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y (THB):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불필요한 공백 제거)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br *>|<br */ *>|<BR *>|<BR */ *>|<Br *>|<Br */ *>|<bR *>|<bR */ *>) +<br />))
6번째 줄: 6번째 줄:
|내용2={{youtube|lOSRVXiZMs4|||center|'''(자동 생성된 영상)'''}}
|내용2={{youtube|lOSRVXiZMs4|||center|'''(자동 생성된 영상)'''}}
}}
}}
<br/>
<br />
[https://soundcloud.com/roopdesign/ray-roop-remix 공식 음원 (roop remix)]<br/>
[https://soundcloud.com/roopdesign/ray-roop-remix 공식 음원 (roop remix)]<br />
'''ray'''는 THB가 2009년에 발매한 싱글 《ray | bug》의 1번 트랙이다. 이후 작곡가 roop가 보컬을 추가해 리믹스한 버전이 '''ray (roop remix)'''란 이름과 함께 THB의 앨범 《T​.​H​.​B. | Switch | Air》의 6번 트랙으로 수록되었고, [[Tone Sphere]]의 튜토리얼 곡으로 선택되며 알려지게 되었다.
'''ray'''는 THB가 2009년에 발매한 싱글 《ray | bug》의 1번 트랙이다. 이후 작곡가 roop가 보컬을 추가해 리믹스한 버전이 '''ray (roop remix)'''란 이름과 함께 THB의 앨범 《T​.​H​.​B. | Switch | Air》의 6번 트랙으로 수록되었고, [[Tone Sphere]]의 튜토리얼 곡으로 선택되며 알려지게 되었다.


13번째 줄: 13번째 줄:
원곡에는 보컬가 없으나, roop가 리믹스한 음원에는 보컬이 포함되어 있다. 본 문단은 ray (roop remix)의 가사를 작성한 문단이다.
원곡에는 보컬가 없으나, roop가 리믹스한 음원에는 보컬이 포함되어 있다. 본 문단은 ray (roop remix)의 가사를 작성한 문단이다.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width:100%" align=center>'''   <span style="font-size:125%; ">가사 보기</span> (영어 / 해석)'''<br/><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align=left><br/>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width:100%" align=center>'''   <span style="font-size:125%; ">가사 보기</span> (영어 / 해석)'''<br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align=left><br />
{{가사/시작
{{가사/시작
|Late at night we drift alone
|Late at night we drift alone
79번째 줄: 79번째 줄:
<div class="col-md-6 col-xs-12" style='padding:0'>{{Tone Sphere/Press/Start}}</div>
<div class="col-md-6 col-xs-12" style='padding:0'>{{Tone Sphere/Press/Start}}</div>
<div class="col-md-6 col-xs-12" style='padding:0'>{{Tone Sphere/Solarsphere}}</div>{{-}}
<div class="col-md-6 col-xs-12" style='padding:0'>{{Tone Sphere/Solarsphere}}</div>{{-}}
</div></div><br/>
</div></div><br />
{{Tone Sphere/곡 정보
{{Tone Sphere/곡 정보
|곡 제목=ray (roop remix)
|곡 제목=ray (roop remix)
123번째 줄: 123번째 줄:
{{탭
{{탭
|제목1=EXPERT
|제목1=EXPERT
|내용1={{youtube|z7j2WybpKLo|||center|'''★6 AP 영상'''}}<br/>
|내용1={{youtube|z7j2WybpKLo|||center|'''★6 AP 영상'''}}<br />
단타와 슬라이드를 동시에 처리해야 하는 패턴에서 단타를 놓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423 ~ 434 콤보에서 슬라이드가 섞인 16비트 패턴이 다른 구간에 비해 난이도가 높다. 후반부의 이빠진 8비트, 16비트 트릴에서도 박자가 밀리지 않게 주의해야 한다.
단타와 슬라이드를 동시에 처리해야 하는 패턴에서 단타를 놓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423 ~ 434 콤보에서 슬라이드가 섞인 16비트 패턴이 다른 구간에 비해 난이도가 높다. 후반부의 이빠진 8비트, 16비트 트릴에서도 박자가 밀리지 않게 주의해야 한다.
|제목2=HARD
|제목2=HARD

2021년 10월 3일 (일) 22:33 판

원곡
roop remix

(자동 생성된 영상)

(자동 생성된 영상)


공식 음원 (roop remix)
ray는 THB가 2009년에 발매한 싱글 《ray | bug》의 1번 트랙이다. 이후 작곡가 roop가 보컬을 추가해 리믹스한 버전이 ray (roop remix)란 이름과 함께 THB의 앨범 《T​.​H​.​B. | Switch | Air》의 6번 트랙으로 수록되었고, Tone Sphere의 튜토리얼 곡으로 선택되며 알려지게 되었다.

가사 (roop remix)

원곡에는 보컬가 없으나, roop가 리믹스한 음원에는 보컬이 포함되어 있다. 본 문단은 ray (roop remix)의 가사를 작성한 문단이다.

   가사 보기 (영어 / 해석)

Late at night we drift alone
늦은 밤, 우리는 홀로 떠돌아 다녔어
It's all that we have ever known
이게 우리가 아는 것의 전부야
Still I hear you calling me
난 여전히 네가 날 부르는 소리가 들려
And when you find me we'll be free
그리고 네가 날 찾으면 우린 자유로워질 거야
Just believe in me tonight
오늘 밤, 나를 믿어줘
 
 
Forever loved
영원한 사랑받는 것
Forever in your arms is where I want to be, again
네 품이 내가 다시 영원히 있고 싶은 곳이야
 
 
As surely as the sun will rise
당연하게도 해는 떠오를 거고
And banish all our darkened sky
어두운 하늘을 사라지게 만들겠지
You have to find a way to see
너는 볼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만 해
Just what it is you mean to free
너에게 자유란 어떤 의미야?
Just believe in me tonight
오늘 밤, 나를 믿어줘
 
 
Forever loved
영원한 사랑받는 것
Forever in your arms is where I want to be, again
네 품이 내가 다시 영원히 있고 싶은 곳이야

Tone Sphere

      에피소드 별 수록곡 정보 보기


ray (roop remix)
roop loves THB
난이도
EASY 0.5
P/S, Solarsphere
78 (111)
NORMAL 3
✪✪✪
Press/Start
189 (285)
HARD 5
✪✪✪✪✪
Solarsphere
292 (583)
EXPERT 7.5
✪✪✪✪✪✪✪✦
Solarsphere
354 (790)
수록 팩
노트 (콤보)


roop remix 버전이 Tone Sphere의 초창기 곡으로 수록되었다. EASY 채보는 How to play Tone Sphere in 3 minutes (부제: LESSON)란 이름으로 수록되었으며, 다른 채보와 다르게 풀 버전으로 수록되었다. 이 외의 특이사항으로는 NORMAL을 제외하면[1] 모든 난이도에서 최저 레벨을 배정받았다는 점.

EXPERT
HARD
EASY

★6 AP 영상


단타와 슬라이드를 동시에 처리해야 하는 패턴에서 단타를 놓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423 ~ 434 콤보에서 슬라이드가 섞인 16비트 패턴이 다른 구간에 비해 난이도가 높다. 후반부의 이빠진 8비트, 16비트 트릴에서도 박자가 밀리지 않게 주의해야 한다.

★6 AP 영상

★6 FC 영상


각주

  1. NORMAL 최저 레벨은 already seen의 1레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