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데기

번데기는 완전변태를 하는 곤충 가운데 어린 벌레와 어른 벌레 사이에 거치는 발육단계이다. 완전 변태라는 개념이 번데기를 거치는 변태라고 봐도 되며, 이렇게 이해하면 쉽다. 반대는 불완전변태다.

특징[편집 | 원본 편집]

긴꼬리제비나비 번데기
날개, 흉각[1], 외부생식기, 겹눈[2], 더듬이[3], 따위를 갖추지만, 어른이 될 때까지 기능은 할 수 없다. 호흡을 위해 수중을 떠다니는 모기의 번데기 따위를 빼면 이동력을 갖지 않아 운동도 극히 한정되어 있다. 먹이도 전혀 먹지 않지만 번데기의 체내에서는 성충기관의 급속한 분화 및 완성과 유충기관의 퇴화가 진행된다.

번데기는 이동, 방어의 수단이 없어서 유충이 번데기가 될 때에는 땅속에 숨어들거나 벽이나 나무 등에 붙기도 하고, 보호색을 띄거나 고치를 만드는 것 따위로 많다. 번데기화, 성충화의 과정은 모두 전흉선호르몬에 지배되며 실험적으로 전흉선을 제거한 번데기는 영원한 번데기로 살아간다. 번데기의 형태는 그 생태와 계통에 따라서 다양하다. 번데기라는 발육단계의 기원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의론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번데기를 아성충으로 간주하고 있다. 보통은 알이라는 상태를 발육 단계의 기원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과정[편집 | 원본 편집]

유충 때의 기관은 상당한 부분에 걸쳐서 식세포에 파괴되어 성충기관의 완성재료가 된다. 신경계통은 활발한 형태형성운동을 하지만 파괴되지는 않고, 성충기관의 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표피도 파괴되지 않고 번데기의 껍질 아래에서 새롭게 성충의 껍질을 분비한다. 성충화가 완성되면 번데기는 탈피하고 성충이 출현한다. 이걸 흔히 우화라고 한다.

식품[편집 | 원본 편집]

누에나방의 번데기를 삶은 식품

누에나방의 애벌레에게 뽕잎을 먹여 성장시키면 나방으로 우화하는 과정에서 번데기가 고치를 만드는데, 여기서 고치를 섬유로 가공하면 비단이 나온다. 그리고 고치를 제외한 번데기는 죽게 되고, 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보통 길거리에서 커다란 가마솥에 삶아서 종이컵에 담아주는 그 번데기가 이 것이다. 술집에서도 번데기를 다른 야채와 볶아서 술안주로 판매하기도 하며, 통조림으로 장기 보관할 수 있도록 가공한 형태를 주변 마트나 슈퍼마켓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영양학적으로 단백질과 무기질 등 영양식으로 가치가 높으나 번데기 특유의 외형때문에 극강의 호불호가 갈리는 음식이다. 가끔씩 기피하기도 한다. 특히 우리나라를 방문한 외국인들이 간혹 길거리에서 파는 번데기를 보고 컬쳐쇼크를 받기도 하지만 알 게 뭐야.

비속어[편집 | 원본 편집]

남성의 성기발기하기 전의 모습을 비유하여 번데기라고 말하기도 한다. 또한 발기 하였음에도 크기가 작은 남성의 성기를 번데기라고 칭하기도 한다. 근데 잘 안쓰는듯 하다. 퇴물.

각주

  1. 복각은 없다
  2. 복안
  3. 촉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