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뿔장수풍뎅이: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13명의 중간 판 3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외뿔장수풍뎅이.jpg|섬네일|400px|외뿔장수풍뎅이 한 쌍]]
{{생물 분류 정보
|이름    = 외뿔장수풍뎅이
|그림    = Kokabutomushi3.jpg
|그림설명 =
|학명    = ''Eophileurus chinensis''
|명명    = Faldermann, 1835
|생물분류 =
{{생물 분류 정보/분류
|분류    = 계
|명칭    = [[동물|동물계]]
}}
{{생물 분류 정보/분류
|분류    = 문
|명칭    = 절지동물문(Arthropoda)
}}
{{생물 분류 정보/분류
|분류    = 강
|명칭    = 곤충강(Insecta)
}}
{{생물 분류 정보/분류
|분류    = 목
|명칭    = 딱정벌레목(Coleoptera)
}}
{{생물 분류 정보/분류
|분류    = 과
|명칭    = 풍뎅이과(Scarabaeidae)
}}
{{생물 분류 정보/분류
|분류    = 아과
|명칭    = 장수풍뎅이아과(Dynastinae)
}}
{{생물 분류 정보/분류
|분류    = 속
|명칭    = 외뿔장수풍뎅이속(''Eophileurus'')
}}
{{생물 분류 정보/분류
|분류    = 종
|명칭    = '''외뿔장수풍뎅이'''(''E. chinensis'')
}}
|보전상태 =
|비고    =
}}
 
[[파일:Eophileurus chinensis.jpg|380px]]<br />
외뿔장수풍뎅이 한 쌍
 
==개요==
==개요==
장수풍뎅이아과 외뿔장수풍뎅이속 소형 [[장수풍뎅이]].
장수풍뎅이아과 외뿔장수풍뎅이속 소형 [[장수풍뎅이]].


작기 때문에 암수 차이가 그리 뚜렷하지는 않다. 하지만 비교해 보면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앞가슴의 패임과 앞다리 모양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장수풍뎅이보다 작지만 국지적으로 서식하는 종이다.
작기 때문에 암수 차이가 그리 뚜렷하지는 않다. 하지만 비교해 보면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앞가슴의 패임과 앞다리 모양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장수풍뎅이보다 작지만 국지적으로 서식하는 종이다.
몸길이 20~23mm [[장수풍뎅이]]보다 작으며 몸빛깔은 검은색으로 광택이있다. [[수컷]]의 머리방패에는 중앙에 위로 행한 뿔모양의 작은 돌기가 있다. [[암컷]]은 같은 위치에 더 짧은 돌기가 있다. 앞가슴등판은 수컷의 경우 가운데 타원형 모양의 오목한 부분이 있고 암컷의 경우 오목한 부분이 덜 들어가 있다.


==생태 및 특성==
==생태 및 특성==
장수풍뎅이 종류인데도 특이하게 [[육식]]을 한다. 비록 장수풍뎅이보다 덩치가 작지만 육식하는만큼 온순한 장수풍뎅이와 달리 '''성격도 사납고, 사람을 문다!!''' 장수풍뎅이나 사슴벌레와 같이 두면 외뿔장수풍뎅이가 장수풍뎅이를 '''잡아먹는다! 배에 구멍을 뚷고 파고들어가 속살을 파먹는다'''고. 그래서 기를땐 체액이 있는 동물성 먹이도 먹여야 한다. 사육 시에는 짝짓기 후 산란 세팅 시 암컷에게 [[밀웜]]의 [[번데기]] 등을 주면 많이 산란한다고 한다.
6~8월 참나무류 수액이 흐르는 곳에서 볼 수 있으며 9월에 산란을 시작한다. 장수풍뎅이처럼 부엽토에 산란하며, 알은 10일만에 부화한다.


몸길이 20~23mm [[장수풍뎅이]]보다 작으며 몸빛깔은 검은색으로 광택이있다. [[수컷]]의 머리방패에는 중앙에 위로 행한 뿔모양의 작은 돌기가 있다. [[암컷]]은 같은 위치에 더 짧은 돌기가 있다. 앞가슴등판은 수컷의 경우 가운데 타원형 모양의 오목한 부분이 있고 암컷의 경우 오목한 부분이 덜 들어가 있다.
[[파일:Scarab Beetle.jpg|섬네일|유지매미 시체를 먹는 외뿔장수풍뎅이]]
 
장수풍뎅이 종류인데도 특이하게 [[육식]]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사육 시에는 육식성 먹이도 같이 공급해야하며, 짝짓기 후 산란 세팅 시 암컷에게 [[밀웜]]의 [[번데기]] 등을 주면 많이 산란한다고 한다. 다만 일반적인 장수풍뎅이가 먹는 수액이나 꿀 등도 잘먹음으로 육식성이 강한 잡식성으로 보는 것이 맞다.<ref>다만 육식을 자주 시켜 주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풍뎅이과인 만큼 주식은 초식이다.</ref>
 
장수풍뎅이나 사슴벌레를 잡아먹는다는 출처 불명의 정보가 있으나 다른 곤충을 사냥해 잡아먹기보다는 시체를 먹는 시체 청소부(스캐빈저)에 가깝다. 하지만 다수의 외뿔장수풍뎅이를 사육시 먹이를 제때 주지 않을 경우 동족상잔이 일어날 수 있다.<ref>다만 이러한 점은 외뿔장수풍뎅이 외에도 다른 스캐빈저 곤충을 사육할 때도 일어날 수 있다.</ref>


6~8월 참나무류 수액이 흐르는 곳에서 볼 수 있으며 9월에 산란을 시작한다. 장수풍뎅이처럼 부엽토에 산란하며, 알은 10일만에 부화한다.
{{주석}}[[분류:풍뎅이과]]
{{주석}}
[[분류:곤충]]

2023년 6월 16일 (금) 12:41 기준 최신판

외뿔장수풍뎅이
Kokabutomushi3.jpg
학명
Eophileurus chinensis
Faldermann, 1835
생물 분류
동물계
절지동물문(Arthropoda)
곤충강(Insecta)
딱정벌레목(Coleoptera)
풍뎅이과(Scarabaeidae)
아과 장수풍뎅이아과(Dynastinae)
외뿔장수풍뎅이속(Eophileurus)
외뿔장수풍뎅이(E. chinensis)

Eophileurus chinensis.jpg
외뿔장수풍뎅이 한 쌍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장수풍뎅이아과 외뿔장수풍뎅이속 소형 장수풍뎅이.

작기 때문에 암수 차이가 그리 뚜렷하지는 않다. 하지만 비교해 보면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앞가슴의 패임과 앞다리 모양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장수풍뎅이보다 작지만 국지적으로 서식하는 종이다.

몸길이 20~23mm 장수풍뎅이보다 작으며 몸빛깔은 검은색으로 광택이있다. 수컷의 머리방패에는 중앙에 위로 행한 뿔모양의 작은 돌기가 있다. 암컷은 같은 위치에 더 짧은 돌기가 있다. 앞가슴등판은 수컷의 경우 가운데 타원형 모양의 오목한 부분이 있고 암컷의 경우 오목한 부분이 덜 들어가 있다.

생태 및 특성[편집 | 원본 편집]

6~8월 참나무류 수액이 흐르는 곳에서 볼 수 있으며 9월에 산란을 시작한다. 장수풍뎅이처럼 부엽토에 산란하며, 알은 10일만에 부화한다.

유지매미 시체를 먹는 외뿔장수풍뎅이

장수풍뎅이 종류인데도 특이하게 육식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사육 시에는 육식성 먹이도 같이 공급해야하며, 짝짓기 후 산란 세팅 시 암컷에게 밀웜번데기 등을 주면 많이 산란한다고 한다. 다만 일반적인 장수풍뎅이가 먹는 수액이나 꿀 등도 잘먹음으로 육식성이 강한 잡식성으로 보는 것이 맞다.[1]

장수풍뎅이나 사슴벌레를 잡아먹는다는 출처 불명의 정보가 있으나 다른 곤충을 사냥해 잡아먹기보다는 시체를 먹는 시체 청소부(스캐빈저)에 가깝다. 하지만 다수의 외뿔장수풍뎅이를 사육시 먹이를 제때 주지 않을 경우 동족상잔이 일어날 수 있다.[2]

각주

  1. 다만 육식을 자주 시켜 주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풍뎅이과인 만큼 주식은 초식이다.
  2. 다만 이러한 점은 외뿔장수풍뎅이 외에도 다른 스캐빈저 곤충을 사육할 때도 일어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