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M-120 암람: 두 판 사이의 차이

(자동 찾아 바꾸기: 「할수」(을)를 「할 수」(으)로)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AIM-120 암람'''(AMRAAM)은 서방권의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로 [[미국]]을 비롯한 서방권 국가들의 주력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의 위치에 있다. 자체적으로 유도가 이루어지는 능동형 공대공 미사일이며 기존의 반능동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이였던 [[AIM-7 스패로]]에 비해 월등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 현존하는 레이더 능동형 공대공 미사일로는 첫번째라고 할 수 있으며 긴 사거리와 정확성 면에서 셰계 최고의 공대공 미사일로 꼽히는 고성능 미사일로 지속적인 개량이 이루어 지며 아직도 현존 최고의 공대공 [[미사일]]로 평가된다.
'''AIM-120 암람'''(AMRAAM)은 서방권의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로 [[미국]]을 비롯한 서방권 국가들의 주력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의 위치에 있다. 자체적으로 유도가 이루어지는 능동형 공대공 미사일이며 기존의 반능동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이던 [[AIM-7 스패로]]에 비해 월등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 현존하는 레이더 능동형 공대공 미사일로는 첫 번째라고 할 수 있으며 긴 사거리와 정확성 면에서 셰계 최고의 공대공 미사일로 꼽히는 고성능 미사일로 지속적인 개량이 이루어 지며 아직도 현존 최고의 공대공 미사일로 평가된다.


우리 [[대한민국 공군]]도 1990년대 피스 브릿지 사업으로 [[F-16]]을 도입하며 암람을 같이 도입했고 2006년 [[F-15]]K의 도입과 함께 AIM-120C형의 암람이 도입되었다.
[[대한민국 공군]]도 1990년대 피스 브릿지 사업으로 [[F-16]]을 도입하며 암람을 같이 도입했고 2006년 [[F-15K]]도입과 함께 AIM-120C형의 암람이 도입되었다.


==개발==
==개발==
{{빈 문단}}


==성능==
==성능==
관성 유도를 통한 발사후 지속적인 유도 없이 자체적으로 추적한다는 점에서 지속적인 유도가 필요하던 반능동 미사일에 비해 전투기의 생존성을 높일 수 있게 되었으며 동시 다중목표 공격에 대해서도 좀더 발달된 성능을 보여주었다.
관성 유도를 통한 발사 후 지속적인 유도 없이 자체적으로 추적한다는 점에서 지속적인 유도가 필요하던 반능동 미사일에 비해 전투기의 생존성을 높일 수 있게 되었으며 동시 다중목표 공격에 대해서도 좀 더 발달된 성능을 보여주었다.


암람은 데이터 링크를 통한 반능동 유도로 목표에 접근하고 레이더 사거리 내에서 레이더를 가동해 목표를 추덕하는 방식으로 데이터 링크 시간이 더 길수록 명중률이 높아진다. 당연히 적기에 가까운 거리일수록 시커의 효율과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암람은 데이터 링크를 통한 반능동 유도로 목표에 접근하고 레이더 사거리 내에서 레이더를 가동해 목표를 추적하는 방식으로 데이터 링크 시간이 더 길수록 명중률이 높아진다. 당연히 적기에 가까운 거리일수록 시커의 효율과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자체적으로 유도 없이 발사할 수도 있다. 이런 방식으로 발사할 시 미사일이 시커를 작동하고 목표를 찾기 위해 지그재그로 비행하는데, 명중률도 떨어지고 주변의 아군기와 발사한 모기 쪽으로 되돌아올 수 있다는 위험이 있다.
물론 자체적으로 유도 없이 발사할 수도 있다. 이런 방식으로 발사할 시 미사일이 시커를 작동하고 목표를 찾기 위해 지그재그로 비행하는데, 명중률도 떨어지고 주변의 아군기와 발사한 모기 쪽으로 되돌아올 수 있다는 위험이 있다.


==종류==
==종류==
 
{{빈 문단}}


[[분류:대공 미사일]]
[[분류:대공 미사일]]

2019년 10월 26일 (토) 01:00 판

AIM-120 암람(AMRAAM)은 서방권의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미국을 비롯한 서방권 국가들의 주력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의 위치에 있다. 자체적으로 유도가 이루어지는 능동형 공대공 미사일이며 기존의 반능동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이던 AIM-7 스패로에 비해 월등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 현존하는 레이더 능동형 공대공 미사일로는 첫 번째라고 할 수 있으며 긴 사거리와 정확성 면에서 셰계 최고의 공대공 미사일로 꼽히는 고성능 미사일로 지속적인 개량이 이루어 지며 아직도 현존 최고의 공대공 미사일로 평가된다.

대한민국 공군도 1990년대 피스 브릿지 사업으로 F-16을 도입하며 암람을 같이 도입했고 2006년 F-15K의 도입과 함께 AIM-120C형의 암람이 도입되었다.

개발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성능

관성 유도를 통한 발사 후 지속적인 유도 없이 자체적으로 추적한다는 점에서 지속적인 유도가 필요하던 반능동 미사일에 비해 전투기의 생존성을 높일 수 있게 되었으며 동시 다중목표 공격에 대해서도 좀 더 발달된 성능을 보여주었다.

암람은 데이터 링크를 통한 반능동 유도로 목표에 접근하고 레이더 사거리 내에서 레이더를 가동해 목표를 추적하는 방식으로 데이터 링크 시간이 더 길수록 명중률이 높아진다. 당연히 적기에 가까운 거리일수록 시커의 효율과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자체적으로 유도 없이 발사할 수도 있다. 이런 방식으로 발사할 시 미사일이 시커를 작동하고 목표를 찾기 위해 지그재그로 비행하는데, 명중률도 떨어지고 주변의 아군기와 발사한 모기 쪽으로 되돌아올 수 있다는 위험이 있다.

종류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