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미라이 시리즈: 두 판 사이의 차이

(영상이 잘렸습니다)
잔글 (추적용 분류 강제 갱신 겸 이름 변경 반영)
 
(사용자 10명의 중간 판 2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게임 시리즈 정보
{{게임 시리즈 정보
| 제목          = Project mirai 시리즈
|시리즈이름 = 프로젝트 미라이
| 원제목        = Project mirai シリーズ
|원어이름  = Project mirai
| 이미지        =  
|배경색    =  
| 설명          =  
|글자색    =  
| 장르          = [[리듬 게임]]
|그림      =  
| 개발사       = [[세가 인터렉티브 제2연구개발본부]]
|그림설명  =  
| 발행사        = [[세가|세가 게임즈]]
|개발사     = [[세가 인터렉티브 제2연구개발본부]]
| 배급사        =  
|배급사    = [[세가|세가 게임즈]]
| 플랫폼        = [[3DS]]
|핵심인물  =  
| 디자이너      =
|장르      = [[리듬 게임]]
| 첫 번째 게임   = [[하츠네 미쿠 and Future Stars Project mirai]]
|첫 게임   = [[하츠네 미쿠 and Future Stars Project mirai]]
| 첫 번째 발매일 = {{날짜/출력|2012-03-08}}
|첫 출시일  = [[2012년]] [[3월 8일]]
| 최근 게임     = [[하츠네 미쿠 Project mirai 디럭스]]
|최신 게임 = [[하츠네 미쿠 Project mirai 디럭스]]
| 최근 발매일  = {{날짜/출력|2015-05-28}}
|최신 출시일= [[2015년]] [[5월 28일]]
| 웹사이트     = [http://miku.sega.jp/ SEGA feat. HATSUNE MIKU Project]
|웹사이트   = [http://miku.sega.jp/ SEGA feat. HATSUNE MIKU Project]
|비고      =
}}
}}
'''프로젝트 미라이 시리즈'''는 세가 AM2<ref>2015년 4월 1일부터 세가 인터렉티브 제2개발연구본부가 되었다.</ref>에서 만든 [[하츠네 미쿠]]를 메인으로 채용한 리듬 게임이다.첫 번째 작품은 《[[하츠네 미쿠 and Future Stars Project mirai]]》로 2012년 3월 8일에 발매되었다. 약칭은 '''프로미라'''(プロミラ).
==개요==
==개요==
프로젝트 미라이 시리즈는 세가 AM2<ref>2015년 4월 1일 부터 세가 인터렉티브 제2개발연구본부가 되었다.</ref>에서 만든 [[하츠네 미쿠]]를 메인으로 채용한 리듬 게임이다.첫 번째 작품은 [[하츠네 미쿠 and Future Stars Project mirai]]로 2012년 3월 8일에 발매되었다.
이 작품은 '3DS로 프로젝트 디바 같은 것을 만들자'로 시작된 프로젝트인데 특이하게도 [[넨도로이드]] 모델링을 채용하였다. 그 이유는 등신대 모델링을 3DS에 적용한 결과 화면 크기 탓에 모델링이 다 뭉개져서 사마귀처럼 보이는 바람에 등신대를 줄이고 줄이다가 SD사이즈가 되었고 '차라리 이럴거면 그냥 넨도로이드 모델링으로 만들면 되는거 아닌가?'라는 소리가 나와 굿스마일의 협력을 받아 넨도로이드 모델링을 쓰게 되었다. 그 결과 프로젝트 디바 시리즈의 모델링에 괴리감을 느끼는 유저나 여성, 어린이들에게 호평을 받게 되었다. 게임의 전체적인 디자인이나 인터페이스도 아기자기한 느낌을 준다.


이 작품은 '3DS로 프로젝트 디바 같은것을 만들자'로 시작된 프로젝트인데 특이하게도 넨도로이드 모델링을 채용하였다. 그 이유는 등신대 모델링을 3DS에 적용한 결과 화면 크기 탓에 모델링이 다 뭉개져서 사마귀 처럼 보이는 바람에 등신대를 줄이고 줄이다가 SD사이즈가 되었고 '차라리 이럴거면 그냥 넨도로이드 모델링으로 만들면 되는거 아닌가?'라는 소리가 나와 굿스마일의 협력을 받아 넨도로이드 모델링을 쓰게 되었다. 그 결과 프로젝트 디바 시리즈의 모델링에 괴리감을 느끼는 유저나 여성, 어린이들에게 호평을 받게 되었다. 게임의 전체적인 디자인이나 인터페이스도 아기자기한 느낌을 준다.
프로젝트 디바 시리즈와는 다르게 풀 버전의 곡을 채용하는데<ref>파인더만 풀 버전이 아니다.</ref> 덕분에 곡에 끊김이 없어서 내용을 이해하거나 듣기는 좋지만 리듬 게임에서 플레이는 꽤 힘들다. 대신 난이도는 프로젝트 디바 시리즈보다 더 쉬운 편이다. 그 외에 프로젝트 디바 시리즈와 비교했을 때 특이한 점이 많은데, 몇 가지 예로 [[GUMI]]가 게스트로 등장한다는 것, 일부 곡 한정이지만 보컬 체인지 기능이 있다는 점이 있다. 이 시스템은 미쿠의 성우인 [[후지타 사키]]의 아이디어로 나중에 프로젝트 디바 아케이드 FT에도 사용된다.


프로젝트 디바 시리즈와는 다르게 풀 버전의 곡을 채용하는데<ref>파인더만 풀버전이 아니다.</ref> 그 덕분에 곡에 끊김이 없어서 내용을 이해하거나 듣기는 좋지만 리듬 게임에서 플레이는 꽤 힘들다. 대신 난이도는 프로젝트 디바 시리즈보다 더 쉬운편이다. 그 외에 프로젝트 디바 시리즈와 비교했을때 특이한 점이 많은데 몇가지 예로 [[GUMI]]가 게스트로 등장 한다는 것, 일부 곡 한정이지만 보컬 체인지 기능이 있다는 점이 있다.<ref>보컬 체인지 시스템은 미쿠의 성우인 후지타 사키의 아이디어다. 나중에 프로젝트 디바 아케이드 FT에도 사용된다.</ref>
프로젝트 미라이에서 수록된 곡들은 프로젝트 디바 아케이드로 수록될 때 프로젝트 미라이 시리즈의 모션을 그대로 가져다 쓰는 경우가 많으며 보컬 체인지 버전도 같이 수록된다.
 
프로젝트 미라이에서 수록된 곡들은 프로젝트 디바 아케이드로 수록될때 프로젝트 미라이 시리즈의 모션을 그대로 가져다 쓰는 경우가 많으며 보컬 체인지 버전도 같이 수록된다.


==게임 목록==
==게임 목록==
31번째 줄: 32번째 줄:


== 수록곡 ==
== 수록곡 ==
[[프로젝트 미라이 시리즈/수록곡]] 항목 참조.
{{참고|프로젝트 미라이 시리즈/수록곡}}


== 코스튬 ==
== 코스튬 ==
[[프로젝트 미라이 시리즈/코스튬]] 항목 참조.
{{참고|프로젝트 미라이 시리즈/코스튬}}


==관련 항목==
==관련 문서==
*[[세가]]
*[[넨도로이드]]
*[[크립톤 퓨처 미디어]]
*[[크립톤 퓨처 미디어]]
*[[VOCALOID]]
*[[VOCALOID]]
*[[프로젝트 디바 시리즈]]
*[[하츠네 미쿠]]
*[[Megpoid]]
*[[Megpoid]]
*[[미쿠다요]]
*[[미쿠다요]]


==바깥 고리==
==관련 사이트==
* {{언어고리|ja}} [http://miku.sega.jp/ SEGA feat. HATSUNE MIKU Project 공식 홈페이지]
* [http://miku.sega.jp/ SEGA feat. HATSUNE MIKU Project 공식 홈페이지]
* {{언어고리|ja}} [https://twitter.com/pjd_sega SEGA feat. HATSUNE MIKU Project 공식 트위터]
* {{트위터|pjd_sega|SEGA feat. HATSUNE MIKU Project 공식 트위터}} (@pjd_sega)
* {{언어고리|ja}} [http://ch.nicovideo.jp/ch253 SEGA feat. HATSUNE MIKU 채널]
* [http://ch.nicovideo.jp/ch253 SEGA feat. HATSUNE MIKU 채널]
* {{언어고리|ja}} [http://info.miku.sega.jp/ 주간 디바 스테이션]
* [http://info.miku.sega.jp/ 주간 디바 스테이션]
* {{언어고리|ja}} [http://ameblo.jp/promira-miku/ 프로미라 통신]
* [http://ameblo.jp/promira-miku/ 프로미라 통신]
* {{언어고리|ja}} [https://www.nintendo.co.jp/3ds/interview/creators/vol14/index.html 사장이 묻는다 닌텐도 3DS 소프트 메이커 크리에이터 편 -제14회 하츠네 미쿠 and Future Stars Project mirai-]


{{각주}}
{{SEGA feat. HATSUNE MIKU Project}}
[[분류:프로젝트 미라이 시리즈| ]]
[[분류:리듬 게임]]
[[분류:리듬 게임]]
[[분류:VOCALOID]]
[[분류:VOCALOID]]
[[분류:프로젝트 미라이 시리즈| ]]
[[분류:SEGA feat. HATSUNE MIKU Project]]
[[분류:HATSUNE MIKU Project]]
{{각주}}
{{HATSUNE MIKU Project}}

2022년 5월 25일 (수) 19:32 기준 최신판

프로젝트 미라이
Project mirai
배급사 세가 게임즈
개발사 세가 인터렉티브 제2연구개발본부
장르 리듬 게임
첫 게임 하츠네 미쿠 and Future Stars Project mirai
(2012년 3월 8일)
최신 게임 하츠네 미쿠 Project mirai 디럭스
(2015년 5월 28일)
웹사이트 SEGA feat. HATSUNE MIKU Project

프로젝트 미라이 시리즈는 세가 AM2[1]에서 만든 하츠네 미쿠를 메인으로 채용한 리듬 게임이다.첫 번째 작품은 《하츠네 미쿠 and Future Stars Project mirai》로 2012년 3월 8일에 발매되었다. 약칭은 프로미라(プロミラ).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이 작품은 '3DS로 프로젝트 디바 같은 것을 만들자'로 시작된 프로젝트인데 특이하게도 넨도로이드 모델링을 채용하였다. 그 이유는 등신대 모델링을 3DS에 적용한 결과 화면 크기 탓에 모델링이 다 뭉개져서 사마귀처럼 보이는 바람에 등신대를 줄이고 줄이다가 SD사이즈가 되었고 '차라리 이럴거면 그냥 넨도로이드 모델링으로 만들면 되는거 아닌가?'라는 소리가 나와 굿스마일의 협력을 받아 넨도로이드 모델링을 쓰게 되었다. 그 결과 프로젝트 디바 시리즈의 모델링에 괴리감을 느끼는 유저나 여성, 어린이들에게 호평을 받게 되었다. 게임의 전체적인 디자인이나 인터페이스도 아기자기한 느낌을 준다.

프로젝트 디바 시리즈와는 다르게 풀 버전의 곡을 채용하는데[2] 그 덕분에 곡에 끊김이 없어서 내용을 이해하거나 듣기는 좋지만 리듬 게임에서 플레이는 꽤 힘들다. 대신 난이도는 프로젝트 디바 시리즈보다 더 쉬운 편이다. 그 외에 프로젝트 디바 시리즈와 비교했을 때 특이한 점이 많은데, 몇 가지 예로 GUMI가 게스트로 등장한다는 것, 일부 곡 한정이지만 보컬 체인지 기능이 있다는 점이 있다. 이 시스템은 미쿠의 성우인 후지타 사키의 아이디어로 나중에 프로젝트 디바 아케이드 FT에도 사용된다.

프로젝트 미라이에서 수록된 곡들은 프로젝트 디바 아케이드로 수록될 때 프로젝트 미라이 시리즈의 모션을 그대로 가져다 쓰는 경우가 많으며 보컬 체인지 버전도 같이 수록된다.

게임 목록[편집 | 원본 편집]

수록곡[편집 | 원본 편집]

코스튬[편집 | 원본 편집]

관련 문서[편집 | 원본 편집]

관련 사이트[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2015년 4월 1일부터 세가 인터렉티브 제2개발연구본부가 되었다.
  2. 파인더만 풀 버전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