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생방 공격: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 군대에서 == 한국군의 주적 북한이 세계 최대급으로 막대한 양의 화학무기를 보유한 <del>국가</del>집단인만큼, 병과를...)
 
잔글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WMD symbols variant-2 triangle.svg|thumb]]
화학·생물·방사능 무기 공격(화생방 공격, Weapons of mass destruction)은 적에게 물리적인 손해를 입히는 대신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유포해 신체기능 저하를 유도해 적의 전투력·사기를 떨어트리는 공격이다.


== [[군대]]에서 ==
== 종류 ==
* [[화학 무기]]: 독성이 있는 화학물질을 포탄, 에어로졸 등의 방식으로 투하가능한 무기를 말한다.
* [[생물 무기]]: 병원성 세균·바이러스를 포탄, 에어로졸 등의 방식으로 투하가능한 무기를 말한다.
* [[방사능 무기]]: [[핵폭탄]] 또는 [[더티밤]]을 말한다.


[[한국군]]의 주적 [[북한]]이 세계 최대급으로 막대한 양의 [[화학무기]]를 보유한 <del>국가</del>집단인만큼, [[병과]]를 불문하고 모든 [[간부]], [[병]]에게 1개씩 지급된다. 삼공물산의 K-1 방독면을 주력으로 사용해 왔으나, 삼공물산에서 국민용 방독면 비리를 터뜨린 이후 산청에서 동일한 K-1 방독면을 제작하고 있다. 평시에 사용하는 방독면은 먼 옛날부터 되물림과 되물림을 반복하면서 낡고 고장난 경우가 대부분이다. 정화통 역시 수명이 다 한지 오래되이지만 <del>다행히도</del> [[CS 가스]]에는 잘 작용한다. 전시에 사용할 방독면과 정화통은 치장창고에 밀봉보관되어 있다가 전시([[데프콘]] Ⅱ 발령시)에는 평시 방독면과 교체하게 된다.
== 방호 ==
=== 제독 ===
[[파일:Marines, JGSDF rapidly respond to simulated contaminations 141202-M-RZ020-003.jpg|thumb|환자 후송을 위해 세척중]]
제독이란, 화생방 공격으로 오염된 신체 및 장비를 세척하거나 해독하는 일을 말한다.


[[현역]]의 경우 [[훈련병]]때 [[가스 실습]]에서 처음으로 착용해보게 된다. [[자대]]로 배치받은 후에는 [[화학]] [[병과]]가 아니라면 특별한 [[훈련]] 때에나 가끔씩 착용한다. 적 포탄 낙하 상황이 발생하면 일단 방독면은 쓰고 시작한다. 거기에 [[화생방 보호의]]에 [[전투화덮개]]에 [[보호수갑]]까지 풀세트로 착용하면 체력 소모가 장난아니다. 게다가 한여름이라면 [[지못미]].. 드물지만 [[행군]] 중에 [[임무형 보호태세]]를 터뜨려 착용하게 되는 경우도 있는데, 30kg 군장 무게에 방독면까지 쓰고 있다고 생각하면..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화학]] [[병과]]는 [[병과]] 특성상 방독면을 원없이 써볼 수 있으며, 부대에 따라 방독면 [[구보]]를 하기도 한다.
신체의 제독은 기본적으로 샤워와 비슷하며, 착용한 의복을 벗고 미온수와 비누를 이용해서 구석구석 닦아준다. 화학·방사성 물질을 흡입했거나, 생물 무기에 감염된 경우 적절한 의약품을 투여하여 제독을 진행한다.


[[예비역]]의 경우 [[예비군 훈련]] 중 [[화생방]] 과목에서 착용하게 된다. 통상 [[화생방 보호의]]부터 [[보호수갑]]까지 [[임무형 보호태세]]를 한 단계씩 높여나가며 [[보호장비]]를 착용했다가 해제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대부분의 [[예비역]]들이 짜증을 내면서도 <del>집에 일찍 가기 위해서</del> 열심히 참여한다. 10개 남짓의 방독면(대게 [[현역]]이 사용하던 것을 차출해온다.)을 수백명의 [[예비역]]이 돌려서 사용하는만큼 위생상 좋지는 않다. 때문에 [[메르스 사태]] 때에는 [[화생방 훈련]]에서 방독면 착용을 시키지 말라는 지침이 내려오기도 했었다.
장비·건물의 제독은 기본적으로 세척과 비슷하며, 방사능 무기인 경우 물질이 방사화됐을 가능성이 있기에 세척 후에도 해결되지 않으면 고압수나 특수장비로 표면을 긁거나(건물), 폐기하여 매립하거나 소각한다. 식품의 경우 밀봉된 것은 용기 겉면을 세척한 후 섭취해도 무방하나, 밀봉되지 않은 식품은 폐기하는 것이 원칙이다.


과거에는 [[가혹행위]]에 이용되기도 하였다. [[코골이]]가 심한 후임병이 잘 때 방독면을 씌우면 조용해진다. 씌우는 사람 입장에서는 조용해서 좋지만, 자는 사람 입장에서는 호흡이 벅차지고 숨쉬는 소리가 음성진동배기판으로 울리는 소리가 들리면서 잠들기 힘들어진다. 잘못하면 [[산소]]부족으로 영원히 잠들어버릴 수도 있는 만큼 '''절대로 따라하지 않도록 한다.''' 그 외에 후임병에게 [[팔굽혀펴기]] 등의 [[얼차려]]를 부여하면서 방독면까지 씌우면 난이도를 급상승시킬 수 있다. [[가혹행위]] 단속 및 처벌이 강화된 요즘 [[군대]]에서는 거의 불가능한 일이지만, 가끔 [[언론]]에 보도되는 기사들을 보면 아예 없지는 않는 것 같다.
=== 비상 해제법 ===
 
[[파일:The Chemical Agent Monitor (CAM) MOD 45152663.jpg|thumb|CAM]]
=== 휴대법 ===
* 어깨 메어 ([[단독군장]] 착용시)
*: 휴대주머니의 아랫부분이 왼쪽 허리선에 닿도록 하고, 긴 끈을 등으로 돌려 오른쪽 어깨를 둘러 고리에 건다. 짧은 끈은 그대로 허리를 둘러 고리에 건다.
* 다리 메어 ([[완전군장]] 착용시)
*: 휴대주머니의 윗부분이 왼쪽 허리선에 닿도록 하고, 긴 끈을 허리로 둘러 고리에 건다. 짧은 끈은 뒤에서 앞으로 왼쪽 다리를 둘러 고리를 통과시키고, 다시 앞에서 뒤로 왼쪽 다리를 둘러 고리에 건다. 짧은 끈을 너무 꽉 조으면 걸을 때나 쪼그려 앉을 때 불편할 수 있으므로 적절히 조절한다.
 
=== 착용법 ===
[[화생방 경보]] 발령시 또는 주위의 "가스!" 소리를 듣게 되면 '''호흡을 멈추고''' 쪼그려 앉아 [[방탄헬멧]]과 [[소총]]을 벗어 무릎에 얹어둔다. 휴대주머니를 열어 안면부를 얼굴에 밀착시키고, 머리끈뭉치를 뒤집어 머리에 두른다. 아래끈을 조여 안면부와 얼굴을 완전히 밀착시키고, 숨을 내쉬어 안면부와 호흡기 사이에 남아 있는 [[작용제]]를 내보낸다. 정화통을 손으로 막고 숨을 들이마셔 밀착 여부를 확인하고, 양 손을 주먹쥐고 어깨로 접었다 폈다 하면서 "가스! 가스! 가스!"라고 외쳐 주위에 [[화생방 경보]]를 전파한다. 이 단계까지 '''9초''' 이내에 완료해야 하는데, 격렬한 활동 중에 호흡을 멈추었을 때 버틸 수 있는 시간이 9초 남짓이기 때문이다.
 
추가적으로 목끈을 부착하고, 보호두건을 뒤집어 조이고 어깨끈까지 부착해야 방독면 착용이 완료된다. 벗어두었던 [[방탄헬멧]]과 [[소총]]을 다시 장착하고 휴대주머니를 닫아 부수기재가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 해제법 ===
화학탐지기(K-CAM2)에서 음성 반응이 나타난 경우 [[지휘관]]의 지시에 따라 방독면을 해제하게 된다. 어깨끈과 목끈을 해제하고, 아래끈을 풀고 머리끈뭉치를 뒤집어 안면부를 분리한다. 해제한 이후에는 바람에 흔들어 [[작용제]]를 최대한 털어내고, 다음 착용에 대비하여 머리끈뭉치를 잘 뒤집어 정리하여 휴대주머니에 보관한다.
화학탐지기(K-CAM2)에서 음성 반응이 나타난 경우 [[지휘관]]의 지시에 따라 방독면을 해제하게 된다. 어깨끈과 목끈을 해제하고, 아래끈을 풀고 머리끈뭉치를 뒤집어 안면부를 분리한다. 해제한 이후에는 바람에 흔들어 [[작용제]]를 최대한 털어내고, 다음 착용에 대비하여 머리끈뭉치를 잘 뒤집어 정리하여 휴대주머니에 보관한다.
*화학탐지기(K-CAM2) 사용이 가능한 상황의 해제 절차
*화학탐지기(K-CAM2) 사용이 가능한 상황의 해제 절차
# 화학탐지기(K-CAM2)로 [[작용제]] 유무를 확인한다.
# 화학탐지기(K-CAM2)로 [[작용제]] 유무를 확인한다.
# 건강한 병사 2~3명의 방독면을 해제하고 5분 후 다시 착용한다.
# 건강한 병사 2~3명의 방독면을 해제하고 5분 후 다시 착용한다.
# 10분간 관찰하여 증상이 없으면 분대·소대 단위로 점진적으로 방독면을 해제한다.
# 10분간 관찰하여 증상이 없으면 분대·소대 단위로 점진적으로 방독면을 해제한다.
*화학탐지기(K-CAM2) 사용이 불가능한 상황의 해제 절차
*화학탐지기(K-CAM2) 사용이 불가능한 상황의 해제 절차
# 건강한 병사 2~3명의 호흡을 멈추고 방독면의 턱 부분을 15초간 개장한다.
# 건강한 병사 2~3명의 호흡을 멈추고 방독면의 턱 부분을 15초간 개장한다.
34번째 줄: 28번째 줄:
# 10분간 관찰하여 증상이 없으면 방독면을 해제하고 5분 후 다시 착용한다.
# 10분간 관찰하여 증상이 없으면 방독면을 해제하고 5분 후 다시 착용한다.
# 10분간 관찰하여 증상이 없으면 분대·소대 단위로 점진적으로 방독면을 해제한다.
# 10분간 관찰하여 증상이 없으면 분대·소대 단위로 점진적으로 방독면을 해제한다.
== 같이 보기 ==
* [[K1 방독면]]
* [[임무형 보호태세]]
{{각주}}
{{각주}}
{{문서 가져옴|방독마스크}}
{{문서 가져옴|방독마스크}}
[[분류:군사]]
[[분류:군사]]

2022년 8월 30일 (화) 12:08 기준 최신판

WMD symbols variant-2 triangle.svg

화학·생물·방사능 무기 공격(화생방 공격, Weapons of mass destruction)은 적에게 물리적인 손해를 입히는 대신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유포해 신체기능 저하를 유도해 적의 전투력·사기를 떨어트리는 공격이다.

종류[편집 | 원본 편집]

  • 화학 무기: 독성이 있는 화학물질을 포탄, 에어로졸 등의 방식으로 투하가능한 무기를 말한다.
  • 생물 무기: 병원성 세균·바이러스를 포탄, 에어로졸 등의 방식으로 투하가능한 무기를 말한다.
  • 방사능 무기: 핵폭탄 또는 더티밤을 말한다.

방호[편집 | 원본 편집]

제독[편집 | 원본 편집]

환자 후송을 위해 세척중

제독이란, 화생방 공격으로 오염된 신체 및 장비를 세척하거나 해독하는 일을 말한다.

신체의 제독은 기본적으로 샤워와 비슷하며, 착용한 의복을 벗고 미온수와 비누를 이용해서 구석구석 닦아준다. 화학·방사성 물질을 흡입했거나, 생물 무기에 감염된 경우 적절한 의약품을 투여하여 제독을 진행한다.

장비·건물의 제독은 기본적으로 세척과 비슷하며, 방사능 무기인 경우 물질이 방사화됐을 가능성이 있기에 세척 후에도 해결되지 않으면 고압수나 특수장비로 표면을 긁거나(건물), 폐기하여 매립하거나 소각한다. 식품의 경우 밀봉된 것은 용기 겉면을 세척한 후 섭취해도 무방하나, 밀봉되지 않은 식품은 폐기하는 것이 원칙이다.

비상 해제법[편집 | 원본 편집]

CAM

화학탐지기(K-CAM2)에서 음성 반응이 나타난 경우 지휘관의 지시에 따라 방독면을 해제하게 된다. 어깨끈과 목끈을 해제하고, 아래끈을 풀고 머리끈뭉치를 뒤집어 안면부를 분리한다. 해제한 이후에는 바람에 흔들어 작용제를 최대한 털어내고, 다음 착용에 대비하여 머리끈뭉치를 잘 뒤집어 정리하여 휴대주머니에 보관한다.

  • 화학탐지기(K-CAM2) 사용이 가능한 상황의 해제 절차
  1. 화학탐지기(K-CAM2)로 작용제 유무를 확인한다.
  2. 건강한 병사 2~3명의 방독면을 해제하고 5분 후 다시 착용한다.
  3. 10분간 관찰하여 증상이 없으면 분대·소대 단위로 점진적으로 방독면을 해제한다.
  • 화학탐지기(K-CAM2) 사용이 불가능한 상황의 해제 절차
  1. 건강한 병사 2~3명의 호흡을 멈추고 방독면의 턱 부분을 15초간 개장한다.
  2. 10분간 관찰하여 증상이 없으면 방독면을 해제하고 3~4회 호흡하고 다시 착용한다.
  3. 10분간 관찰하여 증상이 없으면 방독면을 해제하고 5분 후 다시 착용한다.
  4. 10분간 관찰하여 증상이 없으면 분대·소대 단위로 점진적으로 방독면을 해제한다.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각주

이 문서의 전체 혹은 일부는 방독마스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