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자가형: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폭력적}} == 개요 == 사형의 한 방법으로, 주로 이스라엘 등 중동권 지역에서 옛날에 사용했던 방법이었다. 사형수들을 십자가에 못박아,...)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 개요 ==
== 개요 ==
사형의 한 방법으로, 주로 이스라엘 등 중동권 지역에서 옛날에 사용했던 방법이었다. 사형수들을 십자가에 못박아, 죽을 때까지 놔두는 형식이었다. 요즘은 세계 어디를 가나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사형]]의 한 방법으로, 주로 [[이스라엘]] 등 중동권 지역에서 예전에 사용했던 형별 집행이다. [[사형수]]들을 [[십자가]]에 못박아, 죽을 때까지 놔두는 형식이었다. 요즘은 세계 어디를 가도 찾아볼 수 없다.


예수 그리스도에게 내려진 사형 방법이었으며, 이로 인해, [[기독교]]에서는 십자가를 상징으로 하기도 한다.
[[예수 그리스도]]에게 내려진 사형 방법이었으며, 이로 인해, [[기독교]]에서는 십자가를 상징으로 하기도 한다.
[[분류:사형]]
 
== 대중문화 속의 십자가형 ==
* 미국 드라마 《[[스파르타쿠스 (드라마)|스파르타쿠스]]》 마지막 회에서는 스파르타쿠스 전쟁이 끝나고 생포된 노예들을 십자가형에 처하는 장면이 나온다.
* 미국 영화 《[[패션 오브 크라이스트]]》에서는 [[예수]]가 십자가형에 처해지는 모습이 나온다.

2021년 4월 23일 (금) 14:46 기준 최신판

폭력적 내용 주의 이 부분 아래에는 부적절한 내용(폭력성)을 포함하고 있어, 열람에 주의 및 보호자의 지도가 필요합니다.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사형의 한 방법으로, 주로 이스라엘 등 중동권 지역에서 예전에 사용했던 형별 집행이다. 사형수들을 십자가에 못박아, 죽을 때까지 놔두는 형식이었다. 요즘은 세계 어디를 가도 찾아볼 수 없다.

예수 그리스도에게 내려진 사형 방법이었으며, 이로 인해, 기독교에서는 십자가를 상징으로 하기도 한다.

대중문화 속의 십자가형[편집 | 원본 편집]

  • 미국 드라마 《스파르타쿠스》 마지막 회에서는 스파르타쿠스 전쟁이 끝나고 생포된 노예들을 십자가형에 처하는 장면이 나온다.
  • 미국 영화 《패션 오브 크라이스트》에서는 예수가 십자가형에 처해지는 모습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