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각선: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5번째 줄: 5번째 줄:


예를 들어 [[경부선]]-[[경전선]]의 경우 [[삼랑진역]]에서 부산→목포 방면으로 분기하기 때문에 서울역에서 마산역으로 향하는 열차는 삼랑진역에 정차해서 기관차 방향을 바꾸어야 한다. 하지만 [[미전선]]이 서울 방면에서 분기해서 경전선으로 합류하기 때문에 손쉽게 경전선으로 진출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경부선]]-[[경전선]]의 경우 [[삼랑진역]]에서 부산→목포 방면으로 분기하기 때문에 서울역에서 마산역으로 향하는 열차는 삼랑진역에 정차해서 기관차 방향을 바꾸어야 한다. 하지만 [[미전선]]이 서울 방면에서 분기해서 경전선으로 합류하기 때문에 손쉽게 경전선으로 진출할 수 있게 된다.
==국내 삼각선 목록==
* [[건천연결선]]
* [[구로삼각선]]
* [[금장삼각선]]
* [[대전선]]
* [[망우선]]
* [[미전선]]
* [[부전선]]
* [[북송정삼각선]]
* [[북영주삼각선]]
* [[북영천삼각선]]
* [[오송선]]
* [[용산삼각선]]
* [[전경삼각선]]
* [[태백삼각선]]
* [[평택삼각선]]
* [[폐선]]된 삼각선
** [[오정선]]
** [[옥서삼각선]]


[[분류:철도]]
[[분류:철도]]
[[분류:삼각선]]
[[분류:삼각선]]

2015년 10월 3일 (토) 16:04 판

개요

노선을 쉽게 건너가기 위해 만드는 노선.

노선이 분기할 경우 특정 방향으로만 진행이 가능한데, 다른 방향으로 가려면 역에서 많은 시간을 써가면서 작업을 할 필요가 있다. 이런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건설되는 것이 삼각선.

예를 들어 경부선-경전선의 경우 삼랑진역에서 부산→목포 방면으로 분기하기 때문에 서울역에서 마산역으로 향하는 열차는 삼랑진역에 정차해서 기관차 방향을 바꾸어야 한다. 하지만 미전선이 서울 방면에서 분기해서 경전선으로 합류하기 때문에 손쉽게 경전선으로 진출할 수 있게 된다.

국내 삼각선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