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DX: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추가)
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3번째 줄:
KDX-4로 부르기도 하는 이 구축함은 8000톤급으로 건조가 예정되어 있는 소형 [[이지스함]] 계획으로 상당한 크기의 거함을 6척 가량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KDX-4로 부르기도 하는 이 구축함은 8000톤급으로 건조가 예정되어 있는 소형 [[이지스함]] 계획으로 상당한 크기의 거함을 6척 가량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이 구축함의 건조배경에는 세종대왕급 이지스{{ㅊ|순양함}}구축함이 있는데 ,애초에 1만톤이 넘는 순양함 수준의 대형 함정인 이 세종대왕급 구축함은 이 대형 선체의 유지와 이지스 시스템의 관리를 위한 비용이 예상 외로 커지고 해군에 큰 부담이 되자, 저렴한 비용의 고성능 이지스 구축함을 구상하게 되고 과거 울산급 개발 당시처럼 염가형인 포항급을 양산형으로 생산한 것과 같이 소형화된 양산형 구축함 개발로 선회하게 된 것이다.
이 구축함의 건조배경에는 세종대왕급 이지스{{ㅊ|순양함}}구축함이 있는데 ,애초에 1만톤이 넘는 순양함 수준의 대형 함정인 이 세종대왕급 구축함은 이 대형 선체의 유지와 이지스 시스템의 관리를 위한 비용이 예상 외로 커지고 해군에 큰 부담이 되자, 저렴한 비용의 고성능 이지스 구축함을 구상하게 되고 과거 울산급 개발 당시처럼 염가형인 포항급을 양산형으로 생산한 것과 같이 소형화된 양산형 구축함 개발로 선회하게 된 것이다.
원래 록히드마틴이 신형 이지스함 건조를 경쟁력있는 비용으로 개발하기 위해 현대조선과 손잡고 진행중인 계획이였는데 마침 한국 해군의 눈에 띄어 본격적인 해군 건함 계획으로 진행되게 되었다.
인도의 차기 구축함 계획에도 참가했지만 인도가 딱히 한국 해군같이 관심을 보이지 않아 수출 기회는 아직 없다.


이 KDDX는 국내에서 개발한 통합형 마스트를 탑재하고 이지스 시스템인 SPY-1D레이더를 탑재하기 보단 국내 자체개발한 유사 이지스 시스템인 KPAR를 탑재할 가능성이 크며 이 시스템은 AESA레이더에 X밴드와 S밴드의 다중 주파수 조작이 가능하다고 한다.  
이 KDDX는 국내에서 개발한 통합형 마스트를 탑재하고 이지스 시스템인 SPY-1D레이더를 탑재하기 보단 국내 자체개발한 유사 이지스 시스템인 KPAR를 탑재할 가능성이 크며 이 시스템은 AESA레이더에 X밴드와 S밴드의 다중 주파수 조작이 가능하다고 한다.  

2017년 2월 1일 (수) 21:52 판

대한민국 해군의 차기 이지스 구축함 건조 사업으로 KD-2A라 하는 중형 구축함을 건조해 이지스함 전력을 확보하는 사업이다.

KDX-4로 부르기도 하는 이 구축함은 8000톤급으로 건조가 예정되어 있는 소형 이지스함 계획으로 상당한 크기의 거함을 6척 가량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이 구축함의 건조배경에는 세종대왕급 이지스순양함구축함이 있는데 ,애초에 1만톤이 넘는 순양함 수준의 대형 함정인 이 세종대왕급 구축함은 이 대형 선체의 유지와 이지스 시스템의 관리를 위한 비용이 예상 외로 커지고 해군에 큰 부담이 되자, 저렴한 비용의 고성능 이지스 구축함을 구상하게 되고 과거 울산급 개발 당시처럼 염가형인 포항급을 양산형으로 생산한 것과 같이 소형화된 양산형 구축함 개발로 선회하게 된 것이다. 원래 록히드마틴이 신형 이지스함 건조를 경쟁력있는 비용으로 개발하기 위해 현대조선과 손잡고 진행중인 계획이였는데 마침 한국 해군의 눈에 띄어 본격적인 해군 건함 계획으로 진행되게 되었다. 인도의 차기 구축함 계획에도 참가했지만 인도가 딱히 한국 해군같이 관심을 보이지 않아 수출 기회는 아직 없다.

이 KDDX는 국내에서 개발한 통합형 마스트를 탑재하고 이지스 시스템인 SPY-1D레이더를 탑재하기 보단 국내 자체개발한 유사 이지스 시스템인 KPAR를 탑재할 가능성이 크며 이 시스템은 AESA레이더에 X밴드와 S밴드의 다중 주파수 조작이 가능하다고 한다. 아직 이지스 시스템과 이 KPAR두개를 놓고 결정을 내리진 않았으나 정황상 KPAR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무장으로는 KVLS를 운용하여 기존 무장뿐 아니라 해궁과 차기 초음속 대함미사일을 운용할 계획이며 세종대왕급 구축함이 보유하지 않은[1] 탄도탄 요격능력을 보유할 예정이라 북한이나 다른 가상적국이 보유한 탄도미사일에 대한 대응 전력을 늘리게 된다. 애초에 KDDX계획이 한국형 미사일 방어 시스템의 일환이 아니냐는 말도 있다.

이 구축함은 근접방어체계로 기존 구축함들이 사용하던 골키퍼 대신 RAM을 사용할 예정이며 탄막형 CIWS의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이러한 CIWS는 탑재하지 않는다고 한다.

각주

  1. 곧 개량이 이루어진 DDG-994~996의 취역이 예정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