT6762[1]를 탑재하였으며, 4,000mAh의 대용량 배터리[2]와 후면 트리플 카메라를 제공한다.

내장 메모리 용량은 32GB로 적은 편이다. Q 시리즈 스마트폰임에도 불구하고 64GB의 내장 메모리를 제공했던 LG X6 2019보다 적은 용량을 제공한다. 출고가가 X6 2019보다 저렴하긴 하다. 이는 저렴한 가격에 학생들에게 보급하려고 한 의도 때문에 용량이 적어졌다고 볼 수 있다. 어차피 SD카드를 지원하므로 외장 메모리를 넣어주면 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보급형이지만 LG 페이가 들어가 있어서 삼성 페이처럼 휴대폰으로 등록된 카드를 바로바로 이용 할 수 있다.[3]

화면은 6.5인치라는 큰 크기를 가졌다. 다만, 최근 나온 경쟁작인 삼성의 A31이나 A21s도 6.5인치에 대응하는 수준의 디스플레이를 가지고 출시되었으니 보급형 라인에서 크게 띄는 장점은 아니다.

여담

보급형에도 줄곧 잘 탑재해줬던 쿼드 덱(Quad DAC)이 탑재되지 않았다. X시리즈의 대부분 휴대폰에도 탑재시켜줬던 쿼드 덱이 준 프리미엄계열인 Q라인에서 빠졌다는게 흠. 다만, 이 문제는 전철을 밟아줬던 LG Velvet건도 있어서 서서히 빼려고 드는게 아니냐는 의견도 있다. 확실히 Q92 5G 모델에도 쿼드 덱이 빠진채로 출시되었다.

사실, 의외로 4-5월 잘 팔렸던 스마트폰인데 공신폰이라는 이미지 보다는 배그 모바일 같은 고스팩보다 그냥 웹서핑이나 유튜브 정도만 깨작거리면서, 현 스마트폰의 가격이 너무 비싼 사람들을 적중시켰기 때문이다. 더불어 출시하고 난 뒤 2-3개월 동안 마케팅을 선도하면서 보급형 라인의 시장을 제대로 비집고 들어섰다. 이후 7월 삼성의 보급형 라인 A21s가 나오기 전까지 보급형에서 한 자리를 잡고 있게 된다.[4]

각주

  1. LG X4 2019, LG X6 2019에도 탑재된 바가 있다.
  2. 고속 충전은 미지원. 10W 충전기 기준 2시간 5분~10분정도 걸린다고 한다.
  3. 최근 LG 패이나 UI가 삼성의 장점을 은근히 따라가는 모양새라서 "카피"한다는 비난도 있으나, 먹먹했던 과거에 비해서 괜찮아졌다는 호평도 있다.
  4. 물론, 일부 유저층에서는 삼성의 최적화 수준 때문에, LG Q51을 조금 더 높게 쳐주기도 한다. 더군다나 A21s는 Q51과 다르게 삼성페이 사용 불가능 기종이라, 이 기능에 매료된 사람들에게는 상당히 뼈 아픈 단점인 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