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진강: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개요==
한국의 영남과 호남지방 사이를 흐르는 [[국가하천]]이다. 길이는 225km로 남한에서 4번쨰로 긴 강이며,한반도에서는 7번째로 긴 강이다. 유역면적은 4,896㎢  
[[전라남도]] [[진안군]]에서 발원하여 영남과 호남지방 사이를 지나 광양만을 통해 [[남해]]로 흐르는 [[국가하천]]이다. 길이는 225km로 남한에서 4번째로 긴 강이며,한반도에서는 7번째로 긴 강이다. 유역면적은 4,896㎢  
 


==이름의 유래<ref>[http://garam.kwater.or.kr/page.do 하천정보시스템] 참조</ref>==
==이름의 유래<ref>[http://garam.kwater.or.kr/page.do 하천정보시스템] 참조</ref>==
7번째 줄: 8번째 줄:
==발원지==
==발원지==
섬진강의 발원지는 문헌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으며 대표적인 지역으로는 마이산, 지리산, 팔공산, 진안군 등 각양각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1983년 ‘이형석’의 답사와 국토지리정보원에 의해 섬진강의 최장 발원지는 전북 진안군 백운면 신암리 봉황산 상추막이골 데미샘으로 밝혀졌다.  
섬진강의 발원지는 문헌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으며 대표적인 지역으로는 마이산, 지리산, 팔공산, 진안군 등 각양각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1983년 ‘이형석’의 답사와 국토지리정보원에 의해 섬진강의 최장 발원지는 전북 진안군 백운면 신암리 봉황산 상추막이골 데미샘으로 밝혀졌다.  
「대동지지」, 「동국여지승람」 등의 옛 문헌에서는 황지를 낙동강의 발원지로 기록하고 있으며, 다른 발원지에 비해 많은 용출량, 인간생활과 인접해 있는 가치성 등의 이유로 황지를 낙동강의 발원지로 통칭하고 있다.


==지류==
==지류==

2015년 4월 29일 (수) 09:27 판

개요

전라남도 진안군에서 발원하여 영남과 호남지방 사이를 지나 광양만을 통해 남해로 흐르는 국가하천이다. 길이는 225km로 남한에서 4번째로 긴 강이며,한반도에서는 7번째로 긴 강이다. 유역면적은 4,896㎢


이름의 유래[1]

원래 섬진강은 가람 사수강·사천·두치강 등으로 불렀는데, 고려 우왕 11년(1385)에 왜구가 섬진강 하구에 침입했을 때 수십만 마리의 두꺼비떼가 울부짖어 왜구가 광양쪽으로 피해갔다는 전설이 있어, 이때부터 강 이름에 두꺼비 '섬(蟾)', 나루 '진(津)'자를 붙여 섬진강이 되었다.

발원지

섬진강의 발원지는 문헌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으며 대표적인 지역으로는 마이산, 지리산, 팔공산, 진안군 등 각양각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1983년 ‘이형석’의 답사와 국토지리정보원에 의해 섬진강의 최장 발원지는 전북 진안군 백운면 신암리 봉황산 상추막이골 데미샘으로 밝혀졌다.

지류

여담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