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O/IEC 10646: 두 판 사이의 차이

< ISO
편집 요약 없음
잔글 (→‎top: 틀:토막글 제거, removed: {{토막글}})
 
1번째 줄: 1번째 줄:
{{토막글}}


'''ISO/IEC 10646 Information technology -- Universal Coded Character Set (UCS)'''. 우리나라 KS표준으로도 채택되어 있으며, 국내에서의 정식 명칭은 '''국제 문자 부호계'''이다.<ref>KS X ISO/IEC 10646 의 국내 명칭 참조. 국제 문자 세트, 국제 문자 부호 체계 등의 명칭도 통용되고 있다.</ref>
'''ISO/IEC 10646 Information technology -- Universal Coded Character Set (UCS)'''. 우리나라 KS표준으로도 채택되어 있으며, 국내에서의 정식 명칭은 '''국제 문자 부호계'''이다.<ref>KS X ISO/IEC 10646 의 국내 명칭 참조. 국제 문자 세트, 국제 문자 부호 체계 등의 명칭도 통용되고 있다.</ref>

2020년 10월 19일 (월) 00:21 기준 최신판

ISO/IEC 10646 Information technology -- Universal Coded Character Set (UCS). 우리나라 KS표준으로도 채택되어 있으며, 국내에서의 정식 명칭은 국제 문자 부호계이다.[1]

ISO/IEC 10646과 유니코드는 서로 다른 기관에서 만들어진 표준이지만, 지속적인 교류를 통해 동기화가 되고 있다. 현행 ISO/IEC 10646:2014 의 수정판1(ISO/IEC 10646:2014/Amd 1:2015)은 유니코드 8.0의 문자 수준과 일치한다.

유니코드 표준과 마찬가지로 ISO/IEC 10646도 무료로 열람할 수 있다. 링크

각주

  1. KS X ISO/IEC 10646 의 국내 명칭 참조. 국제 문자 세트, 국제 문자 부호 체계 등의 명칭도 통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