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리브레 한자사전/碧: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onlyinclude>{{한자 정보|{{{1|}}}|기본 = {{{2|}}}
<onlyinclude>{{한자 정보|{{{1|}}}
|한자 = 碧
|한자 = 碧
|신자체 =
|신자체 =  
|간체자 =
|간체자 =
|정체자 =
|정체자 =
|뜻 = 푸르다
|뜻 소리 = 푸르다 []
|소리 =
|획수 =14
|획수 = 14
|신자체 획수 =
|신자체 획수 =
|간체자 획수 =
|간체자 획수 =
|부수 = 石
|부수 =石
|신자체 부수 =
|신자체 부수 =
|간체자 부수 =
|간체자 부수 =
|음독 =
|음독 =
|오음 = ヒャク
|오음 =ヒャク
|한음 = ヘキ
|한음 =ヘキ
|당음 =
|당음 =
|관용음 =
|관용음 =
|훈독 = あお, あお-い, みどり
|훈독 =あお, あお-い, みどり
|병음 = bì
|병음 =bì
|중고한어 = pwiᴇk̚
|중고한어 =pwiᴇk̚
|급수=
}}</onlyinclude>
}}</onlyinclude>
靑처럼 blue와 green 둘다 나타내어 푸른 산을 벽산(碧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靑]]처럼 blue와 green 둘다 나타내어 푸른 산을 벽산(碧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 {{llang|zh-yue|bik1}}
{|
* {{llang|zh-min-nan|phek}}
|{{광둥어|bik1}}
* {{llang|zh-hakka|pit}}
|-
* {{llang|vi|bích}}
|{{민난어|phek}}
<!-- 설명 적는 위치 트리플 클릭하고 입력-->
|-
{{한자 서체}}
|{{하카어|pit}}
|-
|{{베트남어|bích}}
|}
== 한자 유래/서체 ==
{{한자 서체
|碧-명조.svg|명조
|碧-칸테이류.svg|칸테이류
}}
<!-- 한자 유래와 서체에 대한 설명은 이곳에 -->
<!-- 한자 유래와 서체에 대한 설명은 이곳에 -->
== 용례 ==
== 용례 ==
34번째 줄: 42번째 줄:
** 금발벽안
** 금발벽안
* [[옥|벽옥]](碧玉)
* [[옥|벽옥]](碧玉)
* 벽해(碧海)
* 벽해(碧[[海]])
* [[벽람항로]](碧蓝航路)<ref>중국어는 碧蓝航线(벽람항선)</ref>
* [[벽람항로]](碧蓝航路)<ref>중국어는 碧蓝航线(벽람항선)</ref>


=== 한자성어 ===
=== 한자성어 ===
* [[상전벽해]](桑田碧海)
* [[상전벽해]]([[桑]][[田]]碧[[海]])


=== 인명 ===
=== 인명 ===
* [[벽계수]](碧溪守)
* [[벽계수]](碧溪守)
{{각주}}

2024년 5월 10일 (금) 02:21 기준 최신판

푸르다 [벽]

정자[韓/臺]
신자체 [日]
간체자 [中]





CJK Unified Ideographs
U+78A7
부 14획
뜻과 소리 푸르다 [벽]
중고한어pwiᴇk̚
CJK Unified Ideographs
U+78A7
부 14획
뜻과 소리 푸르다 [벽]
훈독(訓読)あお, あお-い, みどり
음독(音読)
오음(呉音)ヒャク
한음(漢音)ヘキ
CJK Unified Ideographs
U+78A7
부 14획
뜻과 소리 푸르다 [벽]
병음

처럼 blue와 green 둘다 나타내어 푸른 산을 벽산(碧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광둥어: bik1
민난어: phek
하카어: pit
베트남어: bích

한자 유래/서체[편집 | 원본 편집]

碧-명조.svg
명조
碧-칸테이류.svg
칸테이류





용례[편집 | 원본 편집]

한자성어[편집 | 원본 편집]

인명[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중국어는 碧蓝航线(벽람항선)