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김지영: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가람(토론)의 편집을 Unter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태그: 일괄 되돌리기
잔글 (Itjhp(토론)의 편집을 가람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태그: 일괄 되돌리기
20번째 줄: 20번째 줄:
| 웹사이트 =  
| 웹사이트 =  
}}
}}
'''윤김지영'''(본명 윤지영)은 대한민국의 교수이자 철학자로 [[건국대학교]] 몸문화연구소 연구전임교수이다. 2018년 대한민국에 페미니즘 열풍이 불면서 인지도가 올랐으나 후술할 [[여성우월주의]], [[래디컬 페미니즘]] 성향때문에 논란이 많은 인물이다.  
'''윤김지영'''은 대한민국의 교수이자 철학자로, [[건국대학교]] 몸문화연구소 연구전임교수이다.


== 생애 ==
== 생애 ==
일란성 쌍둥이 중 둘째로 태어났으며 집안이 엄격한 가톨릭 집안이였기에 자매 둘다 수녀가 되기를 강요받다가 거부하고 프랑스에 유학을 가 파리 제4대학교에 들어가 학사 졸업을 한 뒤 석사 과정을 마쳤고, 파리 제1대학교에서 박사 과정을 마쳤다. 그 과정에서 페미니즘에 심취해 페미니즘을 전공으로 삼게 되었다고 한다. <ref>출처 : [http://enews.incheon.go.kr:9080/publish/php/articleview.php?idx=11307&diaryDate=2016-04-21 페미니즘 철학자 윤지영 교수]</ref>
가톨릭 집안에서 일란성 쌍둥이 중 둘째로 태어나 프랑스 파리 제4대학교에 입학하여 학사와 석사 과정을 마쳤고, 그 후 파리 제1대학교에서 프랑스현대철학 및 페미니즘 철학 전공으로 박사 과정을 마쳤다.<ref>[http://enews.incheon.go.kr:9080/publish/php/articleview.php?idx=11307&diaryDate=2016-04-21 페미니즘철학자 윤지영 교수], 《커피로 그리는 인천萬畵》 제1097호, 2016년 4월 21일.</ref>


== 논문 ==
== 저작 ==
* 《전복적 반사경으로서의 메갈리안 논쟁》. 한국여성철학. 2015년 11월.<ref>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563282&language=ko_KR</ref> <ref>https://www.earticle.net/Article/A257717</ref> <ref>구정모. [https://www.yna.co.kr/view/AKR20161223136500005 논문으로 본 올해 키워드는 여성혐오와 인공지능]. 연합뉴스. 2016년 12월 25일.</ref>
=== 논문 ===
* 《가장 첨예한 철학으로서의 페미니즘》. 철학논집 제46집. 2016년 8월.<ref>google.co.kr/url?sa=t&rct=j&q=&esrc=s&source=web&cd=1&ved=2ahUKEwjv_vOdtrrhAhXLF4gKHbpMCz0QFjAAegQIBBAC&url=http%3A%2F%2Fhome.sogang.ac.kr%2Fsites%2Fsgriphil%2Ftestmenu3%2FLists%2Fb101%2FAttachments%2F55%2F46-11_%25EC%259C%25A4%25EC%25A7%2580%25EC%2598%2581.pdf&usg=AOvVaw3vhTVFZg1S7oHBLiUlLvx-</ref>  
* 《전복적 반사경으로서의 메갈리안 논쟁》. 한국여성철학. 2015년 11월.<ref>[http://www.riss.kr/link?id=A101548508 전복적 반사경으로서의 메갈리안 논쟁], 윤지영, 《RISS》</ref>
* 《현실의 운용 원리로서의 여성 혐오》. 철학연구 제115집. 2016년 12월.<ref>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097657&language=ko_KR</ref> <ref>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d6acffb2c2c342f747de9c1710b0298d</ref>
* 《가장 첨예한 철학으로서의 페미니즘》. 철학논집 제46집. 2016년 8월.<ref>〈[http://home.sogang.ac.kr/sites/sgriphil/testmenu3/Lists/b101/Attachments/55/46-11_%EC%9C%A4%EC%A7%80%EC%98%81.pdf 가장 첨예한 철학으로서의 페미니즘]〉, 윤지영, 《철학논집》 제46집, 2016년 8월.</ref>  
* 30여 편의 SCI급 학술지 기고 논문들<ref>[http://hanyang-kr.libguides.com/c.php?g=861690&p=6467412 SCI급 논문 검색 및 활용: Journal list]. 한양대학교 백남학술정보관.</ref>
* 《현실의 운용 원리로서의 여성 혐오》. 철학연구 제115집. 2016년 12월.<ref>[http://www.riss.kr/link?id=A104734556 현실의 운용원리로서의 여성혐오], 윤지영, 《RISS》</ref>


== 저서 ==
=== 저서 ===
* 《헬페미니스트 선언》. 일곱번째숲. 2017년. ISBN 9791196118907
* 《헬페미니스트 선언》. 일곱번째숲. 2017년. ISBN 9791196118907
* 《지워지지 않는 페미니즘》. 은행나무. 2018년. ISBN 9791188810222
* 《지워지지 않는 페미니즘》. 은행나무. 2018년. ISBN 9791188810222
* La déconstruction du phallogocentrisme. Paris. ANRT. 2013. ISBN 9782729584009<ref>La déconstruction du phallogocentrisme(남근이성중심주의의 해체)</ref>
* La déconstruction du phallogocentrisme. Paris. ANRT. 2013. ISBN 9782729584009<ref>La déconstruction du phallogocentrisme(남근이성중심주의의 해체)</ref>


== 논란 ==
== 각주 ==
안 그래도 여성우월주의로 비판받고 실제로도 극단주의로도 변질될 위험이 큰 [[래디컬 페미니즘]] 성향을 가졌는데 반사회적 커뮤니티인 [[워마드]]의 범죄를 옹호하거나 여성의 범죄는 미화, 축소화시키거나 더 나아가 [[트랜스여성]]과 [[게이]]는 생물학적으로 남성이라는 이유로 배척하는 [[TERF]]를 옹호할 정도로 여성우월을 위시해 매우 극단적인 성향을 가졌기에 윤김지영을 지지하는 여성우월/TERF 집단을 제외하고 좋은 평을 받지 못하고 있다. 특히 연예인 [[설리]]가 자살했을 때 자살한 원인 중 하나가 [[악플]]로 주목되자 여성 악플러의 악플은 비판, 피드백이라 옹호하고 남성 악플러의 악플은 가해, 되려 남성 악플러들이 설리를 죽음으로 몰아넣되 설리는 여성혐오 범죄의 희생자가 되었다는 망언을 해<ref>[https://news.v.daum.net/v/20191020103016420?d=y 윤김지영 교수 "설리가 악플 때문에? 본질은 여혐이다"] 조인우 기자 작성, 2019.10.20</ref> 빼도박도 못하는 여성우월주의자로 낙인이 찍혔다.
 
== 관련 문서 ==
* [[래디컬 페미니즘]]
* [[퇴행적 좌파]]
 
{{각주}}
{{각주}}
{{퍼온문서|문서=윤김지영|}}
{{퍼온문서|문서=윤김지영|}}
[[분류:1979년 출생]]
[[분류:한국인]]
[[분류:한국인]]
[[분류:교수]]
[[분류:교수]]
[[분류:1979년 출생]]

2020년 1월 16일 (목) 18:09 판

{{{인물이름}}}
인물 정보
출생 1979년
국적 대한민국
학력 파리 제1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박사
직업 건국대학교 연구전임교수

윤김지영은 대한민국의 교수이자 철학자로, 건국대학교 몸문화연구소 연구전임교수이다.

생애

가톨릭 집안에서 일란성 쌍둥이 중 둘째로 태어나 프랑스 파리 제4대학교에 입학하여 학사와 석사 과정을 마쳤고, 그 후 파리 제1대학교에서 프랑스현대철학 및 페미니즘 철학 전공으로 박사 과정을 마쳤다.[1]

저작

논문

  • 《전복적 반사경으로서의 메갈리안 논쟁》. 한국여성철학. 2015년 11월.[2]
  • 《가장 첨예한 철학으로서의 페미니즘》. 철학논집 제46집. 2016년 8월.[3]
  • 《현실의 운용 원리로서의 여성 혐오》. 철학연구 제115집. 2016년 12월.[4]

저서

  • 《헬페미니스트 선언》. 일곱번째숲. 2017년. ISBN 9791196118907
  • 《지워지지 않는 페미니즘》. 은행나무. 2018년. ISBN 9791188810222
  • La déconstruction du phallogocentrisme. Paris. ANRT. 2013. ISBN 9782729584009[5]

각주

각주

  1. 페미니즘철학자 윤지영 교수, 《커피로 그리는 인천萬畵》 제1097호, 2016년 4월 21일.
  2. 전복적 반사경으로서의 메갈리안 논쟁, 윤지영, 《RISS》
  3. 가장 첨예한 철학으로서의 페미니즘〉, 윤지영, 《철학논집》 제46집, 2016년 8월.
  4. 현실의 운용원리로서의 여성혐오, 윤지영, 《RISS》
  5. La déconstruction du phallogocentrisme(남근이성중심주의의 해체)
Wikipedia-ico-48px.png
이 문서는 한국어 위키백과윤김지영 문서에서 분기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