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스 트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불필요한 공백 제거)
18번째 줄: 18번째 줄:


* 워크스루밴(시티밴) [[File:Commer Walk-Thru VGL.jpg|thumb]]
* 워크스루밴(시티밴) [[File:Commer Walk-Thru VGL.jpg|thumb]]
*: 운전석과 화물창 사이에 관통문이 있는 차량을 가리킨다. 거기에 화물창 구조물에 에어댐과 스커트를 달아두는 등 적당히 꾸며놓았다. 한국에서는 담배회사에서 많이 써서 담배차로 유명하며 [[캠핑카]]로 개조되기도 한다.  
*: 운전석과 화물창 사이에 관통문이 있는 차량을 가리킨다. 거기에 화물창 구조물에 에어댐과 스커트를 달아두는 등 적당히 꾸며놓았다. 한국에서는 담배회사에서 많이 써서 담배차로 유명하며 [[캠핑카]]로 개조되기도 한다.
 
*: 한국에서는 기성 차량을 개조하여 만들어서 워크스루의 장점이 크게 부각되지 않으나, 외국의 워크스루밴은 운전석 바닥 높이와 화물창 바닥 높이를 똑같이 맞춰 워크스루의 장점을 부각시킬 수 있으며 주로 배달차량에 사용한다.
*: 한국에서는 기성 차량을 개조하여 만들어서 워크스루의 장점이 크게 부각되지 않으나, 외국의 워크스루밴은 운전석 바닥 높이와 화물창 바닥 높이를 똑같이 맞춰 워크스루의 장점을 부각시킬 수 있으며 주로 배달차량에 사용한다.
{{각주}}
{{각주}}

2021년 6월 15일 (화) 18:46 판

박스 트럭(Box truck) 혹은 탑차(Top-車)는 견고한 밀폐 화물창이 있는 화물자동차로 화물의 보호능력이 뛰어나다. 운전실이 있는 캡보다 박스가 더 높은 경우 공기저항을 많이 받게 되며, 이를 억제하기 위해 캡루프페어링(스포일러)을 설치한다.

화물밴과는 비슷하면서도 다른데, 둘다 밀폐 화물창을 달고 있지만 화물밴은 승합차 차체에 기반하고, 탑차는 화물차 차체에 기반하기 때문이다.

세부 종류

  • 내장탑차/저상탑차
    검은고양이택배.JPG
    간단하게 화물창만 올려져 있는 차량을 가리킨다. 저상탑차는 그 중에서 화물창의 높이가 낮은 차량을 말하며 지하주차장 출입을 고려한 차량이다. 택배차는 대부분 이런 종류.
  • 냉장·냉동탑차
    New Zealand Trucks - Flickr - 111 Emergency (154).jpg
    화물창 내부를 냉장·냉동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차량을 가리킨다. 주로 식품 운반에 사용하며 법에 따라[1] 온도기록장치를 설치한 경우가 많다. 필요한 경우 칸을 2개 이상으로 나누어 한칸만 보냉하거나 온도별로 구분한다.
  • 윙바디
    Hyundai All new mighty wingbody rearside.png
    화물창의 측면이 열리는 차량을 가리킨다. 일반 탑차는 지게차를 이용한 작업이 어렵고 화물 하역시 꺼낼 수 있는 방향이 차량 후방으로 제한되지만, 윙바디는 측면을 통해 화물창의 어느 위치에서나 화물을 꺼낼 수 있고 지게차 작업도 용이하다.
    서양에서는 측면을 천막이나 셔터로 대체한 "커튼사이드"를 많이 사용한다. 천막은 견고함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의 화물의 결박을 매우 신경써야 한다. 소방차가 커튼사이드를 많이 쓰고 있다.
  • 워크스루밴(시티밴)
    Commer Walk-Thru VGL.jpg
    운전석과 화물창 사이에 관통문이 있는 차량을 가리킨다. 거기에 화물창 구조물에 에어댐과 스커트를 달아두는 등 적당히 꾸며놓았다. 한국에서는 담배회사에서 많이 써서 담배차로 유명하며 캠핑카로 개조되기도 한다.
  • 한국에서는 기성 차량을 개조하여 만들어서 워크스루의 장점이 크게 부각되지 않으나, 외국의 워크스루밴은 운전석 바닥 높이와 화물창 바닥 높이를 똑같이 맞춰 워크스루의 장점을 부각시킬 수 있으며 주로 배달차량에 사용한다.

각주

  1. 식품위생법 시행규칙 제36조(업종별 시설기준) "법 제36조에 따른 업종별 시설기준은 별표 14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